|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J Korean Acad Fundam Nurs > Volume 30(2); 2023 > Article
중앙공급실과 수술실 간호사의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도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operating room(OR) and central supply room (CSR) nurses about medical equipment reprocessing.

Methods

The subjects were 148 operating room and central supply room nurses working at 13 general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descriptive study surveyed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about medical device reprocessing among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20, 2022 and, analyzed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PSS 27.0.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66 CSR nurses and 82 OR nurses. The score for knowledge was 26.93±4.14 and the highest score i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was found for sterilization indicators. The number of bed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nowledge (F=3.16, p=.046), and OR nurses had higher scores for educational needs than CSR nurses (t=3.28, p<.001). Exposure to external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score for educational needs (t=1.73, p=043). In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urrent department were found for return and cleaning (t=-4.02, p<.001) and, sterilization methods (t=2.57, p=.006). Regarding educational need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urrent department in return and cleaning (t=2.83, p=.003), packing (t=2.85, p=.003), sterilization methods (t=3.29, p<.001). Sterilization indicators (t=2.26, p=.013), and sterilization maintenance and release (t=3.85, p<.001).

Conclusion

The risk of medical device related infection should be minimized through correct reprocess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in charge of reprocessing.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의료기술에 대한 발전이 고도화됨에 따라 침습적인 시술이 늘어나고, 노인이나 미숙아와 같이 감염에 취약한 계층이 증가하면서 의료 및 시술과 관련된 감염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1]. 이와 관련된 문제들이 국민의 안전,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한 이슈로 인식되고 그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2]. 의료와 관련되어 발생하게 되는 감염 문제는 대상자 개인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병원에서 재원일수, 의료비 손실 등의 사회적 부담 증가로도 확대되면서 국가 차원에서 종합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1]. 의료와 관련된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은 환경이나 인력 등의 문제와 더불어 재사용 의료기구의 소독과 멸균의 적정성이 핵심단어로 떠오르고 있어 의료기구의 멸균 후 멸균품의 관리가 중요하다[35].
많은 의료기구들을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입장에서 보면 단순히 멸균된 물품을 사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관리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68]. 현재는 일부 진료에 사용하는 소모품이나 의료기기들 중에는 멸균된 상태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품목들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 멸균 물품들은 해당 병원에서 자체 멸균과정을 거친 후 사용하게 되므로, 병원에서 시행하는 소독과 멸균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비용 관리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68].
멸균(sterilization)은 의료기구나 물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제거하도록 만드는 과정으로 감염에 대한 위험성을 줄이거나 감염의 기회 자체를 미리 방지하게 되는 감염관리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9]. 다양한 의료기구를 이용하여 침습적 처치를 기본으로 하는 환자들에 대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기구나 물품에 대한 재처리 과정의 표준을 준수하여야 한다[10,11]. 또한 고위험기구를 멸균하지 않았거나 멸균과정을 적용했더라도 적절한 멸균방법과 절차를 준수하지 않아 감염이 발생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12]. 이와 같은 이유로 의료기관에서는 중앙공급실(Central Supply Room, CSR) 시설을 마련하고 처치나 시술에 사용된 기구를 회수하여 세척과 멸균을 시행한 후 해당 사용 부서에 공급하는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13].
의료기관의 CSR은 수술실(Operation Room, OR)을 제외한 병원 내 모든 부서에서 사용한 기구나 물품의 세척, 소독 및 멸균을 담당하고 있다[9,11]. 이와는 다른 경향으로 수술실과 치과 진료실 등 충분한 세척 공간과 교육받은 숙달된 세척 직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은 의료기관의 중앙부서에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14]. 최근에는 수술기구도 CSR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13].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에는 진료 및 처치에 사용된 각종 의료기구와 물품을 사용한 후 반납된 것을 세척, 조립 및 포장하여 멸균 처리한 후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엄격하고 과학적인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15,16]. 병원 내에서 재사용하는 의료기구나 물품의 소독과 멸균이 CSR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관리 업무는 주로 CSR 간호사에게 있으므로 CSR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이러한 의료기구나 물품에 대한 재처리과정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9].
국내에서 전국 의료 관련 감염감시체계(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에 따라 의료와 관련해서 발생하는 감염 사례 및 현황을 파악하고, 감염예방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감시체계를 시행하고 있다[1921]. 수술 부위 감염 감시체계는 병원 안에서나 병원들 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수술 부위 감염률을 비교하여 의료 관련 감염 발생에 대해 관리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감시 및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14,19,21]. 수술로 인한 상처 부위의 감염은 환자의 상태, 수술 전 ․ 중 ․ 후 관리 및 수술실 환경 등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14,22,23]. 이러한 이유로 OR 간호사들의 의료기구에 대한 재처리 과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 중 ․ 후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감염에 대한 예방 조치를 통합 관리해야 한다[24,25]. 수술 후에 수술 부위의 감염이 발생하게 되면 환자의 입원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8,26,28]. 또한 감염과 관련된 질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거나 치명적인 상황으로 발전되어 사망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원료나 치료비 등을 추가로 지출하게 되어 의료비용이 증가하고 사회적 비용이 손실될 염려가 있다[8,26,28]. 이와 같은 이유로, OR에서 사용하는 수술기구나 의료 물품에 대한 관리가 OR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관리는 OR 간호사의 책임 하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OR 간호사가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역시 필요하다[28,29]. 선행연구[9]에서 CSR 간호사의 멸균과정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멸균과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이들 변수에 대한 차이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수술 부위 감염관리 수행에 대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감염관리지침의 수행 정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30].
현실적으로, 의료 관련 감염관리에서 의료기구 및 물품의 재처리과정은 매우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으나, 간호사가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은 국내에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고 선행연구 또한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CSR과 OR 간호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멸균과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경기도 소재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CSR과 OR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구의 멸균과정을 관리함에 있어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체계적 멸균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중앙공급실과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여 의료 관련 감염 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지식의 하부요인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교육 요구도의 하부요인 차이를 파악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중앙공급실과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구 재처리과정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13기관의 CSR과 OR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이다. 연구대상자는 편의추출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경우에만 대상자에 포함하였다. 선행연구[9]에서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대상자의 수 산출은 G*Power 3.1.2 [32]를 이용하여 one-way ANOVA에 필요한 최소표본 크기를 계산한 결과, 유의수준 .05, 검정력 85.0%, 효과크기 0.25으로 입력하여 146명이 산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탈락률을 10.0%를 고려하여 163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모집한 대상자 수는 148명이었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재처리 과정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도를 알아보는 도구에 대하여는 도구 개발자에게 전자 우편을 통해 도구 사용 승인을 받았다. 도구 사용 전에 감염관리 감염관리전문간호사 1인, OR 관리자 2인, CSR 관리자 2인, 간호학과 교수 1인등 6인의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통해 의견을 반영하여 문항을 구성한 후 내용타당도를 검정한 후 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Average (S-CVI/Ave)점수를 도출하였다. 최종 도구는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지식 50문항과 의료기구 재처리 교육 요구도에 대한 내용 5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도구의 구체적 내용과 수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 정도, 병상 수, 대상자의 총 임상 근무 경력, 현재 근무 장소, 현재 근무 부서 경력, 직위, 1년 이내 외부교육 참여 경험, 1년 이내 내부교육 참여 경험, 선호하는 교육 형태, 선호하는 교육 시간 등 총 1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의료기구 재처리 지식

