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J Korean Acad Fundam Nurs > Volume 27(2); 2020 > Article
폐암 환자의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complications in lung cancer patients undergoing therapeutic lung resection.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investigating participa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nutritional status, operative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as foun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undergoing therapeutic lung resection for lung cancer. Data were collected from 191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therapeutic lung resection in 1 general hospital. Analysis was done using χ2 test or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men over 65 years old, smokers (former smokers included), FEV1/FVC ratio less than 70%. Other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were lengthy operation time, FEV1/FVC ratio less than 70% and post OP stageII.

Conclusion

Results show that a FEV1/FVC ratio less than 70%, and post OP stageII are factors influencing complications after therapeutic lung resection. Determin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rough preoperative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plans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s that improve lung functio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폐암은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발생률이 높은 악성종양으로,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006년 28.7명에서 2016년에는 35.1명으로 전체암 중 가장 큰 사망률 증가폭을 보였으며, 2016년 암사망률 보고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나타났다[1].
조기 폐암의 표준적인 치료방법으로 폐엽절제술과 종격동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치료적 폐절제술을 주로 시행하고 있으며[2], 치료적 폐절제술은 조기 폐암을 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치료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3]. 그러나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 후 폐실질의 손실, 마취 후유증, 통증, 스트레스, 흉곽의 운동의 제한, 비효율적인 기관지 분비물 배출 등으로 인해 수술 후 폐기능이 저하되며[4], 호흡기능 부전으로 인한 무기폐, 기관지 경련, 기관지염, 폐렴, 폐부종, 상기도 폐쇄 등의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의 위험성이 증가된다[5,6]. 이같은 수술 후 합병증은 수술 환자의 회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7]. 또한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호흡기계 합병증 이외에도 수술 부위 감염[8], 마약성진통제 사용과 관련된 장운동 저하[9], 섬망, 우울[10]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경험할 수 있다. 이같은 폐절제술 후 합병증은 입원 기간의 연장이나 중환자실 치료 연장 등을 유발하여 경제적 부담을 심화시키고,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어[6,11] 사전에 합병증을 예측하고 영향 요인을 중재하는 것은 중요한 간호중재이다.
폐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위험요인은 선행연구[12-16]에서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환자의 개인적 특성 관련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기저질환, 비만, 흡연, 가래, 기침, 천명, 폐기능 상태, 부적절한 의식 상태, 미국마취의사협회의 수술 위험 지수 분류(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ASA), 운동능력 저하 등이 수술후 합병증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12]. 수술적 위험요인으로는 마취 지속시간, 수술 부위 절개 정도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3], 질병 관련 요인은 조직학적 종류에 따라 합병증 발생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 한편 영양학적 요인으로는 체질량지수, 알부민 수치, 비만 등이 있으며[15,16], 암 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들의 수술 후 합병증을 연구한 연구에서 영양 불량군이 영양 양호군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 이처럼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의 위험요인을 밝힌 선행연구 결과가 모두 일치된 결과를 보고하지는 않았다. 지금까지 수술전 폐기능 상태는 수술 후 합병증을 예측하는 보편적인 요인으로 보고되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폐기능 검사가 합병증 발생을 예측하지 못하였다[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개인적 특성 관련 위험요인, 영양학적 위험요인, 수술적 위험요인, 질병적 위험요인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외 다수 연구들은 폐절제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을 호흡기계 합병증에 국한하여 분석하였다[12,14,18]. 그러나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호흡기계 합병증 이외에도 수술 부위 감염, 마약성진통제 사용과 관련된 장운동 저하, 섬망, 우울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경험할 수 있으며[8-10], 합병증 발생 예방을 위한 중재 계획 또한 합병증 종류에 따라 차별화되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이에 폐절제술 후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을 구분하고, 합병증의 종류에 따른 발생 빈도 및 특성,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절제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을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으로 구분하여 다차원적인 위험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비호흡기계 합병증에는 선행연구에서 규명된[8-10] 소화기계 합병증, 비뇨기계 합병증, 정신심리적 합병증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예방 및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개발의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19세 이상의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의 특성을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으로 나누어 확인하고, 각각의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19세 이상의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요인을 예측하기 위해 전자의무기록을 조사 분석한 후향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11월 2일부터 2018년 7월 31일까지 대전시의 1개 종합병원 흉부외과에서 원발성 혹은 전이성 폐암을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위해 계획된 폐절제술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한 대상자 수는 문헌고찰[19]을 통해 odds ratio 1.3, 유의수준 .05, 검정력(1-β) .80, 로 설정하여 산출하였으며, 필요한 대상자수는 131명이었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전자의무기록을 분석하는 연구로 자료 표기의 불충분 상태를 고려하여 조사 대상자를 21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기록이 불충분한 19명을 제외하고 191명을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의 의무기록을 조사 분석하여 증례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증례 기록지 각각의 항목은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및 선행연구[4-17]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진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흉부외과 전문의, 성인간호학 교수 3인, 폐암센터 흉부외과 병동 간호관리자 2인, 암센터 종양전문간호사 1인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에게 자문을 받아 수정 ․ 보완하여 작성하였다.

