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생을 위한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 개발 및 효과 검증: 배액관 관리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Metaverse-based Core Nursing Skill Contents (CNSC) for Nursing Students: Drainage Managemen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24;31(4):447-45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November 30
doi : https://doi.org/10.7739/jkafn.2024.31.4.447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Gwangju, Korea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Gwangju, Korea
안민권1), 채민정2),orcid_icon
1)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 Chae, Min Jeong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309-2 Pilmun-daero, Dong-gu, Gwangju 61453, Korea Tel: +82-62-231-7084, Fax: +82-62-231-7019, E-mail: n2gether79@naver.com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본 연구는 2022년도 한국기본간호학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ceived 2024 March 28; Revised 2024 May 27; Accepted 2024 November 17.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act of metaverse-based content for teaching core nursing skills (CNSC)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selected using a non-synchronized design. A total of 71 participants (3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7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between May and June 2023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CNSC included scenarios focused on drain manageme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5 for Windows.

Results

Upon completing the CNSC,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core nursing skills knowledge (t=7.97, p<.001),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t=5.79, p<.001), and clinical competency (t=2.26, p=.003).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NSC designed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knowledge of core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skill performance, and clinical competency.

Keywords: 임상술기; 간호; 학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nfo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과 함께 메타버스 활용 교육은 여러 교육 분야에서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 COVID-19로 인해 언택드 교육이 급속도로 확산되었으며,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실제 임상환경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세계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은 간호교육 분야에서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2].

메타버스는 ‘초월’과 ‘상위’를 뜻하는 접두어 메타(meta)와 ‘세계’ 또는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가 결합된 단어로, 물리적 우주를 넘어선 새로운 공간을 의미하며, 가상의 공간에서 형성된 세계를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3]. 미래 기술 가속화를 연구하는 단체인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ASF)은 메타버스 로드맵(Metaverse Roadmap)에서 메타버스의 네 가지 요소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라이프로깅(Lifelogging), 미러월드(Mirror World), 가상세계(Vir-tual World)를 제시했다. 이 네 가지 중 두 가지 이상의 요소들이 혼재된 형태가 메타버스라고 개념을 정립하였다[4].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겹쳐서 볼 수 있도록 현실의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의 정보를 현실공간에 합성하는 기술이고, 라이프로깅은 페이스북과 같이 일상의 경험을 공유하거나 운동패턴 등을 기록해주는 기술이며, 미러월드는 구글맵과 같이 현실세계의 환경적 정보를 거울처럼 가상공간에 구축한 것이다[4]. 가상세계는 현실세계와 유사한 정치, 문화, 경제, 교육 등의 환경을 디지털 공간에 적용하는 것이다[4]. 메타버스를 앱 혹은 플랫폼 서비스와 혼동하거나 VR 게임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데[5], 고선영 등의 연구[5]에서는 메타버스만의 고유 특징인 세계관(Canon), 창작자(Creator), 디지털 통화(Currency), 일상의 연장(Continuity), 연결(Connectivity)의 ‘5C’를 규정하고 메타버스의 확장된 개념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도 하였다.