간호사의 의료기구 재처리과정 지식은 Yun 등[9]이 CSR 간호사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하기 전에 감염관리전문간호사 1인, OR 관리자 2인, CSR 관리자 2인, 간호학과 교수 1인등 6인의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6인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정하였으며 내용 타당도는 4점 만점에 각각 반납과 세척 3.94점, 포장 3.94점, 멸균기 관리와 멸균법 3.92점, 멸균확인체계 4.0점, 그리고 멸균물품관리 3.98점이었다. 이후 원 도구에 있었던 반납 및 세척의 7번 문항인 ‘세척장소(eye wash station) 비치’에서 비치를 마련으로, 8번 ‘세척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하는 개인보호구의 눈 보호 용품’에서 눈 보호 용품을 보안경(또는 face shield)으로 수정하였다. 포장요인의 6번 문항에서 ‘포장 시 컵 모양의 오목한 기구는 표면이 위로 향하게 한다’로 수정하였다. 멸균기 관리와 멸균법 요인 6번 문항의 'EO가스가 눈에 접촉되었을 때는 즉시 흐르는 물에 세척한다'에서 접촉을 노출로 수정하였고, 멸균물품관리 요인 5번 문항에서 ‘물품은 개방된 장’에서 ‘개방된 장’을 ‘문이 개방된 장’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수정 후 본 도구는 문항별로 S-CVI/Ave는 .91이었다. 총 50문항으로 수정한 본 도구는 문항별로 정답인 경우 1점, 정답이 아닌 경우 0점으로 처리하여 점수 범위는 0점에서 50점이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 The Kuder-Richardson Formula 20은 .98이었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 The Kuder-Richardson Formula 20은 .97이었다.

3) 의료기구 재처리 교육 요구도

간호사의 의료기구 재처리과정 교육 요구도는 Yun 등[9]이 CSR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도구를 이용해 10인의 간호사에게 예비조사를 하여 설문을 작성하였다. 설문 문항은 원 도구 50문항에 전문가 6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반납과 세척, 포장, 멸균기 관리와 멸균법, 멸균확인체계(indicator), 멸균물품 관리 등 5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다. 요인별로 구성한 문항은 각 10문항이다. 이 각 문항 내용에 대하여 5점 ‘교육이 매우 필요함’부터 1점 ‘거의 필요 없음’으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도구의 S-CVI/Ave.는 .96이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연구의 도구 신뢰도 The Kuder-Richardson Formula 20은 .98이었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 The Kuder- Richardson Formula 20은 .97이었다.

4.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4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로 경기도 지역의 13개 병원의 CSR과 OR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과정은 연구자의 기관생명윤리위 원회의 연구 수행에 대한 승인을 받은 후 해당 병원 간호부로부터 연구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허락을 받아 진행하였다. 연구자가 해당 병원을 방문해 연구목적을 설명한 뒤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모두 160명에게 배부하였으나 응답을 완벽하게 한 대상자의 148부를 통계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92.5%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본 연구자의 기관에서 연구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연구 수행에 대하여 승인(NHIMC 2022-02- 003-005)을 받았다. 설문지 작성은 의료기구 재처리를 담당하는 CSR과 OR 간호사를 대상으로 부서 관리자가 연구의 목적 및 취지, 수집한 자료의 익명성 보장, 연구참여자의 권리를 설명하였고,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대상자로부터 서면 동의를 받았다. 설문지 작성시간은 평균 15분가량 소요된다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설문지 작성 중에라도 연구참여에 대한 중단을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하고, 연구의 자료분석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 등을 설명하였다. 연구결과는 3년간 잠금장치가 있는 곳에 보관 후 폐기 처리하여 기밀이 유지됨을 보장한다는 내용으로 연구대상자 동의서를 받았다.

