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scussion-Based Legality-Focused Nursing Recor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Nursing Record Performanc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25;32(1):14-2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7739/jkafn.2025.32.1.14
1)Nurse, Pusan Nati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Korea
2)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Korea
김도혜1)orcid_icon, 강경림2),orcid_icon, 전정영1)orcid_icon
1)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간호사
2)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과학연구소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 Kang, Kyoungrim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49 Busandaehak-ro, Mulgeum-eup, Yangsan 50612, Korea Tel: +82-51-510-8346, Fax: +82-51-510-8308, E-mail: krkang@pusan.ac.kr
*This article is a condensed form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이 논문은 제1저자 김도혜의 석사학위논문의 축약본임.
Received 2024 July 4; Revised 2024 November 7; Accepted 2025 February 16.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gality-focused nursing record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on their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nursing record performance.

Methods

A randomized comparison of pre-and post-test results was conducted, with 62 participants from six colleges or universities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group (n=31 in three clusters) or a control group (n=31 in three cluster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wo 2-hour sessions of legality-focused nurs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s,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ritten handouts. Data collected included measures of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nursing record performanc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8.0, with the x2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The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scores of both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nursing record performance score improved more in the experimental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Universities can apply standardized nursing record education focusing on legal issues by selecting methods appropriate to their curriculum or situation. Education on the legal aspects of nursing records can assist in the utilization of standardized nursing records in clinical practice.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records, in turn, can enhance efficiency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better patient health outcome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간호사의 전문적이고 독자적인 역할변화와 기능 확대에 따라 활동과 책임의 한계가 넓어지면서 의료분쟁 발생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2]. 지난 20년간 간호사가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로 기소된 67건 중 약 54%가 간호사 단독으로 연루된 사례이며[2], 주된 쟁점은 간호기록의 작성이다[3,4]. 간호기록은 환자와 24시간 접촉하는 간호사가 대상자로부터 관찰한 내용과 제공한 모든 간호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타 직종보다 환자 상태를 명확히 나타낸다[5,6]. 특히, 표준화된 간호기록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최상의 간호 서비스를 장려하고, 전문적, 법적 기준을 충족하며[7] 의도치 않은 법적 분쟁상황에서 간호표준의 적정성을 입증하는 근거 자료가 된다[6,8]. 따라서 법적 측면을 고려한 표준화된 간호기록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간호기록 교육은 필수적이다.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교육은 간호기록의 일반적 원칙 및 작성지침, 간호기록 관련 과오‧과실 사례와 판례를 주요 내용으로 구성된 교육으로,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교육의 시작은 대학의 교과 과정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간호사는 83%에 해당한다[9]. 그러나 국내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교육의 대부분이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9-12] 현재 대학 교과 과정에서의 간호기록 교육은 대상자 상태에 대한 간호 처치 ‧ 수행 항목에 대한 실시간 기록보다는 간호과정에 대한 비중이 높다[13]. 간호기록의 중요성 법적 책임, 법적 간호기록 또는 간호기록 작성법의 강의 내용은 학교마다 상이하며[14], 간호사 대상의 간호기록 교육과 같이 판례 사례를 활용하여 간호기록을 수행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판례를 활용한 토의 교육은 법적인 지식 습득과 합법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능력, 준법 태도 향상을 위해 적합하다[15,16]. 그러나, 대학 과정의 교육 방식의 약 89%는 이론강의이며[14,17], 간호사 대상의 교육에서도 주로 강의식 교육이었다[9,10]. 강의와 팀 기반 교육을 병행하면 간호기록 지식, 수행 및 행위에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결과[12]가 있으나 다양한 교육 방식을 적용한 프로그램은 부족하다. 따라서 기존의 교육 방식과 차별화되고 간호기록의 법적 측면의 이해와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토의를 활용한 간호기록 교육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학습 효과는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적절히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18].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호기록 교육 연구는 지식수준만 주로 확인하였고[14,17], 간호기록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음에도 간호기록 수행 자신감은 23%에 불과하였다[17].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로서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 향상에 법적 측면을 강조한 토의 중심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이 효과적인지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과 서면 교육을 적용한 후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2. 연구목적 및 가설

