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 Education on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Self-Efficacy in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 education o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self-efficacy in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s
ICU nurses with over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pamphlets. Standardized tools were used to measure outcom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Changes within groups for outcom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hile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education significantly improved perception, attitude, and self-effica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ICU nurses. Knowledge scores increased from 22.77±6.59 to 27.58±3.61 (p<.001), perception scores from 24.65±5.78 to 28.54±3.84 (p=.001), attitude scores from 63.46±11.85 to 74.27±9.05 (p<.001), and self-efficacy in evidence-based nursing scores from 53.12±10.85 to 58.12±9.51 (p=.007).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improvem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support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on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to improve nurses' perceptions, attitudes, and self-efficacy in evidence-based nursing related to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보건 의료체계에서 중환자실은 중증 환자들에게 체외막산소화장치, 다중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첨단 의료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1].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을 기준으로 국내에서는 3,420개 병원급 의료기관 중 약 333개 기관이 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병원의 약 10%가 중환자실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 또한 중환자실 입원 환자 수가 연간 30만명 수준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감시장비와 치료 기술의 도입으로 중환자 의료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3]. 중환자실 간호사는 복잡한 환자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리해야 하는 어려운 임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근거기반 간호 실무가 필수적이다.
근거기반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접근법으로, 이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NL)의 역할이 중요하다[4]. SNL은 간호의 현상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개념화된 용어체계를 통해 간호관리 계획 및 전자 건강기록 시스템에 필요한 표준화된 언어를 제공한다[5]. 이는 간호사들 간뿐만 아니라 간호사와 다른 의료 제공자 간의 소통을 촉진하며, 더 나아가 간호 실무의 효과를 평가하고, 관리자가 적절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고 실용적인 간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4].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는 각 환자의 복잡한 사정과 치료 과정에서 높은 전문성과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된다. SNL은 간호사가 정확한 간호 정보를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간호사의 의사결정과 간호중재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6].
실제로, 간호사 전문성의 증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973년 미국간호협회(American Nurses Association, ANA)는 간호를 수행함에 있어 근거기반 간호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NL 7개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7]. 이러한 SNL에는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I),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간호사가 중환자실 환경에서 필요한 간호를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제공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6].
SNL 사용의 중요성이 많은 나라에서 인정되고 있지만, 임상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한 동기 부족, 교육 및 자원 부족, 환자 상황의 복잡성, 필요한 장비 부족 등 다양한 장벽이 존재한다[8]. SNL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실제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영양실조 환자 평가에 NOC이 정확하고 민감한 지표로 활용되었으며[9], 만성 통증을 겪는 암 환자[10]와 불안한 여성[11]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NOC가 간호중재의 결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또한,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NANDA-I에 기반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12], 가정간호 환경에서 NANDA-I와 NOC를 사용한 간호 계획이 환자 사망률과 환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13].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SNL 교육을 통해 간호사들이 더욱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SNL 에 대한 교육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동영상 교육은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응용을 통합하여 간호사들에게 시각적으로 명확하고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중환자실의 복잡한 환경에서 간호사들이 SNL를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4]. 또한, 간호사들이 자신의 일정에 맞춰 유연하게 학습할 수 있으며, 임상 상황에서 SNL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기술과 지식을 제공한다[15]. 이러한 교육의 특성을 활용하여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SNL에 대한 동영상 교육을 실시하여 이 교육이 간호사들의 SNL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조사하였다. 이는 중환자실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SNL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SNL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SNL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SNL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시험(RCT)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이고, 제외기준은 육아휴직 중인 간호사, 수간호사, 간호업무 내용을 충분히 파악하기 어려운 근무경력 1년 미만의 신규 간호사였다[15]. 연구대상자는 S시에 위치한 M 대학병원과 S 대학병원의 총무과와 간호부에 허락받은 후, 모집공고문을 중환자실 앞 게시판에 게시하고 SNS를 통해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대상자는 모집공고문 URL link 또는 QR 코드로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였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들에게 선정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 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목적과 진행 절차에 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7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통계 종류는 t-test, 유의수준 .05, 검정력 .80, 효과크기 .80[16], 양측검정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필요한 표본 수는 그룹당 26명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2주간 진행되는 연구를 고려하여 예상 탈락률 10%로 설정하여 29명씩 모집하여 총 58명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58명의 대상자가 모집되었고, 엑셀의 난수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재군 29명, 대조군 29명이 무작위 배정되었다. 연구 진행 중 개인 사정으로 대조군에서 2명, 중재군에서 3명이 중도 탈락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중재군 26명, 대조군 2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Figure 1).