1)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본 연구에서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은 대상자의 입원기간 동안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한 영상 판독결과지와 입원기간 중 경과기록지 및 퇴원 기록지로 확인하였다. 합병증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관련된 문헌고찰을[8-10,12,13,16,17] 근거로 호흡기계 합병증(수술 후 지속적인 공기누출, 흉수, 폐렴, 호흡부전)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소화기계 합병증, 비뇨기계 합병증, 정신심리적 합병증)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2)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영향 요인

(1) 개인적 특성 관련 위험요인

개인적 특성 관련 위험요인은 선행연구[7,12,16]을 근거로 대상자의 생물학적 성별, 연령, 수술위험지수 분류(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ASA Class), 기저질환, 흡연력, 수술 전 폐기능 상태를 조사하였다. 수술당시 연령을 기준으로 65세 미만과 65세 이상으로 분류하였고, 흡연력은 과거 흡연상태와 흡연 정도를 확인하였다. ASA Class는 수술 전 마취과 의사가 평가하는 대상자의 전신상태를 의미하며 1~6단계로 분류한다. 폐기능 상태는 FEV1 predicte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연령, 인종, 신장, 체중에 따른 예상치 대비 1초간 최대 호기량 비율)과 FVC predicted (Forced Vital Capacity, 연령, 인종, 신장, 체중에 따른 예상치 대비 노력성 폐활량), FEV1/FVC%을 확인하였다.

(2) 영양학적 위험요인

영양학적 위험요인은 선행연구[15,16]를 근거로 체질량 지수와 혈중 알부민 농도,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조사하였다. 체질량 지수는 입원시 측정한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2018 비만진료지침[20]에 따라 22.9 kg/m2 이하를 저체중 및 정상체중, 23~24.9 kg/m2는 비만 전단계, 25 kg/m2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3) 수술적 위험요인

수술적 위험요인은 선행연구[13,16]를 근거로 대상자의 수술 방법, 폐절제 범위, 수술 시간을 조사하였다. 수술 시간은 수술 부위 절개에서부터 봉합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 폐절제술의 수술시간 평균 1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50분 미만과 150분 이상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4) 질병적 위험요인

질병적 위험요인은 선행연구[12,14]를 근거로 폐암의 종류(전이성/원발성), 원발성 폐암의 조직학적 형태, 폐암 병기 분류 8차 개정판에 따른 수술 후 병기를 조사하였다. 수술 병기는 I~IV기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4. 자료수집

본 연구는 대전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 흉부외과에서 원발성 또는 전이성 폐암으로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210명의 전자의무기록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중 기록이 불충분한 19명을 제외하고 최종 191명을 분석하였다. 전자의무기록(경과 기록지, 퇴원 기록지, 수술 기록지, 마취 기록지, 간호정보조사지, 영상검사 결과지, 혈액검사 결과지)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영양학적 특성, 수술적 특성, 질병적 특성의 특성을 조사하고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연구자가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고 증례 기록지를 직접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5. 윤리적 고려

연구의 윤리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대상 병원의 생명의학연구윤리 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 ․ 승인을 받았으며(IRB File No. CNUH 2018-07-007), 연구대상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자료분석 전체 과정에서 모두 코드화 하여 무기명 처리하였다.

6. 자료분석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검정은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합병증 발생은 빈도와 백분율, 각 변수의 평균 등의 기술 통계량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위험요인 특성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χ2 test 또는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및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대상자는 남성이 112명(58.6%) 여성이 79명(41.4%)이었으며,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6.34±8.96세이었다. 이전에 흡연을 하였거나 현재 흡연중인 대상자는 84명(44.0%)이었으며, 수술 전 시행한 폐기능 검사상 FEV1 predicted는 평균 107.04±20.52%, FVC predicted는 104.21±16.84%였으며, 평균 FEV1/FVC비율은 71.73±2.44%였다.
BMI 측정 결과 22.9 kg/m2 이하인 저체중 대상자는 74명(38.7%)으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의 BMI 평균은 24.08±3.11kg/m2였다. 폐 절제 범위에 따라 수술을 분류하였을 때, 폐엽절제술이 153건(80.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 중 원발성 폐암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는 162명(84.8%)이었다(Table 1).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대상자의 합병증 발생 상태는 수술을 받은 대상자 191명 중 80명(41.9%)에게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한 대상자는 59명(30.8%)였으며, 비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한 대상자는 21명(11.1%)이었다(Table 1).