6.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으며, 대상자의 의료기구 재처리 지식과 교육 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지식 점수와 교육 요구도 점수는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를 이용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경우 사후 분석을 위해 Scheffé 사후 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총 148명으로, 여성 131명(88.5%), 평균 연령 39.56±8.32세로 31~49세가 105명(71.0%)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는 학사 95명(64.2%), 대상자의 근무 기관의 병상 수는 500~999 병상 100명(67.6%), 총 임상경력은 15.9±8.1년이며 20년 이상 58명(39.2%), 현재 근무 부서는 CSR 66명(44.6%), OR 82명(55.4%), 현 근무 부서 임상경력은 8.91±7.87년이며 10년 이상 53명(35.8%), 직위는 일반 간호사 77명(52.0%)으로 가장 많았다. 1년 이내에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내부 교육은 81명(54.7%)이 받았으며, 외부 교육은 108명(73%)이 받았다. 선호하는 교육방법은 표준화된 책자 49명(33.1%)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 시간은 4시간 이하를 선호하는 대상이 74명(50.0%)으로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Central Supply Room Nurses and Operation Room Nurses (N=148)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or M± SD
Gender Women 131 (88.5)
Men 17 (11.5)
Age (year) ≤30 39.56±8.32
31~49 26 (17.5)
≥50 105 (71.0)
17 (11.5)
Education level Diploma 20 (13.5)
Bacchalerate 95 (64.2)
Master degreee 33 (22.3)
Number of beds 300~499 11 (7.4)
500~999 100 (67.6)
≥1,000 37 (25.0)
Total clinical experience (year) ≤10 15.90±8.10
11~19 46 (31.1)
≥20 44 (29.7)
58 (39.2)
Current department CSR 66 (44.6)
OR 82 (55.4)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year) ≤2 8.91±7.87
3~5 39 (26.4)
6~9 32 (21.6)
≥10 24 (16.2)
53 (35.8)
Work position Staff nurse 77 (52.0)
Charge nurse 45 (30.4)
≥ Unit manager 26 (17.6)
Exposure to in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time) Have 81 (54.7)
None 67 (45.3)
Exposure to ex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time) Have 108 (73.0)
None 40 (27.0)
Preferred type of education Continuing education 41 (27.7)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 program 33 (22.3)
Seminar 25 (16.9)
Standardized textbooks 49 (33.1)
Preferred time of education (hours) ≤4 74 (50.0)
5~8 60 (40.5)
9~12 10 (6.8)
≥13 4 (2.7)

CSR=central supply room; M=mean; OR=operation room; SD=standard deviation.

2. 대상자의 의료기구 재처리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

대상자의 의료기구 재처리 관련 지식 점수는 50점 만점에 26.93±4.14점이며 세부요인으로는, 반납 및 세척 5.79±1.51점, 포장 4.48±1.40점, 멸균법 5.46±0.95점, 멸균확인체계 5.92±2.10점, 멸균물품관리 5.29±0.69점이었다. 교육 요구도는 5점 만점에 3.98±0.67점이며 세부요인으로는, 반납 및 세척 3.87±0.72점, 포장 4.00±0.64점, 멸균법 4.03±0.68점, 멸균확인체계 4.10 ±0.75점, 멸균물품관리 3.94±0.83점이었다(Table 2).
Table 2.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about Reprocessing of Medical Devices of Subjects (N=148)
Variables Knowledge Education needs
M± SD Range M± SD Range
Overall 26.93±4.14 26.28~27.65 3.98±0.67 3.87~4.10
Return and cleaning 5.79±1.51 5.53~6.051 3.87±0.72 3.74~3.99
Packing 4.48±1.40 4.24~4.72 4.00±0.64 3.89~4.11
Sterilization I: Sterilization method 5.46±0.95 5.27~6.00 4.03±0.68 3.91~4.14
Sterilization II: Sterilization Indicator 5.92±2.10 5.56~6.28 4.10±0.75 3.94~4.20
Sterilization maintenance and release 5.29±0.69 5.17~5.41 3.94±0.83 3.79~4.08

M=mean; SD=standard deviation.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관련 지식은 성별, 나이, 교육 정도, 총 임상 경력, 현재 근무 부서, 현재 부서 근무 경력, 직위, 1년 이내 내부 및 외부 교육 경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상자가 근무하는 의료 기관의 병상 수에서 300~499병상 28.83±5.27점, 500~999병상 27.52±3.85점, 1,000병상 이상 25.82±4.40점으로 나타나 300~499병상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3.16, p=.046). 사후 검정결과는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관련 교육 요구도는 성별, 나이, 교육 정도, 총 임상 경력, 현재 근무부서 경력, 직위, 1년 이내 내부 교육 경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현재 근무부서에서 CSR 간호사 3.81± 0.72점, OR 간호사 4.19±0.54점으로 나타나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 점수는 OR 간호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28, p<.001). 1년 이내 외부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4.02±0.72점, 없는 경우 3.97±0.66점으로 나타나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교육 요구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1.73, p= .043) (Table 3).
Table 3.
The Score of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148)
Characteristics Categories Knowledge Education needs
M± SD t or F p M± SD t or F p
Gender Women 27.78±2.95 0.63 .264 4.29±0.56 1.43 .078
Men 26.86±4.22 3.96±0.68
Age (year) ≤30 25.91±5.36 1.08 .343 3.95±0.70 2.31 .103
31~49 27.25±3.97 3.93±0.69
≥50 26.40±3.04 4.32±0.42
Education level Diploma 28.71±3.69 1.48 .231 4.21±0.49 1.16 .317
Bacchalerate 26.67±4.15 3.93±0.72
Master degree 26.86±0.79 4.03±0.59
Number of beds 300~499 28.83±5.27 3.16 .046 3.86±0.71 0.22 .806
500~999 27.52±3.85 3.97±0.69
≥1000 25.82±4.40 4.03±0.63
Total clinical experience (year) ≤10 26.53±4.80 0.91 .403 3.85±0.67 2.92 .057
11~19 26.53±3.74 4.19±0.62
≥20 27.52±3.89 3.93±0.68
Current department CSR 26.84±3.73 -0.21 .416 3.81±0.72 -3.28 <.001
OR 27.00±4.47 4.19±0.54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year) ≤2 27.25±4.48 0.26 .851 3.99±0.50 2.00 .117
3~5 26.59±4.14 4.09±0.78
6~9 26.40±3.84 4.21±0.66
≥10 27.10±4.10 3.82±0.70
Work position Staff nurse 26.97±3.95 0.91 .406 3.93±0.66 0.55 .579
Charge nurse 26.38±4.53 4.01±0.71
≥ Unit manager 27.90±4.04 4.10±0.64
Exposure to in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time) Have 27.51±4.38 1.49 .070 4.02±0.72 0.39 .348
Not have 26.43±3.89 3.97±0.66
Exposure to ex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time) Have 26.78±2.95 0.26 .399 4.02±0.72 1.73 .043
No have 26.99±4.54 3.97±0.66

