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J Korean Acad Fundam Nurs > Volume 29(4); 2022 > Article
신규간호사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fection control education (ICE)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for new graduate nurses.

Methods

From June 2 to July 30, 2022, a total of 58 new graduate nurses (30 and 28 nurs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D city were enrolled. The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evaluated in terms of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nd grit.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ound in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t=-2.18, p=.034)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t=-3.27, p=.002). Gri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4.17, p<.001).

Conclus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CE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nd grit among new nurse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고도의 의학기술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 등으로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가 간 교류의 원활함과 여행의 증가로 고위험 감염병의 출현 빈도가 높아지고, 해외에서 유입되는 감염성 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염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1,2]. 감염관리는 의료기관 인증조사 기준의 필수 항목에 포함되어 있으며, 100병상 이상의 병원급 의료기관에 감염관리 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의 설치 의무가 확대됨에 따라 감염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 의료관련감염은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행위와 관련된 모든 감염으로, 입원 당시에는 없었거나 잠복하지 않은 감염이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재원일 수를 증가시켜 환자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3]. 의료관련감염은 원인과 감염경로가 매우 다양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의 감염관리가 요구된다. 입원 환자와 의료종사자를 병원감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표준주의 준수가 강조되고 있다[4].
표준주의는 환자의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개방성 상처 부위의 피부와 점막을 잠재적인 감염원으로 간주하여 이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의료인과 환자 및 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법이다. 손 위생, 개인보호구, 호흡기 에티켓, 환자 배치, 치료기구 및 물품, 환경관리, 린넨, 안전한 주사행위, 요추천자 시 감염관리, 직원안전 총 10개의 영역으로 의료종사자들이 병원 감염관리를 위해 반드시 인지하고 수행하여야 하는 중요한 지침이다[4]. 환자와 의료진 또는 환자들 간의 감염이 전파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감염 예방 및 관리,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직원교육, 감염관리 기준과 지침 개발 등 감염성 질환의 대응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5]. 이에 따라 환자들과의 직접 접촉이 빈번한 간호사의 감염관리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선행연구결과, 간호사의 임상경력은 감염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으로[6], 간호사의 임상경력이 적을수록 감염관리 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보고되었다[6,7]. 신규간호사의 경우 업무수행능력의 미숙함과 문제해결 능력의 부족 등으로 감염관리 간호를 임상상황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감염관리 수행률 저하로 연결된다[6,7]. 이에 감염관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중심의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57]. 간호사의 임상수행의 숙련성은 단순히 임상경험 기간에만 연관된 것이 아닌, 임상경험과 업무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간호사의 개인별 역량에 따른 차이가 있다[8,9].
개인의 열정과 인내를 유지하는 경향으로 정의되는 그릿(GRIT)은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취의 핵심 요인으로 확인되었다[10]. 그릿은 성장(growth), 회복력(resilience),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끈기(tenacity)의 줄임말로,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정에서 실패, 역경, 좌절에도 꾸준한 노력을 유지하는 끈기를 말한다[9]. 신규간호사가 전문 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업무수행능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결과[11]에서 간호사의 그릿은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신규간호사의 그릿이 감염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임을 유추할 수 있다. 낯설고 어려운 임상상황에서 전문적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 신규간호사의 그릿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은,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를 극복하여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감염관리 역량을 갖추기 위한 심리적 요인의 수준을 파악하는 데 의의가 있다[11]. 신규간호사들이 안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행동의 변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12]. 이에 신규간호사들이 실무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감염예방에 대한 이해와 감염관리 간호를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한다[13,14].
이야기를 들려주는 행동을 의미하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스토리’와 ‘텔링’의 합성어로 스토리는 ‘무엇’을 텔링은 ‘어떻게’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교육 방식이다[15].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자기 경험이나 이야기를 표현하는 것으로, 학습 동기 및 흥미를 유발하여 공감 능력과 학습 내용을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정보 회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16].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17].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환자중심간호 교육을 제공 후 효과를 평가한 연구결과[18], 환자중심간호 인식 및 현업적용도, 공감역량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과학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질적연구결과[19]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능동적 참여가 향상되어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임상실무에서 감염관리 활동 향상에 초점을 맞춰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학습 욕구 유발과 흥미롭고 차별화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18,19]함으로써, 신규간호사들이 감염관리 간호의 맥락을 파악하고 실무에서의 활용을 통해 감염으로부터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를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신규간호사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개발한다.