본 연구는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지식과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간호기록 지식 점수는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수행자신감 점수는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간호기록 수행 점수는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지식과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무작위 집락 배정(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사전 사후 설계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B시와 G도에 소재하고 있는 총 6개교의 간호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중 모집 공고문을 보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자를 대상으로, 대조군은 2022년 11월 29일부터 2023년 5월 26일까지 모집하였고, 실험군은 2022년 11월 22일부터 2023년 4월 26일까지 모집하여 2∼3일 간격을 두고 총 2회기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선정기준은 간호과정에 대한 교과목 수강 및 기본 간호학 교과목 수업내용 중 기록과 보고 항목의 수업을 수강한 자와 전반적으로 임상 실무와 연관성이 높은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임상 실습의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과수업 과정 외 특별교육(워크숍, 세미나)으로서 간호기록 작성 방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자는 제외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간호사 대상으로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시행한 선행연구[12]를 근거로 산출하였다. G*Power 3.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효과 크기 0.8, 검정력 .85, 유의수준 .05로 설정하여 최소 표본 수를 구한 결과, 그룹당 각 30명이 산출되었다.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72명 모집을 목표로 하였으나 총 63명이 모집되었다. 각 대학을 동전 던지기 방법을 통해 3개교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고 실험군 32명, 대조군 31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 32명 중 사후 조사를 완료하지 않은 1명이 중도 탈락하여 총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수는 총 62명이었다.

3. 연구도구

1)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에 대한 지식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지식은 Kim과 Park [19]이 개발한 법적인 관점에서의 간호기록 지식 측정도구로 개발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간호기록을 해야 할 것을 의미하는 작위성과 간호기록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의미하는 부작위성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작위성은 12가지 속성에 해당하는 39문항, 부작위성은 14가지 속성에 해당하는 26문항으로 총 65문항이며, 지식 점수는 정답을 1점, 오답을 0점으로 하여 맞은 개수의 문항을 합하여 산출한다. 점수의 범위는 0∼65점이며, 총점이 높을수록 법적인 관점에서의 간호기록 작성 방법의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KR-20값은 .73이었고, 본 연구에서 도구 신뢰도 KR-20 값은 .78이었다.

2)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수행자신감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수행자신감은 Kim 등[9]이 개발한 간호사 대상의 법적 관점에서의 간호기록 작성 방법에 따른 수행자신감 측정도구로 개발자의 수정 ‧ 보완 승인을 받은 후 간호대학생 대상에 적합하도록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5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며, 점수의 범위는 5∼2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법적 측면에서의 간호기록 작성 방법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87이었고, 본 연구에서 측정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93이었다.

3)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수행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수행은 Kim과 Park [19]이 개발한 법적인 관점에서의 간호기록 지식 측정도구의 수정‧보완에 대한 승인을 받은 후 도구의 속성을 활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수행에 맞게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연구자는 지식 측정도구의 작위성, 부작위성의 총 28가지 속성 중 각 회기별 학습 목표와 관련하여 간호기록 수행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7가지 속성을 추출하였다. 이 도구는 총 4∼6문항으로 평가자에 의해 간호기록 수행을 측정하도록 구성하였고 임상 전문가 3인과 간호학 교수 3인, 총 6인의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간호기록 수행의 점수는 정답을 1점, 오답을 0점으로 하여 맞은 개수의 문항을 합하여 산출한다. 점수의 범위는 4문항일 경우 0∼4점이며, 6문항일 경우 0∼6점으로 총점이 높을수록 법적 측면에서의 간호기록 수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KR-20값은 .89였다.

