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 Cross-Sectional Study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23;30(3):303-31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August 31
doi : https://doi.org/10.7739/jkafn.2023.30.3.303
1)Graduate Student,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Registered Nurs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박민지1)orcid_icon, 박효정2),orcid_icon
1)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생 ․ 이대서울병원 간호사
2)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Corresponding author: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Korea Tel: +82-2-3277-2824, Fax: +82-2-3277-2850, E-mail: hyojungp@ewha.ac.kr
*This article is based on a part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이 논문은 제1저자 박민지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Received 2022 December 28; Revised 2023 May 25; Accepted 2023 August 20.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ethods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20 nurses with over 1 year of experience working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3.07±0.43, 5.80±0.87, 3.11±0.55, and 4.57±0.35, respectively.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4.66, p=.011), marital status (t=-2.06, p=.042),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t=-2.38, p=.019).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r=.23, p=.011), professional self-concept (r=.36,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30,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total clinical experience (β=.24, p=.029)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β=.22, p=.037),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approximately 20%.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rses’ activities need to be planned based on their total clinical experi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predicted highe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nurse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은 건강관리 과정에서 위해가 없고, 불필요한 위험을 최소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다. 안전한 환경에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은 환자의 기본 권리이며[1], 환자안전은 의료 분야의 모든 조직 및 구성원이 추구해야 할 목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2016년 환자안전법 시행 이후 의료 서비스 및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0년 이후 전 세계는 팬데믹 이슈로 감염 관리를 포함한 환자안전증진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평가인증원(Korea institu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이 발간한 2021년 환자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는 2018년 총 9,250건에서 2019년 총 11,953건, 2020년 총 13,919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2019년 환자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이 전년대비 3.2%, 장기적인 손상 또는 부작용이 29.2% 증가하고 있어 보고된 환자안전사건의 위해정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2]

환자안전사고는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 및 재정적 손실 등의 적지 않은 비용을 발생시키며[3], 무엇보다 환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병원의 모든 구성원들이 환자안전을 위해 힘써야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가장 가까이에서 24시간 밀접하게 돌보는 의료인이라는 점에서 환자안전에 특히 중요하다. 환자안전에 있어서 간호사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간호사에 의한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실무와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4]. 따라서 임상실무현장에서의 당면 과제인 환자안전 확립을 통한 의료서비스 안정성 및 간호 질 향상 도모를 위해서 무엇보다 간호사의 전문역량으로서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의 정도와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5].

간호사의 부서이동은 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상황에 적응하여 일할 수 있는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된다[6]. 이를 통해 간호사는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간호사 간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7]. 또한 조직원의 동의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략적인 부서이동은 조직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조직 전반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

간호사가 하나의 부서에서 업무에 능숙하게 되는 데는 4∼6년의 시간이 소요되고, 해당 부서의 업무에 대한 총체적인 전문 지식을 형성하는 데까지는 7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데[9],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한 병동에서 3∼5년 정도 근무한 후 부서를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0]. 이와 같은 현실에서 간호사는 간호의 숙련도 및 전문성을 충분히 갖추지 못할 수 있으며, 부서이동의 사전 ․ 사후 교육 프로그램이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짧은 시간의 업무 오리엔테이션 후 곧바로 정규 업무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아 간호사들의 주요 직무 스트레스 원인이 되고 있다[11]. 전문적 지식과 기술 부족은 부서이동을 경험한 간호사들이 겪는 문제 중 하나이다[12]. 전문적 지식과 기술 부족은 직무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이는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13]. 부서이동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직접적 연관성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없어 위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부서이동태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환자안전문화인식,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확인되었다[9,14,15].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 중 부서이동을 경험한 간호사 대상으로 기존에 제안되었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부서이동태도라는 새로운 요인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학문에 개인 스스로가 이해한 특성, 규율, 가치에 영향을 받는 감정으로 개인의 생각과 행동, 감정을 이끈다[16].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본인의 업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직무만족이 높아지고[17], 환자 안전 및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18]. 한편, 조직몰입은 개인이 조직의 목표를 동일시하여 조직의 목표 및 가치 추구에 대해 강한 신뢰와 수용을 바탕으로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조직 구성원으로 남아있으려는 강한 의지를 말한다[19]. 조직몰입은 간호업무 성과가 높아지는 동시에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여 업무 수행에 긍정적이며 환자들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조직 내 충성도를 높여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잘 수행하게 됨으로써, 환자안전관리에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20].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와 조직몰입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11]. 이와 같이 부서이동태도는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함께 그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안전을 위한 전략 수립 및 간호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한다.