CSR=central supply room; M=mean; OR=operation room; SD=standard deviation.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요인별 지식 점수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다른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요인별 지식 점수는 세척과 반납에서는 성별, 나이, 교육 정도, 병상 수, 총 임상경력, 직위 및 1년 이내 내부 교육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현재 근무부서에서 CSR 간호사 5.55±1.38점, OR 간호사 6.23±1.47점으로 나타나 OR 간호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4.02, p<.001). 현재 부서 임상경력에서 2년 이하 5.47±1.34점, 3~5년 5.33±1.41점, 6~9년 5.75±1.83점, 10년 이상 6.29±1.43점으로 나타나 10년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29, p=.023). 사후 검정 분석 결과 9년 이하보다는 10년 이상이 반납 및 세척에 대한 지식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1년 이내 외부교육 경험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5.44±1.31점, 없는 경우 6.20±1.63점으로 나타나 외부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t=-2.97, p=.002).
포장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대한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멸균법에서 성별, 나이, 병상 수, 총 임상경력, 현재 부서 경력, 직위, 1년 이내 내부 교육 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교육정도에서 전문학사 6.14±1.35점, 학사 5.33±1.08점, 석사 5.55±1.06점으로 나타나 전문학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F=3.41, p=.036). 사후 검정 분석 결과 멸균법에 대한 지식 점수는 학사나 석사보다는 전문학사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근무 부서에서 CSR 간호사 5.74±0.95점, OR 간호사 5.24 ±1.21점으로 나타나 CSR 간호사의 멸균법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57, p=.006). 1년 이내 외부 교육 경험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5.69±1.19점, 없는 경우 5.20 ±0.10점으로 나타나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식 점수가 높았다(t=2.56, p=.006).
멸균확인체계에서는 성별, 나이, 교육 정도, 총 임상 경력, 현재 근무부서, 현재 근무부서 경력, 1년 이내 내부 및 외부 교육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근무 기관 병상 수에서 300~499병상 6.17±4.95점, 500~999병상 6.05±1.51점, 1,000병상 이상 5.10±2.12점으로 나타나 300~ 499병상 규모의 병원 간호사의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11.92, p<.001), 사후 분석 검증결과 500~999병상이나 1,000병상 이상 규모의 병원에 비해 300~499병상 규모의 간호사의 지식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직위에서 일반 간호사 5.92±1.83점, 책임간호사 5.40±1.82점, 단위팀장 6.95 ±3.05점으로 나타나 단위팀장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F= 3.80, p=.025). 사후 분석 검정 결과 일반간호사나 책임간호사에 비해 단위팀장의 지식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멸균물품 관리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4).
Table 4.
The Score of Knowledge of Reprocessing of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N=148)
Variables Categories Return and cleaning Packing Sterilization method Sterilization indicator Sterilization maintenance and release
M± SD t or F (p) M± SD t or F (p) Scheffé M± SD t or F (p) Scheffé M± SD t or F (p) Scheffé M± SD t or F (p)
Gender Women 5.77±1.51 -0.44 4.48±1.93 0.07 5.44±1.13 -0.87 5.90±2.14 -0.29 5.28±0.69 -0.70
Men 6.00±1.58 (.323) 4.44±1.50 (.471) 5.78±1.09 (.193) 6.11±1.27 (.387) 5.44±0.73 (.243)
Age ≤30 5.91±1.54 2.36 4.32±1.59 1.34 5.05±1.29 2.29 5.14±2.25 1.93 5.50±0.80 1.38
31~49 5.88±1.47 (.099) 4.59±1.41 (.267) 5.51±1.12 (.106) 6.04±2.16 (.149) 5.23±0.66 (.255)
≥50 5.00±1.56 4.00±0.85 5.80±0.77 6.27±2.10 5.33±0.72
Education level Diploma 6.14±1.46 0.49 4.86±1.35 0.58 6.14±1.35 b 3.41 6.21±1.19 0.16 5.36±0.74 0.29
Bacchalerate 5.71±1.47 (.161) 4.44±1.46 (.561) 5.33±1.08 a (.036) 5.89±2.26 (.855) 5.30±0.71 (.751)
Master degree 5.83±1.67 4.41±1.21 5.55±1.06 ab b a<ab<b 5.86±1.94 5.29±0.69
Number of beds 300~499 5.00±0.89 1.10 5.00±1.01 0.54 5.33±0.82 0.38 6.17±4.95 b 11.92 5.33±0.82 0.06
500~999 5.89±1.58 (.337) 4.49±1.34 (.586) 5.52±1.10 (.686) 6.05±1.51 ab (<.001) 5.27±0.71 (.938)
≥1,000 5.68±1.40 4.37±1.57 5.34±1.24 5.10±2.12 a a< ab< b 5.29±0.69
Total clinical experience (year) ≤10 5.85±1.56 0.06 4.60±1.63 0.33 5.15±1.14 2.29 5.55±2.10 2.38 5.38±0.81 0.46
11~19 5.74±1.22 (.946) 4.34±1.49 (.720) 5.55±1.35 (.105) 5.63±1.72 (.097) 5.26±0.60 (.632)
≥20 5.78±1.67 4.48±1.13 5.63±0.90 6.39±2.28 5.24±0.67
Current department CSR 5.55±1.38 -4.02 4.36±1.27 -0.84 5.74±0.95 2.57 6.21±2.12 1.41 5.27±0.73 0.33
OR 6.23±1.47 (<.001) 4.57±1.49 (.201) 5.24±1.21 (.006) 5.69±2.07 (.081) 5.31±0.65 (.372)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year) ≤2 5.47±1.34 a 3.29 4.44±1.36 0.18 5.61±1.05 1.16 6.39±2.68 1.07 5.33±0.68 0.98
3~5 5.33±1.41 a (.023) 4.33±1.49 (.913) 5.70±1.07 (.327) 5.89±1.60 (.364) 5.33±0.83 (.404)
6~9 5.75±1.83 ab a< ab< c 4.50±1.15 5.30±1.17 5.40±1.79 5.45±0.51
≥10 6.29±1.43 c 4.57±1.49 5.29±1.19 5.78±1.96 5.16±0.69
Work position Staff nurse 5.74±1.44 1.76 4.54±1.36 0.86 5.51±1.21 1.23 5.92±1.83 a 3.80 5.26±0.65 0.52
Charge nurse 6.10±1.63 (.176) 4.25±1.60 (.425) 5.25±1.15 (.295) 5.40±1.82 a (.025) 5.38±0.77 (.599)
≥ Unit manager 5.35±1.42 4.70±1.03 5.70±0.66 6.95±3.05 b a< b 5.20±0.70
Exposure IE (1 y) Have 5.85±1.53 0.79 4.48±1.44 0.09 5.46±1.20 0.02 5.87±2.35 -0.38 5.32±0.69 0.74
Not have 5.62±1.46 (.216) 4.46±1.28 (.464) 5.46±0.93 (.493) 6.03±1.26 (.354) 5.23±0.71 (.231)
Exposure EE (1 y) Have 5.44±1.31 -2.97 4.38±1.39 -0.86 5.69±1.19 2.56 5.65±1.58 -1.60 5.28±0.72 -0.11
Not have 6.20±1.63 (.002) 4.59±1.39 (.195) 5.20±0.10 (.006) 6.23±2.55 (.056) 5.30±0.67 (.456)