3. 연구진행
1) 사전 조사
본 연구의 사전 조사는 본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절차에 관해 설명하고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은 자신들이 편안하게 느끼는 시간과 장소에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사전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이 과정은 약 20분 소요되었다. 또한, 연구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참여자가 사전 설문지 작성 외에도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혼자 있을 때만 중재로 제공된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팜플렛을 읽도록 사전에 안내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참여자들이 중재를 받는 동안 정보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중재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SNL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2) 실험처치
(1) SNL 동영상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육 동영상은 Shin [17]에 의해 제작된 SNL 교육 동영상이다. 이 동영상은 총 12분 길이로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섹션 1은 SNL의 역사를 살펴보고 SNL 종류와 정의를 설명한다. 섹션 2에서는 NANADA, NIC, NOC 각 영역과 분류 구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각 분류체계의 강점이 내용에 포함된다. 섹션 3은 임상에서 NANDA-NIC-NOC Linkage (NNN Linkage)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예시를 보여주고 비판적 사고과정과 환자를 평가하는 방법 내용을 포함한다. 섹션 4는 SNL의 활용과 장점 그리고 미래의 영향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전 조사가 완료된 대상자에게 SNL 동영상을 URL Link를 공유하여 시청하도록 하였다. 동영상 시청 시 이해가 어려워 반복해서 보고자 하는 경우 일시 정지나 반복 시청이 가능하도록 안내하였으며 2주 동안 언제든지 반복 시청을 원하면 본인의 휴대폰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열어두고 이를 사전에 안내하였다.
(2) SNL 팜플렛
본 연구에서 대조군에게는 SNL의 정의를 교육용 팜플렛으로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이는 SNL의 기본 개념과 종류 및 정의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재군이 시청한 동영상 길이와 유사하도록 대략 10분 내외로 읽을 수 있는 분량이다.
3) 사후 조사
본 연구의 사후 조사는 중재군과 대조군 모두 교육 진행 후 2주가 지난 시점에 수행되었다. 사후 조사 전 팜플렛 또는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하고 중재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일반적 특성 질문지를 제외한 SNL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4. 연구도구
1) 일반적 특성
간호사의 연령, 성별, 최종학위, 근무지, 중환자실 근무 기간, SNL의 사용빈도, SNL가 간호 실무를 대표한다고 생각하는지, 재직 중 SNL에 대한 교육 또는 학습 경험, 근무지에서 SNL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2) SNL 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Olatubi 등[18]이 개발한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을 사용하였다. 총 70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5문항, SNL 활용 정도 4문항, 지식 35문항, 인식 7문항, 태도 1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역전문가를 통해 번역한 후, 간호학과 교수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모든 문항에서 내용타당도 지수(Item-Content Validity Index, I-CVI) 0.5 이상으로 나타났고 척도 수준 내용타당도 지수(Scale level content validity index)는 0.91로 확인되어 최종도구로 확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항은 간호사 3명에게 가독성을 확인받았다. 도구 개발 당시 내용 타당도(I-CVI)는 .75∼.92였고, 본 연구에서는 도구 전체의 신뢰도 Cronbach's ⍺는 .90이었다.
(1) SNL에 대한 지식
Olatubi 등[18]이 개발한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의 ‘지식’ 섹션을 사용했다. 이 섹션은 3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오답’과 ‘모른다’는 0점, ‘정답’은 1점으로 평가한다. 점수 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3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지식 수준을 나타내며, 70% 이상 정답률을 ’높은 지식‘, 50∼69%를 ‘보통 지식’, 50% 미만을 ‘낮은 지식’으로 분류한다[21].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의 ‘지식’ 섹션의 신뢰도 KR20 (Kuder-Richardson 20)=.85였다.