4. 자료수집

1) 간호기록 작성 교육 내용 타당도 확인

Do와 Kim [12]의 간호사 대상으로 한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 계획안을 간호대학생의 특성에 맞게 수정 ‧ 보완하였다. 기존 선행연구[21]의 교육안에 포함된 주요 구성 내용을 포함하고 문헌 고찰을 통해 임상적 실무상황으로 강조되어 온 시뮬레이션 주제나 실제 임상 실습으로는 경험하기 어려운 주제, 임상에서 자주 활용되는 항목으로 핵심간호술 4가지를 선정하였다. 간호 처치 후 즉시 기록하는 것은 법적 근거자료에 있어 중요한 부분인데 핵심간호술은 간호사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는 기본 술기를 포함한 것으로, 간호 처치 후 실시간으로 기록해야 하는 항목 대다수가 포함되어 있어 첫 번째 간호기록 수행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홈페이지와 문헌 내 판례에서 중복되는 사례의 주제를 찾아 선정한 후 임상적 실무상황을 반영한 시나리오 2가지, 실제 판례 상황을 바탕으로 한 사례 1가지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와 관련된 구성 형식은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대한 문헌을 참고하였고, 연구자가 근무하는 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일부의 건강상태와 연구자의 임상 경험을 토대로 가상의 상황을 구성하였으며, 환자들의 개인정보는 포함하지 않았다. 핵심간호술 관련 간호기록 수행 자료 중 2가지는 출판사(현문사)의 동의를 구한 후 무료로 제공하는 동영상과 동영상 내 포함된 사례를 사용하였다. 강의를 위한 교육자료는 Kim과 Park [19]이 개발한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지식수준 측정도구의 작위성과 부작위성 속성을 이용한 간호기록 작성 방법 지침서와 국내외 문헌들, 대법원 종합법률정보의 홈페이지, 빅케이스 판례 검색사이트, 환자 안전사고 보고 시스템, 실제 EMR 예시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자료로 간호상황별 간호기록 사례집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보건 의료현장에서의 환자 안전사고 발생 시 보고체계는 부서 내 관리자의 허가를 받고 연구자가 근무하는 병원의 보고체계를 예시로 사용하였다. 간호기록 수행 도구를 포함한 교육 자료의 전반적인 내용 타당성 확인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얻기 위해 임상 전문가 3인, 간호학 교수 3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정받았다. 내용 타당도는 총 4점 Likert 척도로서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0.8 이상인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차 전문가 내용 타당성 검토에서 총 6문항에 대해 CVI는 0.8 이상이었으나 작위성과 부작위성에 대한 임상적 예시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간호대학생이 이해하기 쉬우면서 명확하고 구체적인 위기 상황 제시와 이에 따른 대처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있어 이에 대해 수정 ‧ 보완하였다. 1차와 동일한 6인의 전문가에게 수정된 내용에 대해 2차 내용 타당도를 조사하였고 모든 문항이 0.8 이상으로 추가 의견은 없었다.

2) 연구 보조자 교육

연구 보조자 1인은 실험군과 대조군 중재의 운영 보조 및 연구자와 함께 간호기록 수행에 대한 측정을 담당하였다. 중재 3주 전, 연구자는 연구 보조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조사 도구에 대한 설명과 간호기록 작성지침 및 간호기록 수행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2시간 교육하였다.

3) 예비조사

본 연구의 예비조사는 중재를 시작하기에 앞서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된 간호기록 지식 도구 설문지의 문항과 간호기록 작성 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이해도 및 수정 ‧ 보완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예비조사의 대상자는 본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G도 소재의 K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5인이었다. 실험군 교육환경과 비슷한 조건의 교육 장소에서 실험군 중재와 동일한 사전 ‧ 사후 조사 및 교육내용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예비조사에서 학생들이 임상적 시나리오를 보고 간호기록을 작성할 때 충분한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의 실제 중재 교육에는 발표와 피드백 시간을 조절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교육내용과 설문지 문항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 대상자 모집

교육 2∼3주 전, 각 해당 대학의 학과에 허락을 받은 후, 학과 내 게시판 또는 3, 4학년 강의실에 QR코드가 포함된 연구참여 공고문을 게시하거나 가능한 경우 온라인으로도 함께 게시하였다. 연구참여에 희망하는 대상자는 모집공고문에 포함된 QR코드를 통해 연구의 설명문을 확인하고 자발적으로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교육 시작 1일 전 교육 일정 및 장소에 대한 개별 안내 메시지 전송을 위해 본 연구의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 스스로가 연락처를 입력하였다.

5) 사전 조사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1일 전 교육 일정 및 장소 안내 메시지와 네이버 폼 설문지 URL 링크를 함께 보냈다. 교육 시작 1시간 전까지 네이버 폼 설문지 URL 링크에 접속하여 일반적 특성과 간호기록 작성 방법 교육 관련 특성 설문지,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지식 측정도구 설문지, 법적 관점의 수행자신감 측정도구 설문지의 각 항목에 따라 사전 조사를 시행하였다.