핵심간호술은 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서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하는 기술로, 간호사의 직무 수행 시 중요도와 빈도가 높은 기본적인 실무 능력이다[6].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간호교육과정에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량 중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습교육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습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18개의 핵심간호술을 지정하여 이를 교육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7]. 18개의 핵심간호술 항목 중 배액관 관리는 숙련된 간호제공이 필요한 영역으로 수술 후 간호의 일부로 편성되어 있었으나,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성취목표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어 2021년부터 독립된 핵심간호술로 분리하도록 하였다[8]. 배액관은 -인체 내부에 관을 삽입하여 장기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데, 배액관의 위치와 개방성, 감염의 징후를 확인하는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Hemovac이나 JP drian과 같은 다빈도 배액관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 교육과 훈련은 올바른 배액관 관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9]. 배액관 관리에 대한 연습은 수업시간이나 자율실습 시간에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수자는 배액관 관리 실습의 접근성과 비용효율성을 위해 가상의 공간 등을 활용하여[4]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스마트폰과 함께 성장하여 디지털 기기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디지털 네이티브 학생들은 디지털 게임, 유튜브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학습에 익숙하며,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간호 관련 학습 콘텐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다[10,11].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은 개인용 컴퓨터(PC)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도와주며, 지식의 향상, 임상수행 기술의 향상, 자신감, 만족감 향상에 효과적이다[12-14].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을 통해 유저들은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증강현실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실습 환경에서 콘텐츠를 실행을 통해 콘텐츠에 포함된 물품 등을 실제로 소모하지 않고도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로깅 기능을 활용하여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수행한 후, 수행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실습 평가 등 일상적인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병실 환경이나 물품 형태를 실제와 똑같이 구현하여 학생들이 평소 익숙한 환경 속에서 핵심간호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미러월드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익숙한 형태의 가상 환자와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학습자는 메타버스 기반의 콘텐츠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안전한 환경에서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하여 게임처럼 즐겁게(gamification) 학습할 수 있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며, 학습자의 학습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핵심간호술 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기반 교육의 장점을 통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 학생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하는 메타버스 기반 간호 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핵심간호술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핵심간호술 지식, 자기효능감, 자신감 및 핵심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었다. 핵심간호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연구로는 메타버스기반 활력징후 측정 및 피하주사 콘텐츠[15]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가 있었으며, VR을 활용한 연구로는 Immersive VR을 이용한 핵심간호술(인슐린 주사) 콘텐츠 개발 연구[18], VR 정맥수액주입 시뮬레이션의 적용 및 평가 연구[19] 등이 있었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 핵심간호술 교수법[11,16]과 핵심간호술 애플리케이션 개발[17] 등의 핵심간호술 지식, 자기효능감, 자신감 및 핵심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세계를 반영하고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국내 ‧ 외 간호학 분야 메타버스기반의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술 역량을 강화하고 질 높은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간호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이다.

3. 연구가설

  • 가설 1.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핵심간호술 지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임상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가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2.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G광역시의 C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을 편의 모집하였다. 본 연구자의 수업을 수강하지 않는 2학년 전체 재학생을 대상으로 SNS (Social Network Service; Kakao Talk)를 통해 모집 공고 후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기준은 1) 핵심간호술 이론을 학습한 학생(간호학과 2학년 1학기 이수 예정자), 2) 핵심간호술 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 3)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 수행 경험이 없는 학생이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하였으며, 선행연구[20]를 바탕으로 independent t-test를 위한 검정력 .90, 효과 크기 0.80, 유의수준 .05를 설정한 후 산출된 결과(양측검정)에 따르면, 집단별로 최소 34명의 표본이 필요하였다. 탈락률과 부실한 응답 등을 감안하여 중재군과 대조군 각각 35명을 모집 목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자는 C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중 대상자 선정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중재 효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과 중재군은 시차를 두고 모집하였다. 2학년 1학기 전체 재학생 중재군 후보 174명 중 사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는 35명이었으며, 그중 34명이 중재 직후 사후 조사에 참여하였다(탈락률 2.9%). 대조군 후보 37명 중 사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는 37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사후 조사에도 참여하였다. 최종 대상자는 중재군 34명과 대조군 37명으로 선정되어 총 71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는 소정의 선물(필기도구 등)을 제공하였다.

3. 연구도구

자가 보고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핵심간호술 지식, 수행 자신감 및 임상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들은 이메일을 통해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은 후 활용하였다.

1)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지식(배액관 관리 지식)은 한국기본간호학회 광주 ‧ 전라지회에서 개발한 핵심술기 학습 자료집[24]을 바탕으로 10개의 문항을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였으며, 5년 이상 기본간호학을 강의한 교수 2명과 성인간호학 교수 2명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내용 타당도는 구조화된 4점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해 응답자는 ‘매우 타당하다’ 4점, ‘타당하다’ 3점, ‘타당하지 않다’ 2점, ‘매우 타당하지 않다’ 1점으로 평가하였다.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0.94로 계산되어, 각 문항의 내용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핵심간호술 지식 도구는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점수가 클수록 핵심간호술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음을 나타낸다. 핵심간호술 지식 도구의 10개 문항은 ‘예’와 ‘아니요’의 이분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적 일관성 신뢰도 산출을 위해 Kuder-Richardson Formula 20 (KR-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81이었다.

2)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간호학생이 핵심간호술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점수로 평가한 것이다[7]. 이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18개 항목 중 배액관 관리와 관련된 항목을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로, 점수가 높을수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수는 1점에서 5점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클수록 수행자신감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구의 내적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는 .85로 나타났다.