(2) SNL에 대한 인식
Olatubi 등[18]이 개발한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의 ’인식' 섹션을 사용했다. 이 섹션은 7문항으로 각 문항이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식 5점 척도로 되어있다. 총점 최저 7점, 최고 35점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가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간호사 5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는 .86이었다.
(3) SNL에 대한 태도
Olatubi 등[18]이 개발한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의 ‘태도’ 섹션을 사용했다. 이 섹션은 19문항으로 각 문항이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식 5점 척도로 되어있다. 최저 19점, 최고 95점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는 .87이었다.
3)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은 Tucker 등[19]이 개발한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EBPSE) scale을 통역전문가를 통해 번역한 후, 간호학과 교수 3인에게 각 문항의 적절성과 주 용어의 일치를 확인하였다. 각 문항 내용타당도 지수(I-CVI) 0.5 이상으로 나타났고 척도 수준 내용타당도 지수(S-CVI) 0.94로 확인되어 제외 없이 총 16문항을 사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항은 간호사 3명에게 가독성을 확인받았다. 도구는 총 16문항 5점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 척도로 되어있다. 최저 16점, 최고 80점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근거기반 간호중재를 수행하는데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당시 신뢰도 Cronbach's ⍺는 .92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는 .95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인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ewha-202211-0002-01)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연구대상을 확인하고 연구목적 및 절차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동의서에는 연구의 목적 및 참여방법과 정보의 비밀유지에 대해 안내하고 참여 도중 언제든 중단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는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였고, 연구에 대한 의문점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연락할 수 있도록 연구자의 소속과 연락처를 설명문에 기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개인 식별정보는 삭제한 후 연구대상자 번호를 임의로 부여하여 관리하였다. 연구자료는 모두 암호화하여 연구자 외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고 연구자에 의해서만 자료가 다루어지도록 하였다. 연구 종료 후에는 참여자들에게 감사의 표시로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6.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이용하여 정규분포를 확인하였고,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변수는 비모수 통계기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결과변수의 그룹 내 변화는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고,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Mann Whiteny U test로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정답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x2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대한 동질성 검정
본 연구대상자의 주 연령층은 26∼30세로 26명(49.1%)이었으며, 20∼25세가 9명(17%), 30∼35세가 12명(22.6%)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성 48명(90.5%), 남성 5명(9.4%)이었다. 교육 정도는 대부분이 ‘학사’ 학위를 보유(98.1%)하고 있었으며, 근무 부서는 신경계 중환자실이 18명(34%)으로 가장 많았고, 내과계 중환자실 15명(28.3%), 외과계 중환자실 12명(22.6%), 응급실 8명(15.1%) 순이었다. 임상 경력은 3∼5년 근무자가 25명(47.2%)으로 가장 많았으며, 1∼2년 11명(20.8%), 7년 이상 12명(22.6%), 5∼7년 5명(9.4%)으로 나타났다. SNL 사용 빈도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가 19명(35.8%)으로 가장 많았고, ‘자주 사용한다’ 15명(28.3%), ‘항상 사용한다’ 12명(22.6%)이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는 재직 중 SNL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45명, 84.9%)했으며, SNL이 간호 실무를 대표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7명(13.2%)로 낮았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사회학적 특성, 일반적 특성, 종속변수(지식, 인식, 태도, 근거기반 실무 자기효능감)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이 확보되었다(Table 1).
2. SNL 교육의 효과
SNL 교육 후 중재군의 지식 점수는 평균 22.77±6.59점에서 27.58±3.6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Z=-3.52, p<.001),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1가설 ‘ SNL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SNL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SNL 교육 후 중재군의 인식 점수는 사전 평균 24.65±5.78점에서 사후 28.54±3.8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3.87, p=.001), 두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47, p<.001). 제2가설 ‘ SNL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SNL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SNL 교육 후 중재군의 태도 점수는 사전 평균 63.46±11.85점에서 사후 74.27±9.0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4.52, p<.001), 두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88, p<.001). 이에 제3가설 ‘ SNL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SNL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SNL 교육 후 중재군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 점수는 사전 평균 53.12±10.85점에서 사후 58.12±9.5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93, p=.007), 두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44, p=.018) 따라서 제4가설 ‘ SNL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 2).