6) 실험군: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 중재

2022년 11월 22일부터 2023년 4월 26일까지 실험군에 포함된 3개교를 학교별로 나누어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은 학교마다 모집된 인원수에 따라 최소 2조에서 최대 6조로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각 조당 최소 2인에서 최대 6인의 학생으로 구성하여 조별 토의 중심으로 간호기록을 직접 작성해보는 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시간 및 회기는 총 2회기, 각 1회기의 당 도입, 전개, 마무리 순서로 총 2시간이며 1회기 끝나고 2∼3일이 지난 후 다음 회기를 시행하였다. 교육 장소는 강의와 동영상 및 유인물과 같은 시청각 매체의 활용을 위해 연구대상자의 학교 강의실을 활용하였으며, 강의실 대여가 불가능할 경우, 빔프로젝터 또는 전자 칠판이 탑재된 공간을 대여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The Contents of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1) 1회기

본 연구의 연구자는 작위성과 부작위성을 고려한 간호기록 작성지침에 대해 강의를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임상적 상황의 예시를 수기 기록과 EMR 기록 2가지 형식으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환자 안전사고 보고 시스템에 등록된 2가지 사례를 활용하여 작위성과 부작위성을 강조하고 환자 안전사고 오류 예방 및 위기 상황 대처하는 방법과 간호기록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간호기록 수행 실습으로 총 4가지의 핵심간호술 중 2가지는 동영상을 보고 실무상황에 맞게 간호기록을 작성해보도록 하였다. 나머지 2가지 사례는 실무상황에 맞게 작성된 간호기록의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여 작성해보도록 하였다. 제공된 단서에 대해 조별 토의를 통해 의견을 나누면서 올바르게 수정 및 재작성하도록 하였다. 간호기록 수행이 완료된 후에는 조마다 1명씩 돌아가며 작성한 내용 또는 수정한 내용에 대해 발표하였고, 연구자는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2) 2회기

실제 판례 사례를 통해 간호기록의 법적 중요성을 교육하고, 임상 상황을 반영한 시나리오와 판례를 기반으로 만든 사례를 이용하여 간호기록을 작성해보는 실습 교육을 시행하였다. 간호기록 수행 실습에서 주어진 시나리오를 읽고 기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을 표시하게 한 후 1회기와 같이 조별 토의를 통해 의견을 나누도록 하였으며, 이후 함께 작위성과 부작위성을 고려한 간호기록을 작성해나가도록 하였다. 또한, 조별로 실제 판례 사례를 보고 문제점이라고 생각되는 부분과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적절한 대처 방법 등에 대해서도 함께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토의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였다. 조별로 토의한 내용과 간호기록 수행한 부분에 대하여 각 조의 대표 1∼2명이 발표하였고, 전체 토의로 확대하여 의견을 나누고 공유하였다.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는 순회하면서 토의하는 과정을 관찰하여 메모한 것과 간호기록 수행을 측정한 것을 토대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7) 대조군: 서면 교육

2022년 11월 29일부터 2023년 5월 26일까지 대조군에 포함된 3개교를 학교별로 나누어 실험군 교육환경과 비슷한 조건을 갖춘 학교 내 강의실에서 진행하였다. 강의실 대여가 불가능할 경우, 빔프로젝터 또는 전자 칠판이 탑재된 공간을 대여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 또한, 학교마다 모집된 인원수에 따라 최소 2조에서 최대 6조로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각 조당 최소 2인에서 최대 6인의 학생으로 구성하되 2회기 동안 강의와 조별 토의 없이 실험군과 동일한 서면 교육자료와 유인물만 제공하였고 각자 읽도록 하였다. 2가지의 핵심간호술 동영상은 반복 재생 및 동영상 임의 게시 등 방지하기 위해 연구자가 교육 장소에 준비된 컴퓨터 또는 개인 노트북으로 출판사에서 받은 온라인 링크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서로 간의 의견 공유 없이 개인별로 간호기록을 수행하도록 했으며 총 7가지의 간호기록 수행 항목을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이후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는 작성한 간호기록 내용을 간호기록 수행 도구에 따라 평가하였다. 전체 연구가 종료된 후 대조군의 간호기록 수행 결과에 대해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8) 사후 조사