CSR=central supply room; Exposure IE (1y)=Exposure to in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Exposure EE (1y)=Exposure to ex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M=mean; OR=operation room; SD=standard deviation.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요인별 교육 요구도 점수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구 재처리 요인별 교육 요구도는 반납과 세척에서 성별, 나이, 교육 정도, 병상 수, 총 임상경력, 현 근무 부서 경력, 직위, 1년 이내 내부 및 외부 교육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현재 근무 부서에서 CSR 간호사 4.06±0.63점, OR 간호사 3.71± 0.76점으로 CSR 간호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83, p=.003).
포장에서 나이, 교육 정도, 병상 수, 총 임상경력, 근무부서 경력, 직위, 1년 이내 내부 및 외부 교육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별에서 여성 3.98±0.64점, 남성 4.40±0.60점으로 남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94, p=.027). 현재 근무 부서에서 CSR 간호사 4.18 ±0.54점, OR 간호사 3.87±0.68점으로 CSR 간호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85, p=.003).
멸균법에서 교육 정도, 병상 수, 근무 부서 임상경력, 직위, 1년 이내 내부 교육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별에서는 여성 4.00±0.69점, 남성 4.36±0.53점으로 남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89, p=.044). 나이에서, 30세 이하 3.97±0.70점, 31~49세 3.97± 0.69점, 50세 이상 4.45±0.46점으로 50세 이상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3.44, p=.035). 사후 분석 검증 결과 30년 이하나 31-49세에 비해 50세 이상의 점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임상경력은 10년 이하 3.87±0.62점, 11~19년 4.27±0.64점, 20년 이상 4.00±0.71점으로 11~19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3.76, p=.026). 사후 분석 검증 결과 총 임상경력 10년 이하나 20년 이상에 비해 11~19년의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근무부서에서 CSR 간호사 4.24±0.56점, OR간호사 3.86±0.72점으로 CSR간호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29, p<.001). 1년 이내 외부 교육경험에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4.14±0.58점, 없는 경우 3.90± 0.77점으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10, p=.019). 멸균확인체계에서 나이, 교육 정도, 병상 수, 총 임상경력, 현 근무부서 경력, 직위 및 1년 이내 내부 교육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서 여성 4.05±0.76점, 남성 4.42±0.57점으로 남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85, p=.046). 현근무부서에서 CSR 간호사 4.24±0.61점, OR 간호사 3.94±0.83점으로 CSR 간호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26, p=.013). 외부교육경험에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4.18±0.67점, 없는 경우 4.00±0.73점으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70, p=046). 멸균물품관리에서 나이, 교육 정도, 병상 수, 현 근무부서 경력, 직위, 1년 이내 교육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별에서 여성 3.91±0.81점, 남성 4.33±0.66점으로 남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높았다(t=-1.84, p=.048). 총임상경력에서 10년 이하 3.80±0.85점, 11-19년 4.21±0.72점, 20년 이상 3.84±0.85점으로 11~19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3.14, p= .047). 현근무부서에서 CSR 간호사 4.23±0.60점, OR 간호사 3.70±0.91점으로 CSR 간호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85, p<.001). 1년 이내 외부 교육 경험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4.05±0.73점, 없는 경우 3.80±0.91점으로 교육을 받은 경우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78, p=.038)(Table 5).
Table 5.
The Score of Education Needs of Reprocessing of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N=148)
Variables Categories Return and cleaning Packing Sterilization method Sterilization Indicator Sterilization maintenance and release
M± SD t or F (p) M± SD t or F (p) M± SD t or F (p) Scheffe M± SD t or F (p) M± SD t or F (p)
Gender Women 3.86±0.72 -0.28 3.98±0.64 -1.94 4.00±0.69 -1.89 4.05±0.76 -1.85 3.91±0.81 -1.84
Men 3.93±0.78 (.389) 4.40±0.60 (.027) 4.36±0.53 (.044) 4.42±0.57 (.046) 4.33±0.66 (.048)
Age ≤30 3.89±0.73 1.63 3.98±0.65 2.81 3.97±0.70 a 3.44 4.02±0.75 1.24 3.88±0.85 1.61
31~49 3.81±0.75 (.200) 3.95±0.65 (.064) 3.97±0.69 a (.035) 4.04±0.78 (.293) 3.89±0.86 (.205)
≥50 4.17±0.48 4.37±0.44 4.45±0.46 b a< b 4.36±0.48 4.29±0.47
Education level Diploma 4.10±0.68 1.43 4.24±0.46 1.46 4.24±0.50 0.88 4.38±0.51 1.29 4.11±0.65 0.54
Bacchalerate 3.80±0.76 (.243) 3.94±0.69 (.236) 3.98±0.71 (.417) 4.04±0.80 (.278) 3.89±0.89 (.586)
Master degree 3.97±0.60 4.07±0.51 4.06±0.65 4.04±0.69 3.99±0.69
Number of beds 300~499 3.68±0.60 0.22 3.88±0.72 0.22 3.90±0.78 0.20 3.92±0.80 0.35 3.92±0.80 0.32
500~999 3.88±0.72 (.804) 3.99±0.66 (.807) 4.02±0.70 (.816) 4.05±0.78 (.709) 3.90±0.86 (.727)
≥1,000 3.86±0.76 4.10±0.60 4.07±0.64 4.15±0.70 4.03±0.77
Total clinical experience (year) ≤10 3.71±0.75 2.38 3.86±0.66 2.61 3.87±0.62 a 3.76 4.00±0.74 1.39 3.80±0.85 3.14
11~19 4.06±0.74 (.096) 4.18±0.59 (.078) 4.27±0.64 ab b (.026) 4.24±0.74 (.252) 4.21±0.72 (.047)
≥20 3.85±0.68 4.00±0.64 4.00±0.71 b a< b< ab 4.01±0.77 3.84±0.85
Current department CSR 4.06±0.63 2.83 4.18±0.54 2.85 4.24±0.56 3.29 4.24±0.61 2.26 4.23±0.60 3.85
OR 3.71±0.76 (.003) 3.87±0.68 (.003) 3.86±0.72 (<.001) 3.94±0.83 (.013) 3.70±0.91 (<.001)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year) ≤2 3.86±0.54 2.40 4.02±0.50 1.23 3.99±0.51 1.66 4.08±0.59 2.01 4.02±0.62 1.97
3~5 4.04±0.81 (.071) 4.10±0.72 (.302) 4.21±0.77 (.178) 4.10±0.88 (.116) 4.03±0.94 (.122)
6~9 4.11±0.81 4.16±3.88 4.18±0.70 4.41±0.59 4.19±0.71
≥10 3.68±0.73 3.88±0.66 3.89±0.72 3.92±0.82 3.72±0.90
Work position Staff nurse 3.86±0.71 0.16 3.96±0.61 0.68 3.95±0.66 1.07 4.02±0.76 0.47 3.87±0.85 0.53
Charge nurse 3.84±0.82 (.854) 4.02±0.70 (.511) 4.09±0.70 (.345) 4.13±0.77 (.627) 3.99±0.83 (.589)
≥ Unit manager 3.95±0.57 4.15±0.63 4.17±0.71 4.17±0.73 4.06±0.73
Exposure IE (1y) Have 3.87±0.71 0.21 4.01±0.57 0.02 4.00±0.69 -0.71 4.39±0.77 0.84 3.91±0.82 -0.46
Not have 3.84±0.78 (.416) 4.00±0.81 (.492) 4.10±0.65 (.240) 4.16±0.71 (.200) 4.00±0.85 (.322)
Exposure EE (1y) Have 3.93±0.66 1.02 4.08±0.58 1.39 4.14±0.58 2.10 4.18±0.67 1.70 4.05±0.73 1.78
Not have 3.80±0.79 (.156) 3.92±0.70 (.083) 3.90±0.77 (.019) 4.00±0.73 (.046) 3.80±0.91 (.038)

