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경력 닻이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Anchors on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Work Value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xtent of career anchor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work values among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help nursing students make appropriate career deci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work values according to the type of career anchors.
Methods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reer anchor type on nursing students' self-concept of the nursing profession and work valu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extend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1, 2023,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echnical/functional, service/commitment, and entrepreneur anch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8.7%. The results showed that technical/functional, autonomy/independence, and service/ commitment anch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rk value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3.9%.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reer anchor types should be identified and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nursing students to develop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work value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임상 실무에 기반을 둔 학문인 간호학의 경우 임상 환경 내에서의 실습 교육은 필수적이다[1]. 간호대학생은 이론 교과목에서 배운 간호 지식을 환자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임상 실습 교육을 통해 간호전문직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태도 및 자질 등을 습득하여 간호전문직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를 할 수 있다[2]. 간호 교육 인증 평가 기준에 따라 현재 간호대학생은 학사과정 중 최소 22학점 이상을 임상 실습에 할애하여[3] 졸업 전 실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임상 실무능력을 갖추기 위해 임상 실습 교육에 임한다. 간호대학생에게 임상 실습은 이론적 지식을 적용해 볼 수 있는 과정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자질이나 역할을 배우게 되는 과정으로 자신의 간호관 및 전문직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되는 의미 있는 시기이다[2]. 즉, 임상 실습 동안 간호대학생은 간호사 업무에 대한 역할 학습을 통해 간호에 대한 지식, 간호 기술과 더불어 간호사로서의 태도, 신념 및 가치와 간호의 윤리적 표준 등을 내면화하고 발달시키는 전문직 사회화를 경험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간호에 대한 전문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4].
전문직 자아개념이란 전문직 간호사로서 자신의 업무에 대한 느낌과 견해를 의미하며,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간호사는 자신감과 자존감이 향상되고, 간호에 대한 높은 긍지를 가지게 되면서 간호 전문직 발전에 기여한다[5]. 임상현장에서는 다양한 보건의료진들과 협업을 하게 되는데, 전문직 자아개념은 이들과 원활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6].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업에 대한 흥미와 능력, 목표에 대해 명확하게 해주며, 전공 만족도 및 간호사에 대한 신념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7].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확립하는 것은 재학 중 뿐 아니라 졸업 후 간호사로 근무하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간호대학생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한편 최근 심각한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취업률로 인하여 간호학이라는 전공에 대한 흥미나 적성, 이해 과정 없이 간호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 늘고 있다[8]. 또한 다른 학과에 비해 많은 학업량과 통제가 따르는 학사과정과 국가고시로 인해 상대적으로 본인의 진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이 부족한 상태로 졸업을 하게 된다[8]. 진로에 대한 성찰이 부족한 신규간호사는 취업 후에도 진로 및 직업 불만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단기 이직, 조기 퇴사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9]. 따라서 간호사라는 직업이 정해진 간호대학생은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와 진로에 대한 진지한 탐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직업을 통해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가치를 알고, 자신이 생각하는 직업의 목적과 의미를 진로 목표와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10]. 즉 직업과 진로에 대한 가치인 직업 가치는 특정 직무 또는 직업에 대한 태도라기보다는 한 개인이 일 또는 직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태도로써 개인의 삶과 진로 개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10]. 직업 가치가 전문직 자아개념을 포함한 개념인 간호 전문직관의 영향요인임을 보고한 장영미의 연구[11]와 직업 가치가 개인의 직업과 관련된 만족감이나 안녕감의 요인임을 감안할 때, 간호대학생이 간호전문직에 대해 인식하는 직업에 대한 가치는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간호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정확하게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을 포함한 간호사는 병원 조직의 주된 의료인력이며, 엄격하고 체계적인 교육 방식을 통해 간호 지식을 습득한 간호 전문가 집단으로 자기 자신의 직무와 경력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다[12]. 또한 대부분의 의료 서비스는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으므로, 양질의 간호 제공과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는 간호사의 경력 개발에 대한 규명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12]. 