또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SNL에 대한 지식 문항에 대한 정답률 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재군의 사전 평균 정답률이 61.76%에서 사후 에는 75.79%로 14.03%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사전 55.99%에서 사후 60.89%로 4.90% 증가하였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정답률이 상승한 문항은 총 35개 중 22개이며, 총 9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3).
논 의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SNL 교육 영상 중재로 인한 SNL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SNL에 대한 지식은 중재군 내에서 교육 전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중재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SNL에 대한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은 중재군 내에서 교육 전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두 그룹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본 연구결과, 간호사들이 SNL 교육을 받았음에도 실무에 자주 활용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SNL 교육과 실제 간호 실무 간에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과 나이지리아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미국에서 전문간호사 199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 중 17%만이 현재 SNL을 사용하고 있으며, 30%는 SNL이 실무 기록에 중요하거나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보고되었다[20]. 반면 250명의 간호사 대상으로 실시된 나이지리아의 연구[21]에서는 대다수가 SNL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41.5%는 중환자실에서 가끔씩 SNL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Olatubi 등[18]의 연구에서는 130명의 나이지리아 간호사 중 46.9%만이 SNL에 대한 이론적 교육을 받았지만, 60.0%가 실무에서 SNL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18]에서 간호사들이 SNL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고한 것과 대조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SNL이 간호 실무를 대표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낮았다. 이는 교육받은 내용이 간호 실무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괴리는 주로 SNL 교육이 이론적으로만 제공되며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방법에 대한 충분한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서 비롯된다. 또한, 많은 의료기관에서 SNL을 통합하거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간호사들이 SNL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가 미흡하다[22]. 간호사들 사이에서 SNL의 필요성 및 유용성에 대한 인식도 낮아, 교육 후에도 실제 사용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2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직적 지원을 증대시키며, 간호사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병원 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SNL통합과 시스템 개선 및 필요한 자원과 도구의 제공, SNL의 장점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지속적인 교육과 워크숍이 이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들은 향후 SNL 교육과 실무의 연계를 강화하고, 간호 실무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군과 대조군 간의 지식수준 변화를 평가하였다. 중재군의 사전 평균 지식수준이 61.76%에서 사후 75.79%로 상승한 것은 중재군의 지식수준이 ‘보통’에서 ‘높음’ 수준으로 이동했음을 나타낸다. 반면, 대조군의 지식수준은 사전 평균 55.99%에서 사후 60.89%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이는 ‘보통’ 범주 내에서의 변화에 머물렀다.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문항들은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의 이해와 적용, 소통능력 및 간호진단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는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SNL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특히 간호사가 환자의 문제를 인식하고 양질의 케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SNL의 체계적인 방법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후 검증 시 중재군과 대조군 간의 지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SNL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단이기는 하지만, 이를 교육 효과의 근본적 변화로 연결 짓기에는 불충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대조군 또한 재직 중 SNL에 교육받은 경험이 있으며 임상에서의 경험이나 기타 교육 활동을 통해 일정 수준의 지식 향상이 있었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육 프로그램의 차별성과 집중도, 참여자의 학습 동기 등이 교육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24]. 향후 지식을 높이기 위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참여자의 기존 지식수준, 학습 스타일, 실제 임상에서의 요구 사항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임상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사례 중심의 학습을 강화하여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SNL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에서 SNL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동영상 교육이 간호사들의 인식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이 나타났다. 이는 동영상 교육이 간호사들에게 SNL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임상에서의 적극적인 적용을 도모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간호교육에서 다양한 방법과 매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간호사들의 인식 변화를 촉진하는 데에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25]. 이러한 인식의 향상은 간호 실무에서 표준화된 언어의 사용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환자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의 의사소통 향상 및 의료 서비스의 질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26].
SNL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동영상 교육이 간호사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SNL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기여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이러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은 동영상 교육이 간호사들에게 더 큰 동기 부여를 주고, SNL의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임을 의미한다. 동영상 교육이 제공하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은 정보를 더 쉽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27]. SNL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SNL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8]. SNL교육으로 임상간호사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건 임상에서 SNL 가 실무에 적용할 촉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28].