  •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를 파악한다.

  •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성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2년 11월 기준 서울시 소재의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중 부서이동을 경험한 간호사이며, 직접 간호 활동을 제공하지 않는 간호 관리자와 업무 역할이 다른 전담간호사는 제외하였다. 선행연구[21]에 따르면 임상경력 1년 이후부터 독자적인 환자 간호의 실무 수준이 기대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대상자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4 프로그램으로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05, 검정력.80, 선행연구[22]에 근거하여 중간효과크기 0.15로 설정하였고, 일반적 특성(3개), 근무 관련 특성(4개), 독립변수(3개)의 예측요인 10개를 고려할 때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최소 표본 118명이 필요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탈락률 약 15%를 고려하여 총 139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완전하지 않거나, 부서이동을 이직으로 이해한 응답자와 제외 대상임에도 설문에 응한 총 19부를 제외한 총 120명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1) 일반적 특성 및 근무 관련 특성

일반적 특성은 나이, 결혼여부, 학력을 포함한 3문항이고, 근무 관련 특성은 경력 5년 기준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가 달라진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23], 총 임상 경력은 5년을 기준으로 하였고, 교대근무 여부, 부서이동의 자발적 이동 여부, 정기적 부서이동 희망 여부를 포함한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부서이동태도

부서이동태도는 Son [24]이 개발한 부서이동태도에 관한 연구도구를 Hwang [25]이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관리 영역의 4문항을 추가하여 수정 ‧ 보완한 도구로서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 방식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부터 5점 ‘매우 그렇다’까지 5점 Likert 척도이고, 가능한 점수 범위는 최소 30점에서 최고 78점이다. 역 문항인 16번, 17번, 18번 문항은 역 환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근무부서이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별 점수의 평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wang의 연구[25]에서 Cronbach's ⍺는.75였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는.74였다.

3)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은 Angel 등[26]이 개발한 14문항 축약형 측정도구(Nurses’ Self-Concept Instrument [NSCI])를 국내 적용을 위해 Ryu와 Kim [27]이 요양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한국형 문화와 정서에 맞게 용어의 표현을 수정 ‧ 보완한 도구로 사용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지식’, ‘돌봄’, ‘구성원과의 관계’, ‘리더십’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4문항이다. 측정방식은 1점 ‘강한 부정’에서부터 8점 ‘강한 긍정’까지 8점 Likert 척도이고 문항에 대한 점수의 분포는 최소 14점에서 최고 112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별 점수의 평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는.94였고, 본 연구에서 하위영역별 신뢰도는 지식 영역 Cronbach's ⍺는.84, 돌봄 영역 Cronbach's ⍺는.73, 구성원과의 관계 영역 Cronbach's ⍺는.81, 리더십 영역 Cronbach's ⍺는.87이었다.

4) 조직몰입

조직몰입은 Mowday 등[11]이 개발하고 Lee [28]가 번역한 것을 Chang [29]이 수정 ‧ 보완한 도구로 사용 승인받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사명감 4문항, 자긍심 5문항, 재직욕구 2문항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의 문항 척도 측정 방식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부터 5점 ‘매우 그렇다’까지 5점 Likert 척도이고, 가능한 점수 범위는 최소 19점에서 최고 47점이다. 역 문항인 10번과 11번 문항은 역 환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Chang [29]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89였고, 본 연구에서 하위영역별 신뢰도는 사명감 영역 Cronbach's ⍺는.74, 자긍심 영역 Cronbach's ⍺는.83, 재직욕구 영역 Cronbach's ⍺는.54였다.