이와 관련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개념인 ‘경력 닻’은 개인의 동기, 가치관, 역량이 서로 조화된 자아개념으로 다양한 업무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경력 발전과 개발에 있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는 지침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선행연구에서는 경력 닻을 직업에 대한 자기 인식이라 언급하며, 경력은 조직 내부의 경력은 물론이고 외부경력까지도 포함하여 직업에 대한 가치와 동기부여로 표현하였다[14]. 또한 경력 닻을 창조적 전문가, 일반관리자 역량, 자율/독립, 안전/안정, 기업가, 봉사/헌신, 순수한 도전, 라이프스타일의 8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14]. 이상진의 연구[15]에서는 명확한 경력 닻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경력 몰입 즉, 자신의 전문성을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 닻 유형에 따라서 경력 몰입과 자기주도성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순수한 도전, 자율성/독립성 유형은 경력 몰입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 안전/안정 유형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 자율/독립, 순수한 도전 유형은 자기주도성 정도가 높은 반면, 안전/안정 유형은 자기주도성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경력 닻 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긍정적인 학부과정을 보낼 수 있도록 경력 몰입과 자기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개인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경력 닻에 부합하는 업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직무 및 직업에 만족하게 되고 그 결과 조직에 잔류하고자 하는 재직 의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6]. 또한 앞에서 언급한 연구들[12,13,15]을 통해 ‘경력 닻’은 직업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가치, 동기, 역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요인으로 간호사의 업무 적응과 경력 개발을 이해하고 경력 계획을 수립할 때 목표와 기준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이 간호사가 되었을 때 지속 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경력 개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경력 닻의 유형을 확인하고 경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그러나 경력 닻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경력 개발을 위한 경력 닻과 교육 요구 분석[17],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력 닻과 직무 경험 연구[18], 개인의 경력 닻 및 경력 몰입과의 관계를 분석 연구[15] 등이 시행되었으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경력 닻과 진로 발달,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업 가치관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경력 닻,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업 가치관의 정도를 확인하고 경력 닻 유형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이 올바른 진로 개발을 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을 확인하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연구목적을 이해한 후 연구참여에 동의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G*Power 3.1.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선행연구[6]를 바탕으로 중간 효과 크기 .15으로 하였으며, 유의수준 .50, 검정력 .90, 예측변수 8개(경력 닻 하위 영역 8개)를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최소 표본 수는 136명이었고,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각 대학의 간호대학 학과장에게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 후, 승인받아 진행하였다.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연구대상자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에 대한 응답이 불완전한 2부를 제외하고 총 148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3. 연구도구
아래의 모든 연구도구는 연구자와의 메일을 통해 사전 승인을 받았다.
1) 경력 닻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을 측정하기 위해 Schein [14]이 개발한 Career Orientation Inventory 도구를 윤형준(2004)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19]. 이 도구는 창조적 전문가, 자율/독립, 일반관리자 역량, 안전/안정, 기업가, 순수한 도전, 봉사/헌신, 라이프스타일의 8가지 하위 영역,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력 닻 도구의 경우 6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 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개인이 중요시하는 경력 닻 유형을 나타낸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는 .79, Kim과 Oh [20]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83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Cronbach's ⍺는 .86 (창조적 전문가 .70, 일반관리자 역량 .73, 자율/독립 .83, 안전/안정 .85, 기업가 .84, 봉사/헌신 .86, 순수한 도전 .82, 라이프스타일 .80)으로 나타났다.
2)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Arthur [5]가 개발한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 Instrument (PSCNI)를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번역한 것을 간호대학생을 대상에게 맞게 송희란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21]. 4점 Likert 척도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는 .85, 송희란의 연구에서[21] Cronbach's ⍺는 .94, 본 연구의 Cronbach's ⍺는 .91으로 나타났다.
3) 직업 가치관
간호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Super (1970)가 개발하고 정은주[22]가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일의 가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향성과 직업의 가치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2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의 경우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 가치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인 정은주[22]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95, 본 연구의 Cronbach's ⍺는 .92였다.