  •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신뢰도와 그릿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3. 연구가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 가설 1.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표준주의 인지도가 더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표준주의 수행도가 더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그릿이 더 증가할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와 그릿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synchronized design)를 적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2년 6월 2일부터 7월 30일까지 대전광역시 소재의 상급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입사 후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G*Power analysis 3.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20]의 결과를 근거로 두 집단의 비교(t-test)에서 유의수준 ⍺는 .05, 효과 크기는 .80으로, 검정력 β를 .80으로 하였을 때 최소 표본 수는 집단별 26명이었으며, 탈락자를 고려하여 집단별 30명씩 총 6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과정에서 불완전한 응답을 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수는 대조군 28명, 실험군 30명으로 총 58명이었다.

3. 연구도구

1)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인지도는 표준주의 지침 준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21], 홍선영 등[21]이 2007년 개정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표준주의 지침을 근거로 개발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개발자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아 측정하였다. 2007년 CDC에서 제시하는 표준주의 지침 10개 영역 39개 항목 중 간호대학생이 평가하기 어려운 환자 배치와 요추천자 시 감염관리 2가지 영역이 제외된 총 8개 영역 36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신규 채용 후 제공되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연구로 연구기간 동안 환자 배치와 요추천자 시 감염관리 항목의 평가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홍선영 등의 도구를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하위 영역으로는 손위생(10문항), 개인보호구(9문항), 호흡기 에티켓(3문항), 치료기구 및 물품(2문항), 환경관리(2문항), 린넨관리(2문항), 안전한 주사행위(5문항), 직원안전(3문항)이다. 각 문항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점, ‘매우 중요하다’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표준주의 인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95였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93이었다. 하위 영역으로 손위생(.84), 개인 보호구(.83), 호흡기 에티켓(.80), 치료기구 및 물품(.76), 환경관리(.77), 린넨관리(.86), 안전한 주사행위(.78), 직원안전(.83)이었다.

2) 표준주의 수행도

표준주의 수행도는 표준주의 지침을 권고한 대로 수행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21], 홍선영 등이 2007년 CDC의 표준주의 지침을 근거로 개발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개발자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아 측정하였다[21]. 본 도구는 총 8개 영역 36개 항목으로 표준주의 인지도 측정도구와 동일하다. 각 문항은 ‘전혀 수행하지 않는다’ 1점, ‘항상 수행한다’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며, 수행하지 않은 항목의 경우는 ‘무경험’에 응답하도록 하며 0점 처리되어 제외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표준주의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94였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82였다. 하위 영역으로 손위생(.71), 개인보호구(.85), 호흡기 에티켓(.71), 치료기구 및 물품(.46), 환경관리(.76), 린넨관리(.81), 안전한 주사행위(.86), 직원안전(.89)이었다.

3) 그릿

그릿은 개인의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열정과 인내를 뜻하는 것으로[11], 이경미 등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그릿 측정도구(Clinical Nurses Grit Scale)를 개발자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아 측정하였다[22]. 본 도구는 3개의 요인 14문항으로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끈기(5문항), 간호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5문항), 환자 지향성 내적 동기(4문항)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4점 Likert 척도로 측정되며 ‘항상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79였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91이었다. 하위 영역으로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끈기(.74), 간호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90), 환자 지향성 내적 동기(.82)이었다.

4.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개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교수체제설계 ADDIE 모형[23]에 기초하여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5단계 과정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Figure 1).
Figure 1.
Development process of Educational program for Digital Story-telling.
jkafn-29-4-517f1.jpg

1) 분석단계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 분석을 위해 현재 병원에서 근무 중인 1년 미만의 간호사 5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약 30분 동안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결과 감염관리 수행의 정도, 장애 요인, 감염관리 지침 적용의 어려움,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감염관리 교육간호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감염관리 예방 활동 및 감염성 질환 대응 체계를 확인하고, 현재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 중인 감염관리 교육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다. 문헌고찰과 학습자 및 학습요구도 분석, 면담자료를 토대로 감염관리 실무전문가 2명과 감염관리 전담간호사 3인이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2) 설계단계

문헌고찰 및 학습자 분석과 현재 시행 중인 감염관리 교육자료분석을 통해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의 목적과 학습 목표, 교육 주제와 학습 내용을 정의하고 계획하였다. 상급종합병원 감염관리실 팀장(1인), 감염관리 실무전문가(1인), 감염관리실 전담간호사(2인)가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였다.