CSR=central supply room; Exposure IE (1y)=Exposure to in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Exposure EE (1y)=Exposure to external education within 1 year; M=mean; OR=operation room; SD=standard deviation.

논 의

본 연구는 의료기구 재처리를 담당하는 CSR과 OR 간호사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올바른 지침을 준수하고 병원감염을 예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해서 대상자의 근무 기관의 병상수가 적을수록 지식 점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병상수가 클수록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 지식이 높았다고 보고한 선행연구[9]와는 상반된다. 최근에 대형병원일수록 의료기구 재처리 중앙화 시스템 변화로 병원의 모든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은 CSR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어[17,18], 의료기관의 물품을 관리하는 것이 주 업무로 하고 있는 CSR 간호사들에 비해[9] 수술실 간호사는 재처리 과정의 지침에 대한 정보수집의 기회가 많지 않아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국외 선행연구[32]에서 수술 부위감염과 관련된 간호사들의 지식은 교육기관, 임상경력과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연구대상과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반복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대상자의 경우 OR 간호사의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 점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OR 간호사는 대부분 진료과별 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에 대한 교육을 많이 이수하는 반면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에 대한 교육을 받을 기회는 그리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또한 외부교육을 이수한 간호사들은 외부 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사들보다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이런 결과를 보았을 때 외부 교육을 이수한 간호사들은 의료기구 재처리에 관련된 교육의 기회가 더 많이 주어졌으므로, 업무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교육에 대한 기대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9]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연령과 병상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향후 지속적 연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1년이내 외부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에 교육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할 수는 없으나 교육 경험이 없으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더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국외 선행연구[32]의 수술 부위 감염 관련 간호사 지식은 교육기관, 임상경력과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연구대상과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반복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나타났듯이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 교육을 받은 간호사의 교육 참여율은 기관 내부 교육 54.7%, 외부 교육 70.0%로 평균 63.9%임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9]에서 CSR 간호사의 경우 교육 참여가 약 50%인 것으로 보고한 것과 비교하면 본 연구대상자의 의료기구 멸균과정에 대한 교육 참여율은 비교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로 보았을 때 소독 관련 교육과는 달리 재처리 과정에 대한 교육 경험의 기회가 적어 교육 참여율이 그룹별로 점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화되면서, 재처리 중앙화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멸균과정을 준수하기 위해 관련 학회 차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CSR이나 OR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구 재처리 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다양한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교육 참여율을 향상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28,29].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 지식은 50점 만점에 26.93점으로 중간 이상 수준의 점수를 보였으며, 만점에 대한 정답 비율로 계산하였을 때 평균 정답률은 54.2%였다. 이는 OR 간호사들의 경우에 감염예방표준 준수의 지침에 대한 지식 점수가 19점 만점에 18.21점이었으며 평균 정답률은 72.8%라고 보고한 선행연구[32]에 비해 낮았다. 또한 CRS 간호사의 경우 지식 점수가 9.58점이며, 정답률은 79.2%라고 보고한 선행연구[10]에 비해 지식 점수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료기구 재처리 지식의 요인별 가장 높은 점수는 나타낸 것은 멸균확인체계였고 다음으로는 ‘반납과 세척’이었다. 선행연구[9]에서는 CSR 간호사와 OR 간호사들의 ‘멸균물품관리’의 정답률이 89.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멸균기 관리와 멸균법’와 ‘멸균확인체계’가 각각 81.3%, 80.5%의 높은 정답률을 보인 것으로 보고한 결과와 본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에 OR 간호사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이 직접 수술에 직접 참여하기 때문에 멸균물품관리 보다는 멸균확인체계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난 결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정답률이 가장 낮은 세부요인은 포장에 관한 문항으로 정답률은 44.8%로 나타나, 간호사들의 재처리 지식수준에서 ‘포장’이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인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9]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포장 방법 및 관리 등에 관한 내용을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올바른 행위는 정확한 지식을 근거로 이루어지고[33], 지식수준에 따라 재처리 과정을 준수할 때 감염관리 활동이 결정되므로[33] 지식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료기구의 적정한 멸균 관리에 대한 방안과 노력이 필요하다[4,7].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구 재처리 경험이 있는 CSR과 OR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재처리 과정에 대한 정답률이 절반으로 나타난 것은 관련 지식이 부족하거나 최신 지침에 대한 교육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올바른 의료기구에 대한 재처리에 관하여 지침이나 지식에 대한 반복 교육이 요구된다[29].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는 멸균확인체계에서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반납과 세척이 가장 낮았다. CSR 간호사와 OR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9]에서도 멸균확인체계, 멸균기관리와 멸균법, 포장, 멸균물품관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납과 세척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본 연구결과와 비교할 수는 없고 그 결과에 대해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향후 의료기구 재처리의 사용한 물품의 올바른 반납 및 세척에 대한 표준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육 요구도에 대한 지속적이고 폭넓은 연구와 교육이 필요하다[11].