4. 자료수집과 윤리적 고려
자료수집 전에 기관 생명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KYU 2023-10-029-002)을 받은 후 온라인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자가 D시와 C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방문하여 해당 학과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사전 동의를 얻은 후 학과 게시판에 허락된 기간 동안 모집 공고문을 부착하였다. 설문 시작 전에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비밀보장 및 사생활 보호, 자료의 익명성에 대한 설명과 어느 때라도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도 철회로 인한 불이익이 없을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안내를 확인한 후 자발적인 참여 동의 의사를 밝힌 대상자에 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작성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20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익명성 보장 및 대상자를 확인할 수 없도록 무기명으로 하였고, 대상자를 코드화 하여 분석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과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 가치관은 평균 및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s,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경력 닻 유형,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4.45세이었으며, 여성 107명(72.3%), 남성 41명(27.7%)로 나타났다. 학년은 3학년이 57명(38.5%)로 가장 많았으며, 1, 2학년 각각 35명(23.6%), 4학년 21명(14.2%)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는 학생은 49명(33.1%), 없는 학생은 99명(66.9%)이었고, 간호학과를 선택한 동기는 간호사가 되고 싶어서 91명(61.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이 잘되어 31명(20.9%), 주변의 권유 18명(12.2%)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만족이 90명(60.8%)이었으며, 졸업 후 취업 기관은 병원이 123명(83.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
2.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업 가치관의 정도
간호대학생들의 경력 닻 유형,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 가치관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Table 2). 간호대학생들의 경력 닻 유형 중 가장 높은 점수는 6점 만점에 4.79점으로 창조적 전문가 유형, 안전/안정 유형이며, 라이프스타일 4.61점, 봉사/헌신 4.52점, 순수한 도전 3.68점, 자율/독립 3.60점, 일반관리자 역량 3.35점, 기업가 3.34점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3.29점, 직업 가치관은 5점 만점에 4.16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직업 가치관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 인식은 다음과 같다(Table 1).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종교(t=3.29, p=.001), 전공선택 동기(F=6.96, p<.001), 전공만족도(F=17.77, p<.001), 졸업 후 희망 진로(F=3.87, p=.02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가 있는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점수가 높았으며, 간호사가 되고 싶어 간호학과를 선택한 대상자가 주변 권유를 받았거나 기타의 이유로 간호학과를 선택한 대상자보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상급종합병원을 희망하는 대상자가 병원 외의 기관에 취업을 희망하는 대상자보다 전문직 자아개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간호대학생의 직업 가치 인식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 가치관 간의 관계
본 연구의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경력 닻 하위 항목 중 창조적 전문가(r=.47, p<.001), 안전/안정(r=.28, p<.001), 봉사/헌신(r=.38, p<.001), 순수한 도전(r=.23, p=.006)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창조적 전문가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경력 닻 하위 항목 모두 직업 가치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창조적 전문가(r=.47, p<.001)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업 가치관은 전문직 자아개념과(r=.40,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3).
5.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이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1)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전 종속변수의 자기 상관과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의 자기 상관은 Durbin-Watson 지수를 이용하였으며, 2.16로 2에 근접하게 나타나 자기 상관이 없이 독립적이었다.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은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분산팽창요인) 지수를 이용하였으며, 1.16∼1.21로 기준인 10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위험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데이터는 회귀 분석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4).
분석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 닻 유형은 창조적 전문가, 봉사/헌신, 기업가 순으로 나타났다. 창조적 전문가(B=.22), 봉사/헌신(B=.12)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가 (B=-.06) 점수가 낮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점수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전문직 자아개념을 설명하는 전체 설명력은 28.7%(F=20.74, p<.001)로 나타났다.
2)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이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회귀 분석을 실시하기 전 종속변수의 자기 상관과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의 자기 상관은 Durbin-Watson 지수를 이용하였으며, 1.87로 2에 근접하게 나타나 자기 상관이 없이 독립적이었다.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은 VIF 지수를 이용하였으며, 1.03∼1.15로 기준인 10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위험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데이터는 회귀 분석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5).