3) 임상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은 Schwrian [21]의 Six-Dimension Scale을 바탕으로 Choi [22]가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임상수행능력과 관련된 5개의 하위 영역을 평가하며, 총 4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하위 영역은 간호과정 11문항, 간호기술 11문항, 간호교육/협력관계 8문항, 대인관계/의사소통 6문항, 그리고 전문직 발전 9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인 Likert 척도로, ’매우 잘 한다'는 5점에서 ‘매우 못 한다’는 1점까지 평가된다. 점수의 범위는 45점에서 225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내적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는 .96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94로 나타났다.

4.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강화 콘텐츠(배액관 관리)는 ASSURE 모형[23]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ASSURE 모형은 ‘1. 학습자 분석(Analyze learners), 2. 목표 설정(State objectives), 3. 교수 방법, 미디어 및 자료 선택(Select method, media and materials), 4. 미디어와 자료 활용(Utilize media and materials), 5. 학습자 참여 유도(Require learners partici-pation), 6. 평가 및 수정(Evaluate and revise)’의 6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3, 4단계와 5, 6단계를 하나의 과정으로 묶어 배액관 관리 콘텐츠 개발을 진행하였다. 1단계로 학습자 분석, 2단계로 목표 설정, 3단계로 교수 자료와 미디어 선택 및 활용, 4단계로 학습자 참여 유도와 평가 및 수정 절차를 진행하였다. 배액관 관리 콘텐츠는 물품준비, 대상자와 의사소통, 배액관 관리 수행 항목을 포함하여 10∼15분 정도의 수행시간이 소요되도록 구성하였다. 배액관 관리에 대한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 개발기간은 2022년 11월부터 2023년 4월까지였다.

‘학습자 분석’은 C대학교의 직전 학기 기본간호학실습 CQI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결과를 참고하여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진행’을 확인하였고, 문헌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 맞는 학습자의 핵심간호술 교육 요구도에 대해 파악하였다.

‘목표 설정’ 단계는 ‘임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간호 사례(배액관 관리)의 선행 경험을 통해 지식,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이 향상된다.’로 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수 자료와 미디어 선택 및 활용’ 단계에서는 1단계의 ‘학습자 분석’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요구도에 걸맞은 스마트 기기 등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인 메타버스 교육을 적용하였다. 배액관 관리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전문 업체와 협업하여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개발 엔진으로는 코스페이시스 에듀(Cospaces edu) 플랫폼 등을 활용하였다. 한국기본간호학회 광주 ‧ 전라지회에서 개발한 핵심술기학습자료집[24]을 참고하여 배액관 관리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구성하였으며, 퀴즈를 추가하여 메타버스 콘텐츠 진행 중간 중간에 학습자들이 풀도록 하였다.

‘학습자 참여 유도와 평가 및 수정’ 단계에서는 콘텐츠 내용의 적절성 평가를 위해 2023년 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간호사 5명, 간호학 교수 2명, C대학교 간호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통해 핵심간호술 정확성, 절차, 환경 및 이미지 구현도 등을 평가하였다. 평가 후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피드백을 받았으며, 콘텐츠 내용이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적절한지도 평가를 받았다. 평가 내용을 근거하여 핵심간호술 절차와 객체 이미지 등을 일부 수정하였다.

5. 연구진행

1) 사전 조사

중재군의 사전 조사는 2023년 5월 15일부터 2023년 5월 19일까지, 대조군은 2023년 5월 29일부터 2023년 6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직접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 작성에는 약 10∼15분이 소요되었다.