3) 개발단계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은 학습자와 학습요구도 분석에서 도출된 결과와 설계단계에서 확정한 모듈별로 미국 CDC의 표준주의 지침[4]과 국내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24]을 기반으로 세부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Figure 2).
Figure 2.
Program Components and Progress.
jkafn-29-4-517f2.jpg
교육 프로그램은 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주의 10가지 영역과 의료관련감염의 정의와 사례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감염관리의 이해를 높이고 임상실무에서의 적용, 원활한 소통과 학습 내용을 장기적으로 기억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 맞는 감염관리 간호를 반영한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를 제작하였다. 간호사가 병원으로 출근해서 간호사 유니폼으로 환복을 한 뒤, 근무를 시작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간호 업무의 일상에 감염관리 간호를 적용하는 상황을 연출하였다. 손위생이 필요한 시점(환자 접촉 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행위 후, 환자 접촉 후,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을 상황별로 구성하였으며, 무균술, 소독과 멸균, 수술 부위 감염관리, 개인보호구, 치료기구 및 물품, 환경관리, 린넨, 감염 예방을 위한 주사실무, 격리, 직원안전, 감염성 질환자 간호 등 다양한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사례로는 입원한 환자가 입원 전 생활했던 요양병원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감염으로 격리 치료를 받았던 이력을 의무기록을 통해 확인하고, 원내 지침에 따라 선제격리를 적용하는 상황에 대하여 구성하였다. 두 번째 사례는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의 객담 검체와 흉부 X-ray 결과로부터 활동성 결핵이 의심되어 공기주의 격리 절차를 적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간호사가 공기주의 격리지침을 적용하여 간호를 제공하는 사례를 구성하였다. 위 두가지 사례는 접촉주의 및 공기주의 격리 프로세스(1인 격리실 및 음압 격리실로의 이동과 배치, 치료 장비와 기구관리, 개인보호구 착의 및 탈의 방법, 환경관리, 직원 간 공유를 위한 업무 절차 등)에 따라 감염관리 간호를 적용하는 사례이다. 감염예방을 위한 주사실무 및 무균술, 의료기관 사용기구 및 삽입기구 관련 감염 예방,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관리, 말초정맥관 관리, 소독과 멸균, 환경 소독 등의 상황별 감염관리 지침을 적용한 간호 활동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처 관리 드레싱 동영상, 개인보호구 착 ․ 탈의 동영상, 감염관리 프로토콜 등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의 내용 타당도 검증은 감염내과 교수(감염관리실장),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2인에게 교육의 목표, 시나리오 구성, 진행 과정, 평가 방법 등이 적합한지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

4) 실행단계

대조군에게는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실험군에게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제공하였다(Figure 2).
대조군에게 적용된 교육 프로그램은 감염관리, 표준주의, 손 위생, 격리, 개인보호구를 학습목록으로 구성한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이다. 연구자 1인이 120분 동안 1회에 걸쳐 시행하였다.
실험군에게 제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은 이론교육(60분), 감염관리 간호 경험하기(90분), 개인보호구 교육(60분), 디브리핑(30분)으로 1일 4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섹션은 감염관리의 이론교육으로 강의식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 섹션 감염관리 간호 경험하기는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와 ‘상처 관리 드레싱’ 동영상을 시청한 뒤, 5~6명을 1개의 그룹으로 편성하여 그룹별 토론을 하였다. 상황별 감염관리 시나리오를 제공한 뒤 간호 적용에 관한 토론을 한 후 발표를 통해 공유하였다. 세 번째 섹션 개인보호구 교육은 개인보호구 관련 지침에 대한 이론교육과 개인보호구 착 ․ 탈의 동영상을 시청 후 실습을 시행하였다. 실습 후 손위생, N95 마스크 착 ․ 탈의,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 개인보호구 착 ․ 탈의 방법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네 번째 섹션 디브리핑 시간에는 구조화된 지침을 가지고 학습자 자신이 수행한 내용을 확인하고 디지털 스토리텔링 감염관리 교육을 통한 개인 성찰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감염관리가 필요한 임상상황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감염관리 지침을 적용하여 간호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에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에 관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염관리 교육 및 개인보호구 교육은 연구자 2인이 진행하였으며, 개인보호구 착 ․ 탈의 방법에 대한 평가는 연구보조자 2인과 연구자 2인을 포함한 총 4인이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5) 평가단계

평가단계에서는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감염내과 교수(감염관리실장),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2인에게 프로그램 운영 적절성 등을 확인하였고, 현재 임상에서 근무 중인 1년 미만의 간호사 5명과 감염관리 교육간호사 2명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해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와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다.

5.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검증

최종 완성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실행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6월 2일부터 7월 30일까지로 대조군과 실험군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전 일반적 특성이 포함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신뢰도와 그릿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해오던 기존의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제공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4가지 섹션(이론교육, 감염관리 간호 경험하기, 개인보호구 교육, 디브리핑)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제공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에 대한 사후 설문조사는 임상실무에서 표준주의 지침의 수행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감염관리 교육을 제공한 3주 후에 평가하였다[18]. 연구대상자의 설문지 배부 및 수거,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자료수집 보조원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교육 중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조군에게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진행한 뒤 실험군에게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적용하였다.