5) 환자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간호활동은 2014년도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개발한 상급종합병원용/종합병원용 인증평가기준집(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에서 환자안전평가 관련 5개 범주(환자안전, 화재안전, 투약 및 모니터링, 감염관리체계, 의료기기관리)중 9개 기준에 속한 총 57개 조 사항목을 바탕으로 Han과 Jung [30]이 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도구는 정확한 환자확인 4문항, 의사소통 4문항, 수술/시술 전 환자안전 3문항, 낙상예방활동 6문항, 손 위생 및 감염관리 5문항, 화재안전 및 응급상황관리 2문항, 투약 6문항, 시설 및 의료기기 관리 2문항으로 총 8개의 하위영역,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문항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부터 5점 ‘매우 그렇다’까지 5점 Likert 척도이고, 가능한 점수 범위는 최소 32점에서 최고 16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별 점수의 평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an과 Jung [30] 연구에서 Cronbach's ⍺는.95였고, 본 연구에서 하위영역별 신뢰도는 정확한 환자확인 영역 Cronbach's ⍺는.78, 의사소통 영역 Cronbach's ⍺는.66, 수술/시술 전 환자안전 영역 Cronbach's ⍺는.70, 낙상예방활동 영역 Cronbach's ⍺는.83, 손 위생 및 감염관리 영역 Cronbach's ⍺는.76, 화재안전 및 응급상황관리 영역 Cronbach's ⍺는.66, 투약 영역 Cronbach's ⍺는.77, 시설 및 의료기기 관리 영역 Cronbach's ⍺는.83이었다.

4. 자료수집과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 소속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IRB No. 2022-09-068)을 받아 진행하였다. 간호부에 방문하여 연구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 후 공문을 통해 각 간호 단위의 관리자에게 협조를 구한 후 연구 허가를 받은 간호 단위에 방문하여 부서의 간호 관리자에게 연구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부서의 휴게장소에 연구대상자 모집 공고문을 게시하여 홍보하였으며 모집 공고문에는 Google form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온라인 설문 링크 및 QR코드를 제공하였다. 설문 링크에 연구대상자 설명문을 포함시켜 설문 시작 전 설명문을 읽고 동의를 클릭하여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22년 11월 1일부터 2022년 11월 22일까지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예상 소요시간은 15분 내외였고 설문에 응한 대상자들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140부의 설문지가 수집되었고, 응답이 완전하지 않거나 부서이동경험 대상자가 아닌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120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설문 자료는 암호가 설정된 개인 컴퓨터에 저장되며, 3년간 보관 후 컴퓨터 초기화를 통해 영구 폐기할 것이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SPSS/WIN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관련 특성,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는 5점 만점에 3.07±0.43점, 전문직 자아개념은 8점 만점에 5.80±0.87점,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3.11±0.55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4.57±0.35점이었다(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of Study Variables (N=120)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1.81±5.52세로 30세 이상 40세 미만이 56명(46.6%)으로 가장 많았다. 미혼이 79명(65.8%), 학력은 학사졸업이 82명(68.3%)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총 임상 경력은 8.71±5.56년이었으며, 5년 미만 38명(31.7%), 5년 이상이 82명(68.3%)로 나타났다.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가 103명(85.3%)으로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많았고, 원하는 부서로의 이동한 경우 60명(50%) 그렇지 않은 경우 60명(50%)로 동일하였다. 앞으로도 정기적인 부서이동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가 75명(62.5%)으로 대부분이 희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나이, 결혼여부, 총 임상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의 경우 40세 이상의 그룹이 다른 연령 그룹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높았고(F=4.66, p=.011), 미혼보다 기혼에서(t=-2.06, p=.042), 5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가진 그룹이 5년 미만의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38, p=.019)(Table 2).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20)

3.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r=.36, p<.001)으로 나타났다. 부서이동태도도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23, p=.011) 조직몰입 또한 환자안전간호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다(r=.30, p<.001)(Table 3).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N=120)

4.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었던 나이, 결혼여부, 총 임상 경력을 1단계로 입력한 뒤,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을 2단계에 추가로 입력하였다. 변수 중 명목척도인 연령은 30세 미만을 기준으로, 총 임상경력은 5년 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더미변수로 처리하였다. 회귀분석의 가정을 만족하는지 점검하기 위해 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을 확인하였다. 잔차 독립성 검증을 위해 Durbin-Watson을 이용하여 오차와의 자기상관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2.00로 2에 근접하여 잔차들은 자기상관 없이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의 값은 1.23∼1.96로 10 미만으로 나타났고, 공차한계(tolerance)의 값은.51∼.81로 0.10 이상으로 나타나 다중공산성 가정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준화 잔차 히스토그램과 P-P 도표를 이용하여 정규성을 확인하였으며, 잔차 산점도를 이용해 등분산성 가정 또한 만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1단계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F = 3.28, p =.014), 1단계 모형에 투입된 변수 중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주요 변수를 추가적으로 투입한 2단계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15, p<.001). 1단계 모형의 수정된 값은.07, 2단계 모형의 수정된 값은.20으로 변화량이.13증가하였다. F변화량(F=6.96)에 따른 유의확률(p<.001)로 통제변수 투입 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 임상 경력(β=.24, p=.029), 전문직 자아개념(β=.22, p=.037)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이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약 2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Regression Analysis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20)