2) 중재 적용

중재군에게는 배액관 관리 술기가 포함된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에 대한 통상적 교육과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 교육을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배액관 관리 술기가 포함된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에 대한 통상적 교육을 제공하였다.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의 적용은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사전 조사 후 2주 이내에 이루어졌다. 실험 기간 동안 중재군에게는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가 두 차례 제공되었다. 콘텐츠 적용은 최초 적용 1주일 후 2회차 적용을 실시하였다. 각 회차 마다 ‘사전 오리엔테이션 →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 적용’의 순서로 운영하였다. 사전 오리엔테이션 시에는 Cospaces edu 플랫폼 사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 교육하였다. 핵심간호술 콘텐츠 공유 시 Cospaces edu 플랫폼 내 설정에서 ‘콘텐츠 공유’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콘텐츠 적용을 위해 배액관 관리 클래스룸을 개설한 후 교수자가 직접 클래스룸을 통해 배액관 관리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SNS (Kakao Talk)를 통해 해당 링크를 학생들에게 전달하여 시행하였다. 공유된 링크를 클릭 후 배액관 관리 콘텐츠에 접속하여 개인별로 술기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교수자는 동시 접속하여 클래스룸 내에서 학생들과 상호작용하였다.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또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Head Mounted Display (HMD) 장비를 활용하여 외부와 차단된 몰입형 체험(Immersive Ex-perience)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배액관 관리 시나리오는 담낭제거술 후 JP drain 적용 대상자로 1) 대상자 정보 파악, 2) 간호 상황에 맞는 물품 준비(간호 스테이션), 3) 대상자의 병실로 이동, 4) 대상자와 의사소통 후 간호문제를 파악, 5) 핵심간호술을 적용, 6) 물품정리 및 간호기록의 순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었다. 물품준비 시에는 배액관 관리에 필요한 물품뿐만 아니라 배액관 관리에 필요하지 않는 물품들도 구현하여 학생들이 배액관 관리에 필요한 물품을 직접 선택하도록 하였다. 배액관 관리 절차는 한국기본간호학회 광주 ‧ 전라지회에서 제공한 핵심술기학습자료집[24]에 명시된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중간 중간에 간단한 퀴즈를 포함시켜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Figure 1). 시나리오 수행에 걸리는 시간은 10∼15분이었으며, 중재 적용은 2학년 1학기 수업 시간 외에 이루어졌다.

Figure 1.

Screenshots of core nursing skill contents.

3) 사후 조사

중재군의 사후 조사는 2023년 5월 25일부터 5월 26일까지, 대조군은 2023년 6월 8일부터 6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직접 중재군과 대조군의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사후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지 작성에는 약 10∼15분이 소요되었다.

6. 자료분석

수집된 데이터는 IBM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양측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검정을 사용하여 수행했으며, 모든 변수들이 정규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 x2 검정과 Independent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이용해 산출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 간의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검증하였다.

7.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참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C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승인(2-7008161-A-N-01 (조간) 2021-08-01)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C대학교 2학년 전체 학생들에게 모집 공고 후 모집하였으며, 연구참여에 동의한 경우에만 연구대상자들이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익명성 보장과 비밀유지에 대해 설명하였고 연구의 절차 및 연구목적을 안내하였으며, 원할 경우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참여 중단 시에도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자발적 참여자들의 경우에도 성적 등에 어떠한 형태의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취약 집단에 대한 고려로 연구자의 지도학생이나 연구자의 수업에 참여 중인 학생은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연구결과

1.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대상자 대부분은 여학생이었으며, 직전 학기 성적수준(자가보고)은 중위권이 대부분이었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동질성 검정 결과, 성별, 성적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Table 1), 중재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Homogeneity Test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71)

2. 중재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종속변수인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 사전 동질성 검정 결과,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 모두에서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Table 2), 중재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N=71)

3.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의 효과검증

1) 핵심간호술 지식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핵심간호술 지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 1을 검정한 결과, 중재군은 2.86점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0.09점 증가하여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7.97, p< .001). 이에 따라 가설이 지지되었다(Table 3).

Effects of the Core Nursing Skill Contents (CNSC) on Dependent Variables (N=71)

2)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 2를 검정한 결과, 중재군은 1.61점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0.19점 증가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5.79, p<.001). 따라서 가설이 지지되었다(Table 3).

3) 임상수행능력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임상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 3을 검정한 결과, 중재군은 0.67점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0.23점 증가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26, p =.003). 또한, 하위영역에서는 간호과정(t=4.18, p<.001), 간호기술(t=4.29, p<.001), 간호교육/협력관계(t=1.9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3).