6. 자료분석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관련 특성,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 그릿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점수에 대한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검정법으로 검토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x2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교육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 그릿의 집단 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7. 윤리적 고려

본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하여 연구자가 소속된 병원의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IRB No. CUNH-05-001)을 받았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교육 일정 중 감염관리 교육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효과 평가 연구에 관하여 설명 후 진행하였다. 자발적 연구참여를 도모하고 연구자에 의한 연구결과에 미치는 제3의 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자의 부재하에 연구보조자가 연구에 대한 목적과 과정, 방법, 연구참여로 인한 유익성과 유해성, 중단 및 철회 가능성, 비밀 유지 및 익명성,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할 것, 자료수집방법 및 소요시간, 교육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등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서면 동의 한 대상자에게 설문에 응답하게 함으로써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에 대한 윤리적 측면과 교육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가 종료된 후 원내 전산망(group ware)에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자료를 게시하여 공유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및 동질성 검증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조군 28명, 실험군 30명으로 총 58명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대조군 22.89±1.87세이고, 실험군 22.90±0.66세였으며, 최종학력은 대조군의 78.6%와 실험군의 90.0%가 학사 졸업이었다.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 정도는 ‘낮음’ 3명(5.2%), ‘보통’ 28명(48.3%), ‘보통 이상’ 27명(46.6%)이며,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 32명(55.2%), ‘매우 필요하다’ 23명(39.7%)으로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대조군의 96.4%와 실험군의 83.3%가 감염관리 교육을 이수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령, 성별, 학력, 감염관리 인지 정도,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생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Table 1.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N=58)
Characteristics Categories Total (n=58) Cont. (n=28) Exp. (n=30) x2 or t (p)
n (%) or M± SD n (%) or M± SD n (%) or M± SD
Age (year) 22.90±1.37 22.89±1.87 22.90±0.66 -0.02 (.985)
Gender Men 3 (5.2) 2 (7.1) 1 (3.3) (.474)
Women 55 (94.8) 26 (92.9) 29 (96.7)
Education College 9 (15.5) 6 (21.4) 3 (10.0) (.201)
Universty 49 (84.5) 22 (78.6) 27 (90.0)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Very low 0 (0.0) 0 (0.0) 0 (0.0) (.375)
Low 3 (5.2) 1 (3.6) 2 (6.7)
Moderate 28 (48.3) 11 (39.3) 17 (56.6)
High 27 (46.6) 16 (57.1) 11 (36.7)
Very high 0 (0.0) 0 (0.0) 0 (0.0)
Need for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Very low 0 (0.0) 0 (0.0) 0 (0.0) (.218)
Low 0 (0.0) 0 (0.0) 0 (0.0)
Moderate 3 (5.2) 3 (10.7) 0 (0.0)
High 32 (55.2) 14 (50.0) 18 (60.0)
Very high 23 (39.7) 11 (39.3) 12 (40.0)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Yes 52 (89.7) 27 (96.4) 25 (83.3) (.113)
No 6 (10.3) 1 (3.6) 5 (16.7)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Fisher's exact test.