논 의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간호인력 관리 및 환자안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07±0.43점으로, 선행연구[11]의 평균 2.92±041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11]의 부서이동은 대상자의 88.3%가 개인 의사와 상관없이 진행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약 50%가 개인 의사를 반영한 부서이동이라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서이동에서 개인의 의사를 반영했는지 여부가 부서이동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고 불가피하게 부서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이와 같은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거나 근본적으로 병원의 인력관리를 체계화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8점 만점에 5.80±0.87점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4]에서 4.25±0.57점보다 높게 나왔으며, 요양병원 간호사 대상의 선행연구[27]의 6.02±0.84점보다 낮았다. 특히, 전문직 자아개념 하위영역 중 리더십 점수는 5.18±1.21점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영역 중 유일하게 평균보다 낮았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요양병원 간호사보다 낮고, 중소병원 간호사보다 높은 것은 병원의 규모와 유형에 따라 간호사의 업무와 역할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으며, 체계적이지 않고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부서이동에 의한 영향일 수도 있다. 또한, 근무하는 병원의 규모와 유형을 고려하여 각각의 병원에서 간호사의 리더십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의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3.11±0.55점이었다. 종합병원 간호사 대상의 선행연구에서 조직몰입 평균은 3.28±0.50점[11]으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중간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직몰입이 높은 간호사는 병원 조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직에 남고자 하는 욕망이 크며, 조직 내 구성원들과 의사소통이 원활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따라서 조직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중재 전략을 통해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직몰입의 하위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재직욕구가 3.00±0.87점으로 가장 낮았는데, Im 과 Park [15]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희망부서를 고려한 인력배치 또는 적절한 보상 등을 통한 간호사의 재직욕구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5점 만점에 4.57 ±0.35점이었다. 하위영역 중 낙상예방활동 점수가 4.66±0.40점으로 가장 높았고, 정확한 의사소통 점수가 4.34±0.56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같은 측정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30]의 평균 4.05±0.48점보다 높은 점수로, 요양병원 간호사에 비해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더 잘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평균 경력이 8.71±5.56년으로 선행연구에서의 평균 경력 5.44±5.64년보다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다. 또한 의료기관평가 인증을 통해 환자안전과 관련된 항목들이 임상현장에 맞게 체계화되었고, 환자안전을 위한 여러 활동들에 의한 영향으로 선행연구보다 점수가 높게 나왔을 수 있으므로[1], 후속연구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하위 영역 중 가장 낮은 점수는 정확한 의사소통으로 대부분의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5,30]. 이는 환자안전사고 대처를 위해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의료진 간 정확한 의사소통 교육이 필요하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한다[31]. 따라서 정확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게시 및 홍보, 정확한 의사소통 원칙 정립,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해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은 나이, 결혼여부, 총 임상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선행연구[1,33]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 중소병원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4]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병원 규모에 따른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반복적 연구를 통해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모두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안전간호활동과 부서이동태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부서이동태도를 가진 간호사가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도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체계적인 부서이동, 개인의 의사가 반영된 부서이동을 통한 인력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 중 총 임상경력, 전문직 자아개념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총 임상경력 5년 이상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수행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수행정도가 높다는 것은 선행연구[32]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선행연구[14]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간호사가 근속할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근무환경 개선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문직 자아개념을 강화시키기 위해 부서 내 정기적 교육 및 경력별 맞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기발전의 기회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14]. 반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부서이동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이동태도와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확인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직무 스트레스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선행연구[13]를 통해 원인을 찾고자 한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 부족은 부서이동을 경험한 간호사들이 겪는 문제로[12] 전문적 지식과 기술 부족은 직무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13].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부서이동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부서에 적응한 간호사를 포함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조사했기 때문에 부서이동태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서이동 후 새로운 시스템에 적응하는 기간, 부서 내 교육 및 동료와의 관계 정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서이동태도를 통제하여 부서이동태도의 여향을 조사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환자안전 관련 교육 정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주의가 요구된다. 이외에도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편의 표집에 따라 진행된 연구로 일반화에 제한이 있어 확대 연구가 필요하며, 수집된 대상자가 모두 여성으로 추후 남성 대상자를 수집하여 추가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1년 이상의 경력 대상자를 선정하여 시행하였으므로, 1년 미만의 부서이동을 경험한 간호사를 추가로 조사하여 이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자가보고식 조사로 주관적인 판단에 기초한 평가이기 때문에 다양함 검사도구에서 일관된 결과가 나오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제 수행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검사도구를 개발 및 적용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 론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총 임상경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 향상을 위해 임상 경력 유지를 위한 근무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개개인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도록 부서 내 정기적 교육 및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기발전의 기회를 마련해 줄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부서이동태도,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새롭게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Hyojung Park is now editorial board member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She was not in-volved in the review process of this manuscript. Otherwise, there was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Park M and Park H; Data collection - Park M;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Park M;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Park M and Park H.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References