의료기구 재처리 지식의 세부요인 반납과 세척에서 OR 간호사, 현임상경력이 10년인 경우와 외부 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사의 지식 점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CSR 간호사들에게 더 심도 있는 교육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대상자의 학사학위나 석사학위가 있는 간호사들이 전문학사에 비해 지식 점수가 높지 않았고, 외부 교육을 받은 경우에 멸균법 지식 점수가 높았다. 병상수가 적은 의료기관일수록 그리고 직위가 높을수록 멸균법에 대한 지식 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수술실 간호사들은 중견 간호사들이 교육에 대한 요구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의료기구 재처리를 담당하는 대상자의 간호지식은 그들이 근무하는 의료기관의 병상수와 관련이 있었으며 근무부서와 외부 교육 이수 유무는 교육 요구도의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 관련 감염예방과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관 외부에서 시행하는 교육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기관 자체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능한 한 최신 경향을 반영한 업무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30]. 이와 같은 교육 혁신으로 인해 임상현장에서 최우선 순위가 되는 수술실 감염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8]. 본 연구에서 교육 요구도에서는 CSR 간호사의 반납과 세척, 포장, 멸균법, 멸균확인 및 멸균관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중견 간호사일수록, 외부 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멸균법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OR 간호사들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SR 간호사들에 비해 소독과 멸균을 수행하는 기회가 적고, 물품에 대한 소독과 멸균은 CSR 간호사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17,18] 외부 교육을 받으려는 노력과 또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더 알게 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의료기구 재처리 과정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교육 요구도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간호사의 재처리 지식과 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간호사의 재처리 지식과 교육 요구도가 추후 의료기구 재처리를 주 업무로 하고 있는 간호사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이들 요인을 향상시킴으로서 간호사들의 효과적인 재처리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간호사들의 의료기구 재처리 지식은 의료 관련 감염예방과 환자안전을 도모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교육적, 임상적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지식과 교육 요구도를 규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며, 항목별 결과에 일관성이 없는 것에 분석상의 제한점이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병원의 중앙공급실과 수술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의료기구 재처리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재처리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에서는 현재 근무부서와 경력, 교육경험, 병상수에 따라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한 결과이므로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고, 의료기구 재처리에 관한 간호사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할 것을 제언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Park HH and Jeong G-S; Data collection - Park HH;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Jeong G-S;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Park HH and Jeong G-S.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medical-related infection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9 September 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5237

2. WHO. Clean care is safer care [Internet] 2016; [cited 2023 March 20].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events/detail/2005/10/13/default-calendar/clean-care-is-safer-care

3. Kim YA, Lee H, Lee K. Contamin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al by pathogenic bacteria and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5; 20(1):1-6. https://doi.org/10.14192/kjnic.2015.20.1.1
crossref
4. Forrester JA, Powell BL, Forrester JD, Fast C, Weiser TG. Surgical instrument reprocessing in resource-constrained coun-tries: a scoping review of existing methods, policies, and bar-riers. Surgical Infections. 2018; 19(6):593-602. https://doi.org/10.1089/sur.2018.078
crossref pmid
5. Chang SJ, Jeong JH, Choi KM, Kim MY, Park JH, Jeong NY. Study on the shelf life of sterilized products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9; 25(3):333-341. https://doi.org/10.22650/JKCNR.2019.25.3.333
crossref
6. Choi J, Kim KS. A study for safe storage time and cost analysis for sterilized product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 Control. 2004; 9(2):131-138.