분석결과 직업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 닻 유형은 창조적 전문가, 자율/독립, 봉사/헌신 순으로 나타났다. 창조적 전문가(B=.25), 자율/독립(B=.15), 봉사/헌신(B=.10)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가치 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직업 가치관을 설명하는 전체 설명력은 33.9% (F=26.10, p<.001)로 나타났다.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경력 닻,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업 가치관의 정도를 확인하고 경력 닻 유형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 결정 방향성 제시 및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목적 및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에 영향 요인인 창조적 전문가 및 봉사/헌신의 경력 닻 유형이라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들의 경력 닻 유형을 살펴본 결과 창조적 전문가 유형과 안전/안정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경력 닻 유형을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안전/안정, 창조적 전문가 순으로 나타난 이지안과 박수홍 연구[17]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경력 닻 유형을 살펴본 김미란과 오재우의 연구[20]에서 안전/안정의 경우 4.2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한 결과와 부분 일치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경력 닻이란 개인이 진로나 직업 선택에 직면했을 때 선택하는 자기의 경향성을 말하는 것으로 경력 닻 유형 중에서 안전/안정 유형은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경력을 추구하고 정년보장제도를 선호하는 유형이다. 간호대학생의 이러한 안전/안정의 유형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최근 전국 간호학과 정원의 지속적인 확대로 인한 취업의 어려움과 간호사라는 직업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전문직으로서 임상간호사를 비롯한 연구 간호사, 보건교사 등과 같이 다양한 방면의 취업과 고용보장으로 이한 안정된 직장이라는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라고 유추할 수 있겠다. 또한 창조적 전문가 유형의 경우 특정한 기술 또는 기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능력과 태도 및 가치가 자신의 경력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은 유형으로 간호사라는 직업은 의료법에 명시된 전문직 의료인이며,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능력을 갖춘 전문 직업이라는 인식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경력과 관련된 선택에 있어 경력 닻은 개인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경력을 발전시키는 데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면서 개인이 조직에서 행하는 경력 관련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가치판단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13]. 경력 닻 유형에 따라 경력을 유지하거나 조직의 변화를 추구하며 새로운 경력을 찾아 떠날 수도 있으므로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창조적 전문가 유형의 경력 닻 확립을 위한 임상간호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과 안전/안정 경력 닻 유형의 경우 간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확립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7,2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나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이민희[21]의 연구에서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공 심화 교육과정과 임상 실습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 학생간호사로서의 한계 등의 이유로 인해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보다 본 연구는 1, 2,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높게 나타났다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임정민[23]에 따르면 1, 2학년의 전문직 자아개념 점수는 3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는 학년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전문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학과 선택 동기가 적성에 맞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진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24]를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전공만족도가 높고 간호학과 지원동기가 간호사가 되고 싶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서 나타난 결과라고 유추할 수 있겠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서는 학년과 간호학과 선택 동기를 고려한 전공 만족도 향상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연구대상자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는 것을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으므로 저학년과 고학년, 임상 실습 경험에 따른 차이를 비교 고찰하는 연구뿐 아니라 더 나아가 입학부터 졸업까지의 종단 연구 등 반복 연구를 통해 학년별 전문직 자아개념 차이를 분석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전문직 자아개념이란 전문직 간호사로서 자신의 업무에 대한 느낌과 견해를 말하며, 스스로 간호전문직에 대해 만족하고 간호사의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인으로[5] 간호대학생에게 전문직 자아개념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은 추후 간호사가 되어 소속된 병원 조직에 대한 애착으로 이어져 조직 몰입을 상승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25].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은 학부 재학 중 임상 실습 및 이론 습득을 통하여 임상현장에서 효율적인 간호 수행을 위하여 전문직 자아개념 형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으므로[4] 간호학과 입학 시부터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전문가들의 사고와 행동을 통해 자아개념이 형성되고 성장 발전하므로, 전문직 실무능력을 갖춘 실습지도 교육자 및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선배간호사의 체계적인 실습 교육이 간호전문직에 대한 가치관 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1]. 