각 군 모두 중재가 끝난 당일 연구 종료 메시지와 함께 네이버 폼 설문지 URL 링크를 보내어 24시간 내 사후 조사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사전, 사후 조사까지 완료한 후 대상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지급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P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P** IRB/202*-**-HR)의 승인을 받았다. 연구참여에 희망하는 대상자 스스로가 모집 공고문 QR코드에 접속하여 연구에 대한 설명문을 확인한 후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참여 및 중단의 자발성 등에 관한 내용과 연구참여자의 자료를 무기명 처리, 연구목적을 위해 사용한다는 내용을 제공하였다. 연구 종료 후 소정의 답례품 제공을 위한 대상자의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한 경우, 이름과 연락처를 기재하도록 하였고, 이는 답례품 보상이 완료된 후 즉각 폐기 처리하였다. 온라인 포함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한 자료만 연구자의 개인 컴퓨터에 저장하고 패스워드를 통해 접근이 제한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기록 작성 교육 관련 특성은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x2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두 군 간의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에 대한 사전 ‧ 사후 값의 그룹 내 검정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 동질성 검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간호기록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공분산분석(ANCOVA)으로 통제하여 집단 간의 사전 ‧ 사후 차이 값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간호기록 수행의 사후 점수 차이 값에 대한 검정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증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이 동질하였다. 간호기록 작성 교육 관련 특성인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받은 경험, 간호기록 작성 교육 필요성,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교육 방식, 교육 횟수, 교육 시간, 앞으로의 참여 유무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중재 전 간호기록 지식(t=2.49, p=.016)과 수행자신감(t=-2.86, p=.006)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2).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Nursing Records Education,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articipants between Two Groups (N=62)

2. 가설검정

1) 가설 1

교육 중재 전 ‧ 후 간호기록 지식 점수 차이는 실험군이 8.03 ±4.62점, 대조군이 4.26±4.0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F=5.40, p=.024) 가설 1은 지지되었다(Table 3).

Comparison of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between Two Groups (N=62)

2) 가설 2

교육 중재 전 ‧ 후 수행자신감의 점수는 실혐군(t=-5.05, p<.001), 대조군(t=-8.90,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수행자신감의 점수 차이는 실험군 3.94±4.34점, 대조군 6.16±3.8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F=1.08, p=.303) 가설 2는 기각되었다(Table 3).

3) 가설 3

교육 중재 후 간호기록 수행 점수는 실험군이 23.97±4.70점, 대조군이 13.42±5.33점으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어(t=-8.26, p<.001) 가설 3은 지지되었다(Table 4).

Comparison of Nursing Record Performance between Two Groups (N=62)