7. Veiga-Malta I.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by monitoring the cleanliness of medical devices and other critical points in a sterilization service. Biomedical Instrumentation & Technology. 2016; 50(s3):45-52. https://doi.org/10.2345/0899-8205-50.s3.45
crossref pmid
8. Dyas AR, Lovell KM, Balentine CJ, Wang TN, Porterfield JR Jr, Chen H, et al. Reducing cost and improving operating room efficiency: examination of surgical instrument processing.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2018; 229: 15-19. https://doi.org/10.1016/j.jss.2018.03.038
crossref pmid
9. Yun JH, Jeong I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of central supply room nurses for the sterilization proces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5; 20(2):70-81. https://doi.org/10.14192/kjnic.2015.20.2.70
crossref
10. Son JS, Yu IK. A study on expiration date on ethylene oxide gas sterilization products - related to storage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 21(2):141-150.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41
crossref
11. CSD operation standard guideline III. Seoul: Korea Association of Central Supply Department Nurses; 2018.

12. Dancer SJ, Stewart M. Coulombe C, Gregori A, Virdi M. Surgical site infections linked to contaminated surgical instrument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2; 81(4):231-238. https://doi.org/10.1016/j.jhin.2012.04.023
crossref pmid
13. Ling ML, Ching P, Widitaputra A, Stewart A, Sirijindadirat N, Thu LTA. APSIC guidelines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of instruments in health care facilities.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nfection Control. 2018; 7: 25. https://doi.org/10.1186/s13756-018-0308-2
crossref pmid pmc
14. Jeong SY, Choi JH, Kim EK, Kim SM, Son H, Cho NH, et al. Actual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ontrol in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 21(4):392-402.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392
crossref
15. Basu D, Bhattacharya S, Mahajan A, Ramanan VR, Chandy M. Sterilization indicators in central sterile supply department: quality assurance and cost implication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5; 36(4):484-486. https://doi.org/10.1017/ice.2014.40
crossref pmid
16. Costa RD, Montenegro HRDA, Silva RND, Almeida Filho AJD. The role of central sterile supply department nursing team members: an integrative review. Escola Anna Nery. 2020; 24(3):e20190316. https://doi.org/10.1017/ice.2014.40
crossref pmid
17. Chaudhuri S, Sarkar D, Mukerji 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typical mycobacterial infection after laparoscopic surgery. Indian Journal of Surgery. 2010; 72(6):438-442. https://doi.org/10.1007/s12262-010-0164-7
crossref pmid pmc
18. Weber DJ, Rutala WA. Assessing the risk of disease trans-mission to patients when there is a failure to follow recom-mended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guideline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3; 41(5):S67-S71. https://doi.org/10.1016/j.ajic.2012.10.031
crossref pmid
19.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rnet]. Seoul: 2020 KONIS man-ual; [cited 2023 March 20]. Available from: http://khttp://konis.cafe24.com/xe/reports_ssi_y

20. Kwak YG, Choi JY, Yoo HM, Lee SO, Kim HB, Han SH,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 an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7; 96(4):377-384. https://doi.org/10.1016/j.jhin.2017.04.003
crossref pmid
21. Magill SS, Hellinger W, Cohen J, Kay R, Bailey C, Boland B, et al. Prevalenc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acute care hospitals in Jacksonville, Florida.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2; 33(3):283-291. https://doi.org/10.1086/664048
crossref pmid pmc
2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08. 14-18.

23. O'Hara NN, Patel KR, Caldwell A, Shone S, Bryce EA. Sterile reprocessing of surgical instrument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multicenter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5; 43(11):1197-1200. https://doi.org/10.1016/j.ajic.2015.06.025
crossref pmid
24. Berros-Torres SI, Umscheid CA, Bratzler DW, Leas B, Stone EC, Kelz RR, et 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surgical site infection, 2017. JAMA Surgery. 2017; 152(8):784-791. https://doi.org/10.1001/jamasurg.2017.0904
crossref pmid
25. Gillespie BM, Walker RM, McInnes E, Moore Z, Eskes AM, O'Connor T, et al.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commen-dations to surgical wound care interventions: a systematic meta-review of Cochrane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20; 102: 10348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9.103486
crossref pmid
26. Park ES, Kim KS, Lee WJ, Jang SY, Choi JY, Kim JM. The eco-nomical impacts of surgical site infection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5; 10(2):57-64.

27. Chang JH, Kim KH, Kwon SM, Yeom SA, Park CS. The effect of surgical site infection on the length of stay and health care cost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1; 21(1):44-60. https://doi.org/10.4332/KJHPA.2011.21.1.044
crossref
28. Link T. Guideline implementation: Sterilization. AORN Journal. 2019; 109(6):772-782. https://doi.org/10.1002/aorn.12668
crossref pmid
29. Korea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KAORN standard: Sterilization instructions. [Internet]. Seoul: KAORN; 2020. [cited 2023 March 20]. Available from: https://www.aorn.org/docs/default-source/guidelines-resources/clinical-research/nursing-research/evidence-rating-and-tables/sterilization-packaging-systems/packaging_evidence_table_2019.pdf?sfvrsn=3c6b30b0_4

30. Heo YJ, Nam SH, Hyun HJ. The effect of educational training on surgical site infection management for operating room nursing staff.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21; 27(2):83-93. https://doi.org/10.14371/QIH.2021.27.2.83
crossref
3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 39(2):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crossref pmid
32. Lee KH, Choi JO, Lee KS, Hur J, Hwang TY.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4; 19(2):33-43.

33. Yoon YK, Sim HS, Kim JY, Park DW, Sohn JW, Roh KH, et al. Epidemiology and control of an outbreak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the intensive care units. Yonsei Medical Journal. 2009; 50(5):637-643. https://doi.org/10.3349/ymj.2009.50.5.637
crossref pmid pmc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884
View
95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