1. . Kim JE, Song JE, Ahn JA, Boo S.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21;14(2):12–23. https://doi.org/10.34250/jkccn.2021.14.2.12.
2. . Korea Institu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21 Statistical re-port on patient safety [Internet] Seoul: Korea Patient Safety Reporting & Learning System; 2021. [cited 2021 March 1]. Available from: https://statistics.kops.or.kr/biWorks/dashBoardMain.do.
3. . Yang NY, Choi SB, Yoon JE, Bae SM. Influence of time pressur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patient safety care activities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21;28(1):49–58. https://doi.org/10.22705/JKASHCN.2021.28.1.49.
4. . Yun J, Son HM.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between time pressure and safety of care activitie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25(3):248–257.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3.248.
5. . Park JH. Effects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importance,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26(3):181–119.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181.
6. . Shin S, Yu M. A model for predicting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experiencing ro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4):551–561.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51.
7. . Halberg N, Assafi L, Kammersgard G, Jensen PS. "Wow I had no idea"-how job rotation is experienced by nurses caring for elective orthopaedic patients: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20;29(5-6):932–943. https://doi.org/10.1111/jocn.15157.
8. . Alfuqaha OA, Al-Hairy SS, Al-Hemsi HA, Sabbah AA, Faraj KN, Assaf EM. Job rotation approach in nursing profession.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21;35(2):659–667. https://doi.org/10.1111/scs.12947.
9. . Kim MK, Lee SM.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taff nurses’ job stress factor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25(4):340–352.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4.340.
10. . Lee YO, Kwon MS. A study on nurses’ perception of job rotation and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4):459–472.
11. . Lee EY, Kim NH. Relationship among nurses’ attitude on job ro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2):154–163. https://doi.org/10.5807/kjohn.2012.21.2.154.
12. . Lee EJ, Yoo EK. The experience of unwanted department re-ocation of the nurse. Journal of Wellness. 2017;12(2):37–48. https://doi.org/10.21097/ksw.2017.05.12.2.37.
13. . Jung S, Choi 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th Nursing. 2017;26(1):47–54. https://doi.org/10.5807/kjohn.2017.26.1.47.
14. . Cho YO, Kim MS. Effects of perceived safety cultur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22;47(1):66–73. https://doi.org/10.21032/jhis.2022.47.1.66.
15. . Im SA, Park MJ.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6):259–270. https://doi.org/10.14400/JDC.2018.16.6.259.
16. . Crigger N, Godfrey N. a new approach to teach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professional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4;30(5):376–382.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4.03.004.
17. . Yang HM.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work out-come: focused on the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11):87–97.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087.
18. . Lee EM, Kim DH.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nursing service quality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5):375–386.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5.375.
19. .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0. . Gong HH, Son YJ.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4):453–46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4.453.
21. . Cho MS, Cho YA, Kim KH, Kwon IG, Kim MS, Lee JL. Development of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nurses: for tertiary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3):277–292.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277.
22. . Choi HJ, Lee YM, Park HJ. Effects of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by comprehensive nursing care medical service ward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21;14:87–98. https://doi.org/10.34250/jkccn.2021.14.3.87.
23. . Nam MH, Lim JH.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1):349–359.
24. . Son YG. Study on the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relocating to work department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1995.
25. . Hwang BL. A Study on nurses’ attitude of job transfer and job satisfaction in operating room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p. 57–62.
26. . Angel E, Craven R, Denson N. The nurses self-concept instru-ment (NSCI): assessment of psychometric properties for Aust-rali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7):880–88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1.016.
27. . Ryu JM, Kim MS.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leadership on elderly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6;41(4):392–402. https://doi.org/10.21032/jhis.2016.41.4.392.
28. . Lee M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8;4(2):363–385.
29. . Chang KW. Study on structural modeling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for nurse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p. 56–71.
30. . Han MY, Jung MS.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27–138.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27.
31. . Mok SH, Kim SH.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communication to prevent patients from safety accident by nurses working in th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0;21(10):115–126. https://doi.org/10.5762/KAIS.2020.21.10.115.
32. . Hong HH, Lee EJ.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Health & Nursing. 2021;33(2):27–34.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of Study Variables (N=120)