논 의

본 연구는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토의 중심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간호기록 지식이 향상되었다. 이는 국내 대학병원의 간호사 대상으로 한 Kim [10]과 중소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Do와 Kim [12]에서 본 연구와 같은 간호기록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간호기록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간호기록 지식 점수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특히, 5일간 2시간씩 강의를 시행한 Kim [10]과 1일 총 2시간 세미나 형식으로 팀 기반 학습과 강의, 토론을 진행한 Do와 Kim [12]에 비해 본 연구에서의 실험군의 간호기록 지식의 변화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은 최소 2시간, 총 2회기 이상으로 구성하고, 강의 중심교육보다 토의를 적절히 활용하는 교육은 간호기록 지식 향상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간호기록 지식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 간호기록 지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임상 실습 경험이 있고, 주도적 학습 능력이 높은 3, 4학년 간호대학생[28,29]이므로 단순히 교육자료를 읽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서면 교육은 개별 학습 형태로[26], 제공된 유인물은 언제든지 원할 때 다시 볼 수 있어 학습한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27]. 그러므로 교육 과정과 상황에 따라 서면 교육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간호기록 지식을 습득하고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토의 중심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수행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3가지 질환의 시나리오와 관련하여 2시간 강의 후, 실험군만 추가로 2시간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 Kim과 Kim [30] 연구에서 중재 후 두 군의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통제집단이 없고 두 군 모두 중재에 노출된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31], 이는 교육적 중재 후 두 군 간의 수행자신감의 결과를 비교 ‧ 분석하는데 있어 제한적임을 시사하므로 신중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토의 중심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 수행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실제 실무를 관찰할 기회는 간호기록 수행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17] 실제 임상 상황을 기반으로 한 교육내용이 수행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경험[32]과 충분한 간호기록 수행 연습이 필요한데[25], 본 연구에서 다양한 임상 주제로 간호기록을 여러 차례 수행한 경험이 교육의 효과를 높여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토의 중심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서면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간호기록 수행이 향상되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의 Hwang 등[20] 연구에서 사례기반 손 위생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소그룹 토의 ‧ 토론한 실험군의 손 위생의 이행률이 대조군보다 향상된 결과와 Arias 등[21] 연구에서 치과대학생으로 치근관치료과정 중 소그룹 토의를 한 실험군의 기능수행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다만, 본 연구의 간호기록 수행 결과는 사전 측정값 없이 교육적 중재 후 변화만을 비교하였다. 실험처치의 확산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6개교를 두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나,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학교에 두 군의 중재를 동일하게 적용하기 위한 조정 과정에서 환경적인 요소로 인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간호기록 수행의 사전 조사가 미비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일부 제한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럼에도 토의 중심의 교육은 학생들의 참여를 장려하므로 강의 교육보다 학생들의 흥미 만족도, 학습 수준 등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22], 시뮬레이션 교육보다 비용 대비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23]. 특히, 법적 측면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기록의 수행을 향상시키는데에 토의 방법이 효과적이며[24], 간호기록 수행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25]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수행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 토의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대학의 간호기록 교육은 주로 기본적인 작성지침과 기록의 중요성 등에 대한 핵심적인 지식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으나[33], 간호 술기에 비해 간호기록에 대한 실습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아 반복적인 교육이 어렵고, 습득한 지식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간호대학생은 졸업한 직후 보건 의료현장에 투입 및 임상 실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환자 안전 개선과 잠재적 오류 감소를 위해 간호 ‧ 처치를 명확히 기록할 역량과[34] 법적 책임에 대한 인식 및 법적 측면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35]. 따라서 간호대학생 대상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은 장래의 전문직 의료인으로서 보다 경각심을 가지고 간호기록을 수행하도록 할 것이며 의도치 않은 법적 의료분쟁이 발생하여도 대처 가능한 간호기록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각 대학의 교과과정이나 교육내용의 구성, 개인의 학습 수준 및 역량에도 편차가 있으므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또한, 각 대학을 무작위로 배정한 후 두 군 모두 토의 중심 교육 또는 서면 교육 중재를 적용하여 결과를 검정하였으므로 교육 중재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배정하지 못한 제한점을 지닌다. 본 연구의 연구자는 교육 중재의 교수자이면서 동시에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평가자의 역할을 함께 하였으므로 편향(bias)의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간호 교과과정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수법에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을 적용하거나 사전에 내생 변수를 통제하고, 통제집단을 추가한 무작위 배정 중재 연구를 반복적으로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토의 중심의 법적 측면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이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기록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그 결과 토의 중심의 간호기록 작성 교육과 서면 교육 모두 간호기록 지식,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간호기록 수행을 높이는 데는 토의 중심 교육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대학 교과 과정에서의 간호기록 교육은 이론강의 혹은 교수자 중심교육이므로 토의 중심 간호기록 교육은 기존의 교육과 차별화된 교육 전략 될 수 있다. 또한, 서면 교육을 통해 간호기록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향상된 점은 간호기록 수행이 향상될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므로 각 대학은 교육 과정이나 상황에 적절한 방법으로 택하여 법적 측면을 고려한 표준화된 간호기록 교육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졸업 후 임상 실무에서 환자 안전과 관련하여 의도치 않은 법적 분쟁상황에 적절히 대처했다는 증거자료로서 상세하고 정확하며 표준화된 간호기록 작성에 도움을 줄 것이다. 더 나아가 간호기록의 질을 향상시켜 의료진 간 의사소통의 효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를 최상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Kim DH and Kang K; Data collection - Kim DH;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Kim DH and Kang K;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Kim DH and Kang K.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References