2. 대상자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실험군과 대조군의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와 그릿에 대한 사전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 간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Table 2.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on Pretest (N=58)
Variables Cont. (n=28) Exp. (n=30) t (p)
M± SD M± SD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 4.79±0.21 4.76±0.24 0.44 (.661)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4.66±0.27 4.55±0.30 1.51 (.136)
GRIT 3.42±0.38 3.30±0.31 1.27 (.208)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3.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평가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 (N=58)
Variables Groups Pretest Posttest Difference (Posttest-Pretest) t (p)
M± SD M± SD M± SD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 Cont. (n=28) 4.79±0.21 4.85±0.14 0.06±0.20 -2.18 (.034)
Exp. (n=30) 4.76±0.24 4.96±0.10 0.20±0.26
   Hand hygiene Cont. (n=28) 4.70±0.30 4.91±0.16 0.21±0.32 -0.77 (.443)
Exp. (n=30) 4.68±0.30 4.96±0.13 0.28±0.32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nt. (n=28) 4.79±0.30 4.81±0.24 0.02±0.26 -2.21 (.031)
Exp. (n=30) 4.74±0.30 4.93±0.15 0.19±0.31
   Respiratory etiquette Cont. (n=28) 4.77±0.36 4.67±0.34 -0.11±0.48 -2.77 (.008)
Exp. (n=30) 4.81±0.32 5.00±0.00 0.19±0.32
   Patient care equipment Cont. (n=28) 4.93±0.18 4.88±0.32 -0.05±0.39 -2.23 (.030)
Exp. (n=30) 4.83±0.27 4.98±0.09 0.15±0.30
   Care of the environment Cont. (n=28) 4.57±0.52 4.77±0.37 0.20±0.52 -0.54 (.589)
Exp. (n=30) 4.68±0.43 4.95±0.15 0.27±0.47
   Linen Cont. (n=28) 4.77±0.42 4.75±0.35 -0.02±0.44 -1.92 (.060)
Exp. (n=30) 4.67±0.50 4.92±0.27 0.25±0.61
   Safe injection practices Cont. (n=28) 4.91±0.13 4.94±0.11 0.02±0.17 -1.40 (.167)
Exp. (n=30) 4.91±0.19 5.00±0.00 0.09±0.19
   Worker safety Cont. (n=28) 4.96±0.10 4.95±9.12 -0.01±0.17 -1.93 (.059)
Exp. (n=30) 4.88±0.24 4.98±0.08 0.10±0.26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Cont. (n=28) 4.66±0.27 4.76±0.34 0.10±0.42 -3.27 (.002)
Exp. (n=30) 4.55±0.30 4.95±0.08 0.40±0.28
   Hand hygiene Cont. (n=28) 4.80±0.57 4.76±0.34 -0.03±0.69 -2.60 (.013)
Exp. (n=30) 4.55±0.38 4.90±0.16 0.35±0.37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nt. (n=28) 4.53±0.39 4.71±0.42 0.18±0.55 -2.57 (.013)
Exp. (n=30) 4.44±0.46 4.96±0.09 0.52±0.45
   Respiratory etiquette Cont. (n=28) 4.46±0.49 4.73±0.50 0.26±0.65 -1.54 (.129)
Exp. (n=30) 4.41±0.64 4.93±0.22 0.52±0.64
   Patient care equipment Cont. (n=28) 4.61±0.46 4.77±0.42 0.16±0.68 -1.50 (.142)
Exp. (n=30) 4.62±0.41 5.00±0.00 0.38±0.41
   Care of the environment Cont. (n=28) 4.21±0.67 4.71±0.57 0.50±0.79 -1.55 (.126)
Exp. (n=30) 4.15±0.71 4.95±0.20 0.80±0.68
   Linen Cont. (n=28) 4.46±0.59 4.68±0.66 0.21±0.71 -2.69 (.009)
Exp. (n=30) 4.33±0.51 4.98±0.09 0.65±0.51
   Safe injection practices Cont. (n=28) 4.90±0.18 4.86±0.26 -0.04±0.30 -2.42 (.019)
Exp. (n=30) 4.83±0.37 5.00±0.00 0.17±0.37
   Worker safety Cont. (n=28) 4.95±0.15 4.86±0.32 -0.10±0.36 -2.66 (.010)
Exp. (n=30) 4.84±0.31 4.99±0.06 0.14±0.32
GRIT Cont. (n=28) 3.42±0.38 3.33±0.40 -0.09±0.55 -4.17 (<.001)
Exp. (n=30) 3.30±0.31 3.73±0.30 0.42±0.37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Cont. (n=28) 3.27±0.43 3.26±0.40 -0.01±0.56 -4.02 (<.001)
Exp. (n=30) 3.12±0.29 3.61±0.40 0.49±0.36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Cont. (n=28) 3.51±0.46 3.39±0.49 -0.12±0.64 -3.70 (<.001)
Exp. (n=30) 3.39±0.39 3.79±0.31 0.40±0.42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Cont. (n=28) 3.49±0.40 3.33±0.46 -0.16±0.63 -3.36 (.001)
Exp. (n=30) 3.43±0.41 3.79±0.30 0.37±0.56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1) 표준주의 인지도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76±0.24점에서 4.96±0.10점으로,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표준주의 인지도는 평균 4.79±0.21점에서 4.85±0.14점으로 증가하였다.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표준주의 인지도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2.18, p= .034). 따라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표준주의 인지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개인보호구(t=-2.21, p=.031), 호흡기 에티켓(t=-2.77, p=.008), 치료기구 및 물품(t=-2.23, p=.030)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표준주의 수행도

대조군의 표준주의 수행도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4.66±0.27점에서 4.76±0.34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은 4.55±0.30 점에서 4.95±0.0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3.27, p=.002).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표준주의 수행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손위생(t=-2.60, p=.013), 개인보호구(t=-2.57, p=.013), 린넨(t=-2.69, p=.009), 안전한 주사행위(t=-2.42, p=.019), 직원안전(t=-2.66, p=.010)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그릿