논 의

본 연구는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ASSURE 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핵심간호술 지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기반 유전상담 교육 후 유전지식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25]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기반 조현병 교육을 적용하여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26]와 일치 하였다. 또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V-story 메타버스기반 응급간호 교육을 적용하여 학습만족도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2]와 대학생 대상 메타버스(virbela) 기반 수업 적용 후 시각적 주의집중과 학습실재감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와 유사 하였다[27]. 메타버스 기반 선행연구들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교육 했을 때 시각적으로 주의집중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학습에 대한 실재감을 높여주어 콘텐츠 교육내용과 관련된 지식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메타버스 핵심간호술 콘텐츠 적용 후 핵심간호술 지식이 향상된 것은 콘텐츠의 시나리오에서 배액관 관리에 대한 지식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나리오 진행 중간 중간에 간단한 퀴즈를 풀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간호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여 능동적으로 새로운 교육매체를 체험하면서 흥미가 자연스럽게 유발되어 핵심간호술 지식을 습득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Cospace edu 플랫폼을 사용하여 ASF에서 제시한 메타버스의 4가지 요소(증강현실, 라이프로깅, 미러월드, 가상세계)[5]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Cospace edu 플랫폼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들은 증강현실 형태로 실제 실습실 등에서 현실과 겹쳐서 물품 등을 소모하지 않고도 실습해 볼 수 있으며, 라이프로깅 기능을 통해 수행영상을 저장하여 실습 평가 등에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병실 모습, 물품 형태 등을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였으며(미러월드), 가상의 환자와 공간 등도 제작하였다(가상세계). 이러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간호학생들이 높은 몰입도를 통해 생생한 체험을 해 볼 수 있으며, 게임하듯이 즐겁게(gamification) 오류에 대한 걱정 없이 핵심간호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핵심간호술 지식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결과를 통해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술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Seo [25]는 간호학생 대상 연구에서 메타버스 활용 교육이 유전상담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고 하였으며, Ahn [28]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교육 후 심폐소생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보고하였고, Shin과 Chung [29]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 모두는 메타버스 활용 교육이 자신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핵심간호술 콘텐츠 시나리오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간호 상황을 제시하고 실제 환자와 유사한 대상자와 의사소통 후 간호문제를 사정하고 필요한 핵심간호술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배액관 관리 프로토콜에 대한 세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간호학생들의 핵심간호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스마트폰 링크를 통해 클릭 몇 번으로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반복 수행을 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접근성을 높였으며, 한국어로 구성된 시나리오를 통해 언어의 어려움 없이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28] 가상의 환자에게 절차에 맞는 정확한 핵심간호술을 수행하여 자신감이 자연스럽게 향상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임상수행능력은 메타버스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적용한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Moon [2]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V-story 메타버스기반 응급간호 교육을 적용하여 임상수행능력 중 의사소통, 간호과정 영역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Ahn [28]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교육 후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이들 모두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방법이 임상수행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뒷받침 한다. 임상수행능력의 하위영역별로 보면 간호과정, 간호기술, 간호교육/협력관계 영역에서 중재군과 대조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의사소통 및 전문직 발전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중재군은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의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능동적으로 물품선택, 프로토콜(간호기술)에 따른 간호과정 적용, 환자교육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여겨진다. 임상수행능력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의사소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콘텐츠 특성상 교수자나 동료와의 상호작용보다는 핵심간호술 프로토콜 진행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한편,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활용 선행연구에서 중재군과 대조군 간의 임상수행능력 중 의사소통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난 결과[2]와는 상 이하였는데,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을 위한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배액관 관리 콘텐츠 적용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동일한 연구대상자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임상수행능력 하위요인 중 전문직 발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연구대상자인 간호학과 2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비교적 저학년으로 간호 전문직에 대해 뚜렷한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 시나리오에서는 전문직 발전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핵심간호술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주의 사항이나 절차를 숙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의사소통능력이 향상이나 전문직 발전을 위한 부분에서는 미흡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의 단점이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간호대상자 및 동료 등과의 상호작용과 간호전문직에 대한 내용들을 콘텐츠에 포함하는 개발이 필요하다.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주로 가상의 공간에서 이미지나 상황들이 구현되기 때문에 촉각과 후각 등의 감각기관을 활용한 간호사정은 수행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분명히 존재한다[15].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시에 현실 세계와 가상의 객체를 구현할 수 있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등의 초실감형 기술과 촉각을 활용할 수 있는 햅틱기술(haptic technology) 등을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과 생성형 AI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을 접목하여 학습자 맞춤형 가상 환자, 학습자 맞춤형 시나리오 등의 다양한 시도도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후 한 번만 중재효과에 대해 측정하였기 때문에 반복 측정을 통한 중재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임상수행능력을 도구로 측정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확대하거나 과장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을 증진 시키기 위한 간호교육 현장의 중재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COVID-19 팬데믹이 종료되어 메타버스 등에 대한 관심이 줄었지만 메타버스 기술은 현장실습이 꼭 필요한 간호교육 등의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실습이 필요한 교과목의 경우 실습 전 사전 체험 등의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 임상실습지 확보가 어렵거나 실습이 어려운 특수부서의 경우에도 현장실습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는 핵심간호술에 필요한 지식, 자신감, 수행능력을 스스로 습득할 수 있으며, 흥미 유발을 통해 학습자의 자발적 학습참여로 이끌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콘텐츠 체험 및 활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소양을 습득하여 간호학생이 예비간호사로서 미래형 간호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간호교육 현장과 간호 관련 학회 및 단체들의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도전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기반의 핵심간호술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이 콘텐츠가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술 지식,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메타버스 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간호학생 교육에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중재 직후의 효과만 측정하였기 때문에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 중재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임상수행능력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의사소통 및 전문직 발전 영역에 대한 메타버스 콘텐츠 적용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메타버스기반 핵심간호술 콘텐츠는 촉각이나 후각 등을 경험하는데 한계가 있으니 초실감형 기술, 햅틱기술, 생성형 AI 등을 접목 사용하여 시너지 효과에 대한 효과 탐색연구를 제언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Ahn MK and Chae MJ; Data collection -Ahn MK and Chae MJ;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Ahn MK and Chae MJ;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Ahn MK and Chae MJ.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References