따라서 간호 교육 기관에서는 다양한 임상 실습 기관과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학생들에게 간호사의 업무를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배우고 직접적인 수행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이 긍정적인 관계를 확립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실습교육 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더 나아가 간호대학생이 간호전문직에 대한 인식과 임상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임상현장에서는 간호사가 간호대학생을 교육대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문화를 조성하고 간호사들이 올바른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병원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도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직업 가치관은 5점 만점에 4.16점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승호[26] 연구결과인 4.19점과 유사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 전공만족도라고 한 김현용[27]의 연구결과 및 전공만족도와 직업 가치관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 앙혜경[8]의 연구결과를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경우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수가 많아 나타난 결과라고 유추할 수 있으며, 간호대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진로 방향을 선택하는 영향 요인이라고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28]. 간호사라는 직업은 헌신적이고 타인에 대한 봉사 정신으로 직무를 수행하지만, 의료현장에서 다양한 대인관계에 대한 어려움, 긴급과 정확성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직무 특성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 등은 원활한 직무수행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 때 간호 업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간호직에 대한 직업 가치관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간호대학생에게 직업 가치관 정립은 생명을 다루는 기술을 익혀가는 바람직한 간호사로서 임상 적응과 긍정적 발전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으므로[11] 간호대학 시절에 직업 가치관의 정립은 간호사로서 자질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자질 형성을 위한 직업 가치관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 가치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전공 만족도 증진을 위해 간호대학생의 학업과 실습에 대한 부담, 긴장, 스트레스 등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정서적 지지를 위한 비 교과 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특히 Kim [29]은 간호학생들이 임상 실습을 경험하면서 직업 가치관이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임상 실습 시작 시기를 기점으로 학교와 임상 현장이 함께하는 다양한 정보제공과 체험 프로그램은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 외에도 이론 및 임상 실습교육을 병행한 교내 외 전공연계 봉사활동과 같은 비 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전공과 추후 가지게 될 직업에 대해 미리 공부하고 자신의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고취시킴으로써 직업 가치관뿐 아니라 전문직 자아개념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경력 닻 하위 항목 중 창조적 전문가, 안전/안정, 봉사/헌신, 순수한 도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창조적 전문가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경력 닻 하위 항목 모두 직업 가치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창조적 전문가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업 가치관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가 전무하여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운 실정이나 진로정체감은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 김은주[7]의 연구결과를 일부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직업 선택에 있어 자신의 재능, 욕구, 가치관이 서로 조화된 자아개념인 경력 닻은 자신의 이미지와 부합하는 직업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직업 선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으므로[14] 간호대학생의 경력 닻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에 따른 직업 가치관과 전문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 닻 유형은 창조적 전문가, 봉사/헌신, 기업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가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7.8%였다. 경력 닻 8개의 유형 중 창조적 전문가, 봉사/헌신 및 기업가 유형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이유는 비판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 요인이라 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30] 간호학과 재학 기간 중 간호사로서 봉사/헌신에 태도와 자질을 갖추도록 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비판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 능력향상을 위한 과제 및 프로젝트활동을 통한 결과라고 유추할 수 있다. 개인의 경력 닻은 매우 안정적으로 작용하여 직업과 관련하여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을 때도 포기하지 않고 해결하려고 하는 긍정적인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14], 또한 Katz [31]는 경력 닻의 경우 자신의 임지와 부합하는 직업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개인의 직업 선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해 준다고 하였다. 또한 Locke과 Latham [32]은 개인의 경력 닻은 경력 계획을 수립할 때 하나의 일관된 지침으로 작용하며 경력을 발전시키는데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개인의 경력 닻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경력 닻 유형 중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가장 큰 영향 요인이라고 한 창조적 전문가 유형은 자신의 의지와 노력에 의한 상징적 또는 물질적 결과물의 성취도와 관련된 태도, 능력, 가치가 자신의 경력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은 유형으로[14], 간호대학생이 창조적 전문가 유형이 확립되었을 경우 의료현장에서 다른 전문직 종사자들과 조화를 이루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경력 닻 유형을 확고히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도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봉사/헌신의 유형은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와 사회정의 실현과 관련된 직무 관련 능력과 태도 가치가 중요한 유형으로 봉사/헌신 유형이 확립되었을 경우 간호사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함양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여기에 조직에서 다른 사람들의 직무를 이해하고 협력하며 조직의 행사와 관련된 능력과 태도가 주요 요소인 기업가 유형이 갖춰진다면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간호대학생 입학 시부터 경력 닻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에 따른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즉 창조적 전문가 유형은 간호대학생의 자율성 보장 및 결과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을 통해 확립될 수 있으며, 봉사/헌신 유형의 경우 교수 및 동료의 인정과 지원을 위한 캠퍼스 문화 조성 및 교수와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생 간의 의사소통시스템 구축을 통해 확립될 수 있으므로 간호학과 및 대학본부에서의 지원과 방안이 마련이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에 기업가 유형 확립을 위해서 간호학과 교육과정 중 조직문화와 조직 관련된 업무 및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 실습이 가능하도록 간호 관리학 실습교육에서의 반영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간호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 닻 유형은 창조적 전문가, 자율/독립, 봉사/헌신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가 직업 가치관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33.9%로 나타났다. 