1. . Kim MY, Jeon MY, Choi SJ, Kim JH, Kim HY, Lim CS. Medical professionals’ experiences with the professional nurse system.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21;14(2):42–56. https://doi.org/10.34250/jkccn.2021.14.2.42.
2. . Song SS, Kim EJ. Analysis of case law for nurse negligence causing death.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21;28(1):30–40. https://doi.org/10.5953/JMJH.2021.28.1.30.
3. . Heo HK, Kim KK, Jeong JS. Systematic content analysis of nursing malpractice cases related to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3;29(2):99–108. https://doi.org/10.11111/jkana.2023.29.2.99.
4. . Choi JS. Analysis and response to medical disputes experi-enced by nurses. Korean surgical society spring conference Gyeongju: Korean Surgical Society Conference Abstracts; 2019. p. 4.
5. . Kim GG, Kim IS, Kim DR, Kim MI. Nursing case law and man-agement guidelines. 1st ed.th ed. Paju: Koonja Publishing; 2001. p. 212–242.
6. . Cha JH. Nursing and Law. 1st ed.th ed. Seoul: Hyunmoonsa Publishing; 2016. p. 155–169.
7. . Selvi ST. Documentation in nursing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7;9(4):121–123. https://doi.org/10.5958/0974-9357.2017.00108.8.
8. . Kim GG, Cheon HS, Kim MH. Nursing case law and standard of care 1st ed.th ed. Paju: Soomoonsa Publishing; 2022. p. 189–202.
9. . Kim NH, Park YI, Lee YS, Yang YR. The effect of training on how to write nursing records from a legal perspective on nurses’ knowledge and confidence in writing nursing records at a local general hospital,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Journal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2019;9(12):509–522.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12.046.
10. . Kim Y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how to create nursing records from a legal perspective.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3):369–382. https://doi.org/10.22650/JKCNR.2013.19.3.369.
11. . Kim EY, Lee YJ. The effect of education on how to write nursing records from a legal perspective on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of nursing record writing.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3):277–283.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77.
12. . Do TH, Kim HJ. Effects of nursing record education focused on legal aspect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1;27(2):152–162. https://doi.org/10.5977/jkasne.2021.27.2.152.
13. . Song GA, Jeong SG, Yoon EJ, Yang JH, Choi DW, Kim YH, et al. Fundamentals of Nursing Paju: Soomoonsa Publishing; 2023.
14. . Kim JY. A study on the knowledge leve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the method of writing nursing record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21. p. 23–38.
15. . Lee JH, Pyo HD. Research on lecture programs of law-related ed-ucation for teachers. Research Report Goyang: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2018. Report No.: 32-9741568-001162-01.
16. . Park SJ. Case-based discussion as teaching method of law-re-lated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2003;42(2):211–230.
17. . Jeong EY, Yang SH. Nursing students’ level of knowledge about nursing records - from a legal perspective. East-West Nursing Research Journal. 2017;23(2):150–159. https://doi.org/10.14370/jewnr.2017.23.2.150.
18. . Miller GE.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competence/performance. Academic Medicine. 1990;65(9):63–67.
19. . Kim YM, Park SA. A nurse charting knowledge scale: focusing on legal aspect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2):27–38.
20. . Hwang ES, Park JH. The effect of a scenario based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2):194–203.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94.
21. . Arias A, Scott R, Peters OA, McClain E, Gluskin AH. Educatio-nal outcomes of small-group discussion versus traditional lecture format in dental students’ learning and skills acquisition.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016;80(4):459–465. https://doi.org/10.1002/j.0022-0337.2016.80.4.tb06104.x.
22. . Ataei M, Hamedani SS, Zameni F. Effective methods in medical education: from giving lectures to simulation. Journal of Advanced Pharmacy Education & Research. 2020;10:36–42.
23. . Wu JC, Chen HW, Chiu YJ, Chen YC, Kang YN, Hsu YT, et al. Comparison of simulation-bas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video-enhanc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improving the learning outcomes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22;118:105535. https://doi.org/10.1016/j.nedt.2022.105535.
24. . Andrews A, Aubyn BS. On the record: an innovative simulation teaching resource to teach undergraduate nurses how to write legally defensible patient docum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21;60(7):414–418. https://doi.org/10.3928/01484834-20210616-11.
25. . Mitchell J. Electronic documentation: assessment of newly graduated nurses’ competency and confidence levels. Online Journal of Nursing Informatics. 2015;19(2)
26. . Hwang SS, Han MH, Kim JM, Kim MH, Choi SH, Lee JA, et al. New school health 5th ed.th ed. Seoul: Gyechuk Publishing; 2015. p. 58–84.
27. . Purba DN, Damanik M, Silaban S, Simatupang L. The differ-ence of student's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 with prob-lem based learning using macromedia flash and handout. Jurnal Pendidikan Kimia. 2018;10(3):403–408. https://doi.org/10.24114/jpkim.v10i3.12704.
28. . Park SH, Kang YH, Lim HN, Lee JM, Eom MY, Kim BY, et al. An analysis of education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re-gional universities in Korea. Research Report Jincheon: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4 December. Report No.: RR2014-27.
29. . Kwon MS.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1;17(3):387–394.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387.
30. . Kim JY, Kim EJ.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clinical reasoning, and self-confidence: a quasi-ex-perimental stud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5):604–611. https://doi.org/10.7475/kjan.2015.27.5.604.
31. . Kim HJ.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smartphone video re-cording o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18;22(9):1199–1207. https://doi.org/10.6109/jkiice.2018.22.9.1199.
32. . Oh EY. The impact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students’ nursing record writ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19(12):627–639. https://doi.org/10.14400/JDC.2021.19.12.627.
33. . Lee SJ, Kim YM, Oh EG.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as per-ceived by nursing educators and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1;33(4):360–375. https://doi.org/10.7475/kjan.2021.33.4.360.
34. . Ezzeddine SH. Patient safety: nursing education to practice. Journal of Perioperative & Critical Intensive Care Nursing. 2017;3(2):1–5. https://doi.org/10.4172/2471-9870.10000139.
35. . Purabdollah M, Zamanzadeh V, Ghahramanian A, Valizadeh L, Mousavi S, Ghasempour M. Competencies expected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coping review. Nursing Open. 2023;10(12):7487–7508. https://doi.org/10.1002/nop2.202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The Contents of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Session Topic Contents Teaching methods Material Time (min)
1 Introduction ․ Social issues and policy changes
․ Revised medical laws and previously learned material
Lecture PPT Handout Video clip 15
Guidelines for writing nursing records ․ Content of records, content of not to be recorded, examples of nursing record methods.
․ Content of adverse events related to patient safety, examples of response methods and nursing record writing techniques.
PPT Handout 45
Practice of nursing record ․ Writing nursing records appropriate for nursing practice situations using two core nursing skills
․ Correcting the errors in the nursing records written based on two core nursing skills and rewriting
Group discussion
Presentation
Feedback
Handout Video clip 50
Finish ․ Summary &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PPT 10
2 Introduction ․ Summary of the content learned in the last session
․ Preview of the legal importance of nursing records
Lecture PPT 10
Practice of nursing record ․ Writing nursing records based on two scenarios developed from clinical practice situations Group discussion
Presentation
Feedback
PPT Handout 100
Nursing records from a legal point of view & discussing ․ Reviewing rules and cases related to medical records
․ Reviewing cases of nursing negligence and breach of duty
․ Response methods in situations similar to those in case law
Practice of nursing record ․ Write nursing records based on a scenario using case law situations
Conclusion ․ Summary &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PTT 10