1. . Park SH. From education to clinical, the medical industry also got on the ‘metaverse’ [Internet] Medipana news; 2021. [cited 2021 June 1]. Available from: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77354&sch_menu=1&sch_gubun=5.
2. . Moon SH. Metaverse based emergency nursing educational program using v-story. Crisisonomy. 2023;19(4):79–89.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23.19.4.79.
3. . Kang DS. Reading information society keywords with the new words of IT [Internet] Digital Times; 2009. [cited 2009 April 9]. Available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41002010560600003.
4. .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Metaverse roadmap path-way to the 3d web [Internet]. Metaverse roadmap summit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2006. [cited 2006 May 5]. Available from: https://www.accelerating.org.
5. . Ko SY, Chung HG, Kim JI, Shin YT. Concept of metaverse and development direction.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2021;28(1):7–16.
6. . Cho MY.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of Nursing. 2014;21(3):292–301. https://doi.org/10.7739/jkafn.2014.21.3.292.
7. .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2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college handbook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2.
8. .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fall prevention and drainage management protocols. Policy Research Report Incheon, South Korea: Incheon Catholic University; 2022 December.
9. . Jang H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ntional nursing rounds protocol of elderly nursing hospital nurses. [disser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9. p. 1–111.
10. . O'Connor S, Andrews T. Smartphones and mobile applications (apps)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a student perspective. Nurse Education Today. 2018;69:172–178. https://doi.org/10.1016/j.nedt.2018.07.013.
11. . Choi YS, Bae JH. The effect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using team building among nursing students before intro to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3):25–48.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3.25.
12. . Irwin P, Rosanne C. A systematic review of the experience of using second life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5;54(10):572–577. https://doi.org/10.3928/01484834-20150916-05.
13. . Miller M, Rebecca J. Avatars in nursing: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or. 2014;39(1):38–41. https://doi.org/10.1097/01.NNE.0000437367.03842.63.
14. . Shin HS, Rim DH, Kim HJ, Park SJ, Shon SY.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9;37:18–28. https://doi.org/10.1016/j.ecns.2019.08.002.
15. . Ahn MK.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metaverse-based core nursing skill contents of vital signs measurements and subcutaneous injection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2;28(4):378–388. https://doi.org/10.5977/jkasne.2022.28.4.378.
16. . Lee SG, Shin YH.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2):283–292. https://doi.org/10.4040/jkan.2016.46.2.283.
17. . Seo JY, Kang JY. Development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mobile app for nursing student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20(23):1415–1434.
18. . Kim JK, Yu HY, Lee YS. A convergence research for development of VR education contents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1;21(9):714–722.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714.
19. . Lee J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travenous injection training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2;19(9):1–11. https://doi.org/10.3390/ijerph19095439.
20. . Kang HC, Yeon KP, Han ST. A review on the use of effect size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641–649. https://doi.org/10.4040/jkan.2015.45.5.641.
21. . Schwrian PM.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 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1978;27(6):347–350.
22. . Choi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5. p. 1–70.
23. . Heinich R, Molenda M, Russell JD, Smaldino SE.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7th ed.th ed. (NJ): Pearson Education Ltd; 2002. p. 1–396.
24. . Gwangju and Jeolla Branch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Learning materials collection of core nursing skills Gwangju; 2022. p. 1–113.
25. . Seo MS. Development and impact of a metaverse-based, ge-netic-counsel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Nursing Health and Issues. 2024;29(1):1–9. https://doi.org/10.33527/nhi2024.29.1.1.
26. . Yang SY, Kang MK. Efficacy testing of a multi-access meta-verse-based early onset schizophrenia nursing simulation program: a quasi-experiment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2;20(1):449. https://doi.org/10.3390/ijerph20010449.
27. . Yang EB, Ryu JH. Effects of peer and teacher avatars on learning presence and visual attention in the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21;27(4):1629–1653. https://doi.org/10.15833/KAFEIAM.27.4.1629.
28. . Ahn MK. Development and effects of metaverse-based CPR training.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23;24(6):1347–1352. https://doi.org/10.9728/dcs.2023.24.6.1347.
29. . Shin JH, Chung DH. Effect of expectancy-value and self-efficacy on the satisfaction with metaverse learning. Infomatization Policy. 2022;29(4):26–42. https://doi.org/10.22693/NIAIP.2022.29.4.02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Screenshots of core nursing skill contents.