마지막으로, SNL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특히 중재군에서의 유의미한 실무자기효능감 향상은 동영상 교육이 간호사들에게 임상적 적용 기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영상 교육의 효과는 간호사들이 실제 임상 상황에서 근거기반 간호를 적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29]. 이는 간호사들이 임상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근거기반 간호의 원칙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게 만든다[30].
이러한 결과는 SNL 교육에 대해 보다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NL은 간호 질의 표준을 확립하고 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도울 뿐만 아니라 간호업무 표준화의 근거 등을 제시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SNL 교육 동영상을 적용한 것은 임상간호사들의 간호 이론에 대한 실무적인 측면에서 이해를 돕고 환자 간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기 위함이다[31]. 실제 동영상 중재 후 중재군은 지식 부분에서 정답률이 향상되었고,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교육 도구가 임상간호사들의 교육에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교육 자료를 조화롭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32]. 이러한 접근 방식은 간호사들의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대응하고, 간호 실무에서 SNL의 중요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33].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SNL 적용이 더욱 필요한 현실이다. 간호사가 SNL 사용에 능동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임상뿐만 아니라, 간호사에게 SNL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해 능동적으로 학습 참여로 촉진 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SNL은 간호중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이다. 그러나 SNL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로 실제 교육받은 내용이 간호 실무에 통합되지 않거나 훈련의 부족, 기술적 인프라의 부족에 따라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데 제한이 되어있다[8]. 이에 SNL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간호부는 간호사들의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합하고 중환자실 뿐만 아니라 다른 임상 분야에서도 유사한 교육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사가 SNL 사용에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 임상에서 간호사가 SNL를 쉽게 적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또는 다른 병동에서 주로 사용되는 NNN Linkage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와 이를 전자의무기록에 입력할 수 있도록 간호학적 측면과 병원 측면에서 적극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시스템 인증제를 통해 병원별 서식 표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데이터 중심병원 사업을 통해 기관별 의료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34]. 그러나 SNL로부터 잠재된 이점을 얻으려면 모든 병원에서 EMR 시스템을 구현할 때 SNL을 채택해야 하지만, 많은 한국 병원이 EMR을 자체 개발하거나 구매한 상용된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SNL은 상용제품과 자체 개발된 EMR 시스템에 포괄적으로 수용되지 못하였다[35]. 이에 본 연구자는 전자의무기록 발전에 맞춰 간호과정과 SNL를 임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간호사들의 고유 업무를 위한 전산화에 맞춰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SNL 교육이 임상간호 실무의 질을 개선하고, 환자치료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교육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은 간호사의 전문성 강화 및 환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에게 동영상 교육자료를 제공하여 2주 동안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연구의 설계상 중재군의 동영상 시청 횟수와 학습 결과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평가하지 않았다. 이는 연구결과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한점으로 인식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시청 횟수와 학습 효과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조군에게 사용되었던 팜플렛의 구체적인 사용시간이나 참여자별 소요시간은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았으며, 이는 연구결과의 해석에 따른 제한점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자가 직접 실험의 중재와 결과 측정을 시행하였으므로 연구대상자에게 기대효과가 나타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재군과 대조군 무작위 배정을 이용하여 SNL 동영상 교육 후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간호사의 SNL에 대한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해 SNL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임상에 적용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SNL 동영상 교육이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중재군 26명과 대조군 27명이 참여했다. 중재군에는 SNL 동영상 교육을 제공했고, 대조군에는 교육용 팜플렛을 제공했다. 본 연구결과, SNL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지식수준에서는 중재군이 ’높은 지식'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에도,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단기간에 진행된 교육이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SNL 교육의 효과를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평가하고,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넓히기 위해서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SNL 교육의 지속적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장기간에 걸쳐 간호사들의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SNL 교육이 실제 환자 관리와 간호결과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교육 후 환자 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SNL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해 단 ‧ 장기간에 걸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지식수준의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교육 방법 및 전략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동영상 교육과 같은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간호사들이 SNL의 중요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Lee Y; Data collection - Lee Y;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Lee Y;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Lee Y and Park H.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