Table 2.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Nursing Records Education,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articipants between Two Groups (N=62)

Characteristics Categories Exp. (n=31) Cont. (n=31) x2 or t (p)
n (%) or M± SD n (%) or M± SD
Gender Men 3 (9.7) 8 (25.8) 2.76 (.096)
Women 28 (90.3) 23 (74.2)
Age (year) 22.9±3.45 22.7±1.86 -0.28 (.785)
Experience of nursing records education Yes 0 (0.0) 0 (0.0)
No 31 (100.0) 31 (100.0)
Necessity of nursing records education Very necessity 13 (41.9) 10 (32.3) 0.65 (.885)
Necessity 16 (51.6) 19 (61.3)
Usual 1 (3.2) 1 (3.2)
A little necessity 1 (3.2) 1 (3.2)
Time of nursing records education (min) ≥60∼<90 23 (74.2) 20 (64.5) 2.09 (.350)
≥90∼<120 7 (22.6) 11 (35.5)
≥120∼<150 1 (3.2) 0 (0.0)
Sessions of nursing records education (terms) ≤2 10 (32.3) 10 (32.3) 2.91 (.406)
3∼5 17 (54.8) 19 (61.3)
6∼8 4 (12.9) 1 (3.2)
9∼12 0 (0.0) 0 (0.0)
≥13 0 (0.0) 1 (3.2)
Participation in nursing records education in the future Yes 26 (83.9) 21 (67.7) 3.24 (.199)
No 0 (0.0) 2 (6.5)
Do not know 5 (16.1) 8 (25.8)
Knowledge M±SD 52.97±4.56 55.68±4.01 2.49 (.016)
Self-confidence M±SD 19.61±3.97 16.48±4.62 -2.86 (.006)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3.

Comparison of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between Two Groups (N=62)

Variables Groups Pretest Posttest t (p) Difference F (p)
M± SD M± SD M± SD
Knowledge Exp. (n=31) 52.97±4.56 61.00±2.82 -9.69 (<.001) 8.03±4.62 5.40 (.024)
Cont. (n=31) 55.68±4.01 59.94±2.21 -5.92 (<.001) 4.26±4.01
Self-confidence Exp. (n=31) 19.61±3.97 23.55±1.82 -5.05 (<.001) 3.94±4.34 1.08 (.303)
Cont. (n=31) 16.48±4.62 22.65±1.78 -8.89 (<.001) 6.16±3.86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Paired t-test;

Measured by ANCOVA with pre-test scores of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as covariates.

Table 4.

Comparison of Nursing Record Performance between Two Groups (N=62)

Variable Exp. (n=31) Cont. (n=31) t (p)
M± SD M± SD
Nursing record performance 23.97±4.70 13.42±5.33 -8.26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