대조군의 그릿은 총 4점 만점에 평균 3.42±0.38점에서 3.33 ±0.40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은 3.30±0.31점에서 3.73 ±0.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그릿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4.17, p<.001).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그릿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지지되었다. 하위항목별로 살펴보면,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끈기(t=-4.02, p<.001), 간호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t=-3.70, p<.001), 환자 지향성 내적 동기(t=-3.36, p= .001)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 의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적용하여 표준주의 인지도와 표준주의 수행도, 그릿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비교,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의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표준주의지침 교육 프로그램이 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향상시켰다고 보고한 연구결과[5]와 사례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가 증가했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5]와 일치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 실무의 경험이 부족한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로 표준예방지침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상황에 맞는 감염관리 간호를 적용하고,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등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스토리텔링 감염관리 교육을 통해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된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손위생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표준주의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89.7%가 병원 입사 전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공되는 감염관리 교육을 받기 전 손위생 인지도 점수 결과 대조군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79점, 실험군은 평균 4.76점으로 손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규간호사의 학부 감염관리 교육경험에 따른 손위생 의도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결과[14] 학부 과정에서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신규간호사의 손위생 의도 점수가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손위생은 병원균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기본적이며 중요한 행위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14]. 손위생 수행도의 경우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빈도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손위생 교육을 적용받은 간호대학생의 손위생 수행률이 증가한 연구결과[26]와 일치하였다. 감염관리 간호 경험하기 프로그램 속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 영상을 통해 임상상황에서 손위생이 필요한 시점을 익히고, 올바른 손위생 방법을 체험한 것이 손위생 수행도 향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손위생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위생 방법의 정확성과 수행률의 지속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손위생 수행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26]. 손위생은 병원균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며, 감염 발생 예방을 위한 필수 행위로[24] 의료진들의 손위생 수행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추후 감염관리 교육 적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손위생 수행도에 대한 추적관찰과 수행도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개인보호구의 인지도와 수행도 점수는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격리실-시뮬레이션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적용받은 간호대학생의 개인보호구 착용 지식과 개인보호구 착용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13]와 유사하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간호에 대한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교육을 통해 감염 환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해주는 개인보호구 착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개인보호구 착 ․ 탈의 실습을 경험하며 불안감 감소 및 개인보호구 착용 자신감이 향상[13]되어 개인보호구 수행도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보호구는 감염성 질환이 있는 환자로부터 의료진을 보호하며, 환자와 보호자를 감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4,24]. 그러나, 보호가운 및 보안경 착용의 번거로움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개인보호구 수행률이 저조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27]. 개인보호구는 의료기관 내 감염병 확산을 예방을 위한 중요한 요인[28]으로, 개인보호구 착용이 습관화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과 반복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호흡기 에티켓은 실험군의 인지도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표준예방지침[23]을 기반으로 구성된 표준주의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비말주의 권고, 호흡기 에티켓 교육을 통해 호흡기 증상이 발생할 경우 마스크 착용과 기침 예절 등 호흡기 질환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어 중요성을 좀 더 기억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치료기구 및 물품은 실험군의 인지도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례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인지도를 평가한 연구결과[25] 치료기구 및 물품 영역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인 결과를 지지한다.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무균술, 혈관에 연결된 주사기구의 주사 포트, 카테터 허브 소독, 사용한 바늘 폐기 방법, 오염된 기구 사용 시 개인보호구 착용, 오염기구 및 날카로운 기구 폐기물 처리 등 치료기구 및 물품 관리방법을 통해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영된 결과라 생각된다.
안전한 주사행위와 직원안전의 인지도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전한 주사행위의 사전 인지도 점수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5점 만점에 4.91점, 직원안전의 인지도 점수는 대조군 4.96점, 실험군 4.88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국내 의료기관 내 C형 집단 발생을 계기로 주사제 사용 시 감염관리가 강조된 사회적 분위기와 주사기 재사용, 주사행위 시 무균술 미준수, 주사 약물의 오염으로 혈액 매개 바이러스 감염병을 발생시켜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일으킬 수 있어[29] 주사제 감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안전한 주사행위와 직원안전의 수행도는 교육 제공 후 실험군의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감염관리 간호 경험하기 프로그램 속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에서 무균술 및 주사 실무 감염관리를 적용하는 상황에 대한 행동과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주사행위 감염관리 수행으로 연결되어 반영된 결과라 생각된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주사제 사용 감염관리 수행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결과[30], 임상경력과 업무의 숙련성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 주사제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았다. 