경력 8개 유형 중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공동체 의식이 조직사회화의 영향 요인이라고 한 곽명희[33]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즉 간호학과 수업 중 적용되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및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결과도출과정에서 프로젝트 결과물의 성취도와 관련된 능력과 태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지하고 지켜야 하는 자율성과 프로젝트팀 내 규칙 준수와 관련된 태도 및 가치로 인해 창조적 전문가 유형과 자율/독립 유형이 높게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김수진과 이은주[34]의 연구에서도 모든 간호대학생은 간호사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으로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적성과 흥미를 중요시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직업을 선호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봉사/헌신 유형이 높게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직업 결정에 있어 자신의 적성과 흥미, 능력 발휘, 성취감을 중요시하므로[10] 간호대학생의 창조적 전문가 유형이 확립되었을 경우 직업 가치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에 대한 봉사나 사회정의 실현과 관련된 간호 직무에 대한 가치를 중요하게 지각할 수 있는 봉사/헌신의 유형과 전문직 간호사로서 대상자에게 시행할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습득될 수 있는 자율/독립 유형의 경력 닻이 확립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직업 가치관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력 닻은 직업 세계에서 다양한 업무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경력 발전에 있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는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14] 대학 생활 동안 직업 가치관의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는[35] 간호대학생에게 경력 닻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에 맞는 직업 가치관 형성을 위한 방안 마련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창조적 전문가 유형의 경력 닻은 업무 경험을 통해 자신의 지배적 성향을 발전시켜 나가는 유형으로 간호학과 선택 시 본인의 흥미와 적성 등에 대한 고려보다는 타인의 권유나 취업의 용이성으로 인해 간호학과를 선택하는 경우[8] 창조적 경력 닻 유형이 확립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 직업 가치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간호학과 입학 시부터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창조적 경력 닻 유형의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학과 재학 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 및 비 교과 활동을 위한 환경조성 및 목표달성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또한 자율/독립 유형의 경력 닻 유형 확립을 위한 자기 주도 학습 기회의 확대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봉사/헌신 유형의 확립을 위한 간호 직업과 관련된 봉사활동의 기회 확대 및 정기적인 재능기부활동과 같은 비 교과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 형성의 영향 요인인 창조적 전문가 및 봉사/헌신의 경력 닻 유형의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학과 입학 시부터 간호학과 선택 동기 경력 닻 유형 확인을 통해 유형에 교육과정 및 비 교과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창조적 유형 경력 닻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지속적인 자기 시험에 대한 기회 제공을 통해 긍정적인 성취 경험을 위한 방안 마련과 간호사의 이타주의적인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복지, 비영리 단체나 비정부 기관과 같이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학과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을 통해 봉사/헌신의 경력 닻이 확립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경력 닻 유형이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창조적 전문가 및 봉사/헌신의 경력 닻 유형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임상 실습을 시작한 시점부터 시작되는 임상 현장 탐색 및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형태와 업무 범위 관찰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게 된다. 또한 간호사의 업무 관찰을 통한 간접경험을 바탕으로 간호사와 관련된 자아이미지를 발견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확고하게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을 돕기 위해 개인의 직업 선택 동기이며, 역량, 가치가 조화된 자아개념으로 정의되는 경력 닻의 8가지 유형[18] 중 창조적 전문가 유형과 봉사/헌신의 경력 닻 유형 확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을 통한 수업 방안 및 체험형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전국의 모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경력 닻 8가지 유형 중 어떤 유형에 포함되는지 확인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경력 닻 유형 및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 간의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의 경력 닻 유형을 확인한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일부 지역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대상과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경력 닻 유형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업 가치관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Oh JW and Song JA; Data collection - Oh JW and Song JA;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Oh JW and Song JA;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Oh JW and Song JA.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