Variables Categories M± SD Range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Total 3.07±0.43 1∼5
Professional self-concept Total 5.80±0.87 1∼8
Staff relation 6.21±1.01
Care 6.04±0.94
Knowledge 5.92±0.94
Leadership 5.18±1.21
Organizational commitment Total 3.11±0.55 1∼5
Sense of duty 3.22±0.74
Pride 3.07±0.72
Desire to maintain membership 3.00±0.87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otal 4.57±0.35 1∼5
Fall prevention 4.66±0.40
Accuracy of patient identification 4.65±0.43
Hand hygiene and infection prevention 4.62±0.43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management 4.58±0.50
Medication 4.58±0.40
Patient safety prior to operation/procedures 4.55±0.54
Fire safety and emergency management 4.45±0.59
Communication 4.34±0.56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2.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20)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 SD t or F (p)
Age (year) <30 a 50(41.7) 144.62±10.87 4.66
30∼<40 b 56(46.6) 145.57±11.48 (.011)
≥40 c 14 (11.7) 154.36±6.25 a, b< c
Marital status Unmarried 79(65.8) 144.72±11.39 -2.06
Married 41 (34.2) 149.05±10.00 (.042)
Education level Diploma 12 (10.0) 144.92±11.64 0.12
Bachelor 82 (68.3) 146.18±11.36 (.885)
≥ Graduate 26(21.7) 146.85±10.31
Total career (year) <5 38(31.7) 142.74±11.88 -2.38
≥5 82(68.3) 147.80±10.39 (.019)
Shift work Non shift 17(14.2) 146.17±11.23 -0.09
Shift 103 (85.8) 146.41±10.47 (.933)
Respect personal opnion Yes 60(50.0) 146.38±10.94 0.18
No 60(50.0) 146.38±10.94 (.857)
Want a regular job rotation Yes 45 (52.5) 147.93±9.12 1.33
No 75 (42.5) 145.16±12.05 (.186)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3.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N=120)

Variables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r (p) r (p) r (p) r (p)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1
Professional self-concept .38 (<.001) 1
Organizational commitment .24 (.008) .54 (<.001) 1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23 (.011) .36 (<.001) .30 (<.001) 1

Table 4.

Regression Analysis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20)

Variables Categories Model I Model II
B SE β t p B SE β t p
(Constants) 4.47 0.06 81.40 <.001 3.40 0.25 13.50 <.001
Age (year) <30 (ref.)
30∼<40 -0.01 0.09 -.12 -0.94 .349 -0.14 0.09 -.21 -1.68 .010
≥40 0.16 0.14 .15 1.17 .025 0.10 0.13 .09 0.75 .455
Marital status 0.04 0.08 .06 0.50 .621 0.01 0.08 .02 0.17 .867
Total career (year) <5 (ref.)
≥5 0.18 0.09 .24 2.16 .077 0.18 0.08 .24 2.21 .029
Attitude toward job rotation 0.09 0.07 .11 1.20 .232
Professional self-concept 0.09 0.04 .22 2.11 .037
Organizational commitment 0.10 0.06 .16 1.63 .106
R2=.10, Adj. R2=.07, F=3.28, p=.014 R2=.24, Adj. R2=.20, F=5.15, p<.001

ref.=reference; SE=standard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