신규간호사의 수행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주사제 실무 및 감염관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침을 제공하고, 주사제 사용 감염관리 모니터링과 평가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주사제 감염관리 수행도 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30]. 병원 내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5,13,25], 감염관리 교육은 감염관리의 수행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본 연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를 통해 임상실무에서 감염관리 지침의 적용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고,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및 감염관리 간호에 대하여 그룹별로 토론하여 발표함으로써, 격리지침 적용에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표준주의 수행도 부분은 자가보고식 설문으로 측정되어 해석에 유의를 요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교육의 효과 평가는 교육을 제공한 뒤 3주에 측정되었다. 따라서,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장기적 추적관찰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그릿이 더 향상되었으며,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영역으로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끈기는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향상되었으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규간호사에게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적용하여 그릿의 효과를 평가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에 제한점이 있다. 유사한 연구를 살펴보면,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장점을 활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업에 대한 흥미와 지속적인 노력을 증가시켜 간호대학생의 그릿을 향상시킨 연구결과[31]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끈기는 개인의 열정과 인내를 뜻하는 것으로, 장기적이며 도전적인 인생의 목표 달성을 위해 실패나 역경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고자 하는 힘을 의미한다[10]. 감염관리 간호를 수행하는 여정과 숙련된 감염관리 간호사의 역할을 경험하며 흥미를 유도하고 성취감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통해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끈기를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것으로 생각된다[31].
간호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은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향상되었으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을 받은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과정 자신감이 향상된 연구결과와 유사하다[32].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에 따른 감염관리 교육을 학습하고, 그룹별 감염관리 상황에 따른 감염관리 간호를 적용하는 상황에 대해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공유하며 전문간호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어려움과 두려움을 극복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생각된다. 신규간호사로서 감염관리 간호의 수행을 두려워하지 않고 전문가를 향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자신감 향상과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환자 지향성 내적 동기는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향상되었으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관심을 두고 흥미를 느끼는 내적 동기는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자원으로[22], 본 연구에서 적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이 신규간호사들의 감염관리 간호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내적 동기자원을 향상시킨 것으로 알 수 있다. 의과대학생의 그릿 양성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혼합연구[33] 결과, 명확한 주제설정, 학습 목표, 반복적인 학습과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대상자들의 자아성찰과 자신 스스로를 조절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요구도 분석을 통해 학습목록을 구성하고, 역할 모델을 기반으로 한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환자 지향성 내적 동기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33]. 또한, 역할 모델을 기반으로 감염관리 간호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실습 교육을 접목시켜 성공적인 수행을 경험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내재적 동기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33]. 다재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34], 격리병실 배정, 선별검사 대상 기준, 유행 발생 관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았으며, 감염관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3].
본 연구를 통하여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 적용 후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그릿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임상상황과 전파경로별 감염관리 간호를 제공하는 상황을 연출한 ‘신규간호사의 슬기로운 감염관리’ 브이로그를 통해 임상실무에서 상황별 관리 및 계획, 결과를 파악하기 쉽고, 경험하지 않은 업무에 대한 임상적 추론을 용이하게 하였다[1719]. 또한, 신규간호사들의 감염관리 간호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오랫동안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임상실무에 적용하여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향상 및 그릿에 긍정적인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감염관리 교육을 제공하고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으나, 두 집단의 교육시간이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아 중재와 결과 간의 명확한 관련성을 파악하기에 제한이 따른다. 추후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충분히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 연구로써, 대상자의 편중과 연구결과의 확대 해석 및 일반화에 제한이 있으므로 추후 요양병원 및 2차, 3차 병원으로 확대하거나, 무작위 대조군 설계를 활용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감염병 유행 및 감염관리 간호가 중요한 요인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그릿이 향상되어 본 연구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다양한 교수 방법을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개발하여 병원 내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음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폭넓은 감염관리 프로그램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Han, N, Kim, J-H and Jang, I; Data collection - Kim, J-H;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Han, N, Kim, J-H and Jang, I;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Han, N and Jang, I.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ronavirus (COVID-19) [Internet].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 [cited 2022 August 11]. Available from:. https://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1&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cited 2022 February 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irector-general/speeches/detail/who-director-general-s-opening-remarks-at-the-media-briefing-on-covid-19---11-march-2020