Table 1.

Homogeneity Test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71)

Characteristics Exp. (n=34) Cont. (n=37) x2 p
n (%) n (%)
Gender Men 7 (20.6) 9 (24.3) 0.72 .861
Women 27 (79.4) 28 (75.7)
Previous semester grade (self-reported) High 3 (8.8) 5 (13.5) 2.21 .312
Medium 23 (67.6) 25 (67.6)
Low 8 (23.5) 7 (18.9)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2.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N=71)

Variables Exp. (n=34) Cont. (n=37) t p
M± SD M± SD
Knowledge of core nursing skills 5.03±1.24 5.89±1.03 0.68 .450
Confidence in core nursing skill performance 3.15±0.72 3.24±0.61 -1.06 .201
Clinical competency 3.51±0.42 3.52±0.68 -1.13 .308
      Nursing processes 3.66±0.73 3.72±0.68 -1.04 .298
      Nursing skills 3.36±0.42 3.45±0.66 -1.18 .307
      Nursing education/partnership 3.83±0.21 3.85±0.47 -0.18 .874
      Interpersonal relations/communication 3.69±0.91 3.76±0.63 -0.65 .512
      Professional development 3.51±0.47 3.55±0.61 -1.69 .318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3.

Effects of the Core Nursing Skill Contents (CNSC) on Dependent Variables (N=71)

Variables Group Pretest Posttest Difference t p
M± SD M± SD M± SD
Knowledge of core nursing skill Exp. 5.03±1.24 7.89±1.13 2.86±2.17 7.97 <.001
Cont. 5.89±1.03 5.99±1.51 0.09±2.28
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 performance Exp. 3.15±0.72 4.76±0.46 1.61±0.88 5.79 <.001
Cont. 3.24±0.61 3.43±0.72 0.19±1.11
Clinical competency Exp. 3.51±0.42 4.18±0.63 0.67±0.72 2.26 .003
Cont. 3.52±0.68 3.77±0.43 0.23±0.81
  Nursing process Exp. 3.66±0.73 4.86±0.89 1.20±0.42 4.18 <.001
Cont. 3.72±0.68 3.93±0.34 0.21±0.54
  Nursing skills Exp. 3.36±0.42 4.99±0.26 1.63±0.33 4.29 <.001
Cont. 3.45±0.66 3.72±0.61 0.27±1.21
  Nursing education/partnership Exp. 3.83±0.21 4.33±0.55 0.51±0.76 1.97 <.001
Cont. 3.85±0.47 3.98±0.45 0.11±1.24
  Interpersonal relations/communication Exp. 3.69±0.91 3.77±0.43 0.08±0.73 0.04 .104
Cont. 3.76±0.63 3.81±0.62 0.05±1.14
  Professional development Exp. 3.51±0.47 3.60±0.19 0.09±0.25 0.11 .185
Cont. 3.55±0.61 3.74±0.63 0.19±0.87

CNSC=core nursing skill contents; Cont.=control group (n=37); Exp.=experimental group (n=34); M=mean; SD=standard dev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