3. Sikora A, Zahra F. Nosocomial Infections [Internet]. Treasure Island: Statpearls Publishing; 2022. [cited 2022 October 11].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9312/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ndard Precautions for All Patient Care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ited 2022 August 11].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basics/standard-precautions.html

5. Lee SJ, Moon J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standard precaution guidelines for hospital nurse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21; 15(2):15-26. https://doi.org/10.12811/kshsm.2021.15.2.015
crossref
6. Hong MH, Park JY. Nurses' perception of accredita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an accredited healthcare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 22(2):167-177.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67
crossref
7. Shin HY, Kim KH, Kim KS. Study on pediatric nurses'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 17(4):238-246.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4.238
crossref
8. Park JS, Choi MJ, Jang SY. The effects of preclinical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on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 21(1):75-8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75
crossref
9. Eskreis-Winkler L, Shulman EP, Beal SA, Duckworth AL.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2014; 5(36):1-12. https://doi.org/10.3389/fpsyg.2014.00036
crossref pmid pmc
10. Duckworth AL, Peterson C, Matthews MD, Kelly DR.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7; 92(6):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crossref pmid
11. Ko JH, Gu MO. Convergence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0; 11(4):369-38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4.369
crossref
12. Al-Faouri I, Okour SH, Alakour NA, Alrabadi N.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registered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Annals of Medicine and Sur-gery. 2021; 62: 419-424. https://doi.org/10.1016/j.amsu.2021.01.058
crossref pmid pmc
13. Jang I, Park M. Effect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based on iso-lation room-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1; 27(5):379-389. https://doi.org/10.11111/jkana.2021.27.5.379
crossref
14. Shin N, Lee S, Park M, Park Y, Kim S, Nam G. Differences between the intention to implement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experience and fulfillment of infection control among new nurses during un-dergraduate stud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021; 9(1):15-26. https://doi.org/10.17333/jkssn.2021.9.1.15
crossref
15. Lee R. Research tendency of storytelling utilization in Korean education - focusing on researchers' recognitions towards the designs of tellers and listeners in storytelling clas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2; 22(2):337-348. https://doi.org/10.5392/JKCA.2022.22.02.337
crossref
16. Gallets MP. Story-telling and story reading: a comparison of effects on children's memory and story comprehension [disser-tation]. ProQuest Information and Leaming Company: East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05. p. 1-1023.

17. Chang HK, Do YJ. Problem-based learning using digital Story-telling: examining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metacogni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 21(8):853-866.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8.853
crossref
18. Park M, Jang I, Giap TTT. ‘Walking in the patient's shoes’: an innovative training method using storytelling to promote knowledge transfer of patient-centered care in hospital: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21; 56: 103199. https://doi.org/10.1016/j.nepr.2021.103199
crossref pmid
19. Park SH, Chung YL. Analysis on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with application of digital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019; 23(5):465-477. https://doi.org/10.24231/rici.2019.23.5.465
crossref
20. Kim JS, Kong JH, Choi SN, Kim SS, Jung EY.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019; 7(1):31-43. https://doi.org/10.17333/JKSSN.2019.7.1.31
crossref
21. Hong SY, Kwon YS, Park HO. Nursing studen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in the hospita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 18(2):293-30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93
crossref
22. Park H, Lee K, Shin 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inical Nurses Grit Scale (CN-GR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 26(1):55-6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55
crossref
23. Molenda M. In search of the elusive ADDIE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2015; 54(2):40-42. https://doi.org/10.1002/pfi.21461
crossref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Internet]. Chungbuk: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2022. Jun 2]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

25. Kim JH, Song HS. The effect of the scenario bas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9; 9(7):85-94.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7.008
crossref
26. Hwang ES, Park JH. The effect of a scenario based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 23(2):194-203.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94
crossref
27. Oh JE, Park JY.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for standard precaution of healthcare workers of general hospital for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 16(4):231-249. https://doi.org/10.14400/JDC.2018.16.4.231
crossref
28. Mitchell R, Ogunremi T, Astrakianakis G, Bryce E, Gervais R, Gravel D, et al. Impact of the 2009 influenza A (H1N1) pan-demic on Canadian health care workers: a survey on vacci-nation, illness, absenteeism,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2; 40(7):611-616. https://doi.org/10.1016/j.ajic.2012.01.011
crossref pmid
29. Williams IT, Perz JF, Bell BP. Viral hepatitis transmission in ambulatory health care setting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04; 38(11):1592-1598. https://doi.org/10.1086/420935
crossref pmid
30. Roh MJ, Han MA, Park J, Ryu SY.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for injection and related procedures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7; 34(4):410-421. https://doi.org/10.32429/jkshp.2017.34.4.004
crossref
31. Hwang AR, Lee JR.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grit,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2; 22(5):656-666. https://doi.org/10.5392/JKCA.2022.22.05.656
crossref
32. Park H.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in new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018; 6(1):45-56. https://doi.org/10.17333/JKSSN.2018.6.1.45
crossref
33. Mirza TI, Yasmeen R, Mahboob U. Nurturing grit among med-ical students. Pakist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21; 37(2):531-535. https://doi.org/10.12669/pjms.37.2.2999
crossref pmid pmc
34. Lee MH.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related to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fection control among small and medium siz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0; 21(4):463-470. https://doi.org/10.5762/KAIS.2020.21.4.463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