2.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의 차이

1) 위험요인에 따른 합병증 발생 차이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합병증 발생 차이는 성별과 연령, 수술위험지수(ASA)분류 단계, 흡연여부, FEV1/FVC 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높고(χ2=12.96, p<.001), 65세 이상 고령일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χ2=4.86, p=.029). ASA Class 1,2인 대상자보다 Class 3인 대상자의 합병증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χ2=4.47, p=.034), 과거 흡연력이 있는 경우에서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χ2=5.33, p=.021). 수술 전 폐기능검사 결과에 따른 합병증 발생 차이를 분석한 결과, FEV1/FVC 비율이 낮을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높고(t=4.06, p<.001), FEV1/FVC이 70% 미만인 경우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2=20.12, p<.001)(Table 1).
영양학적 위험요인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혈중 알부민 농도,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적 위험요인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수술 방법 및 수술 범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상자의 수술시간이 길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86, p=.005). 질병적 위험요인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수술 후 병기에 따라 합병증 발생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9.06, p=.028)(Table 1).

2) 위험요인에 따른 호흡기계 합병증 및 비호흡기계 합병증 발생 차이

개인적 특성에 따른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발생률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학적 위험요인에 따른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발생률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수술시간이 150분 이상인 대상자가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5.75, p=.016), 그 외 수술적 위험요인에 따른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유의미한 발생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질병적 위험요인에 따른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유의미한 발생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2).

3.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집단과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집단 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인 성별, 연령, 수술위험지수(ASA)분류, 흡연력, FEV1/FVC 70% 이상 여부, 수술시간, 폐암의 수술 후 병기 중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영향 요인을 검정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회귀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χ2=38.18, p<.001), 설명력은 24.4%였다.
회귀분석결과, 치료적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FEV1/FVC 비율-70% 이상 여부, 수술 후 병기-II기, IV기로 나타났다. FEV1/FVC 비율은 70% 미만인 대상자가 70% 이상인 대상자보다 폐절제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약 3.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I=1.31~11.34). 수술 후 병기는 병기 II인 경우 병기 I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95% CI=1.07~8.53), 병기 IV인 경우가 병기 1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0.3배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95% CI=0.10~0.88)(Table 3).

논 의

본 연구는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 환자의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폐절제술 환자의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대상자의 41.9%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대상자의 30.9%에서 호흡기계 합병증이 나타났다. 이는 치료적 폐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2]에서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률이 14.1%로 나타난 결과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같은 차이는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특성과 수술위험지수(ASA)와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연구[12]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 65세 이상 대상자가 67.5%였다. 또한 선행연구[12]에 비해 대상자들의 수술위험지수가 더 높았다. 중중 전신질환자로 분류되는 수술위험지수 3단계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선행연구에서는 3% 정도 참여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23.6%가 참여하였다. 이같은 연령과 수술위험지수는 호흡기합병증 발생의 주요 예측 요인으로[7,21,22], 폐절제술 환자에서 연령이 높은 경우[21], 수술위험지수 3 이상인 경우에서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21]. 이처럼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은 수술 전에 사정되는 성별, 연령, 수술위험지수(ASA) 등의 자료를 근거로 한 환자 등급 분류와 높은 관련성을 가진다. 이에 의료진들은 수술 전 환자의 위험요인 정도를 파악하고, 등급을 분류하여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간호중재를 적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자 중증도 분류 사정 도구의 개발과 분류에 따른 중재 시행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기저질환 여부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같은 결과는 호흡기 기저질환을 가진 대상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이 높게 나타난 기존의 연구들[12,23]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기저 질환을 호흡기계 질환으로만 국한하여 분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폐결핵, 간질환 등 다양한 기저 질환을 포함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저 질환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기저 질환의 종류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규명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 영양학적 특성은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혈중 알부민과 콜레스테롤 농도, 비만 정도가 수술 후 사망률과 합병증 발생의 주요 예측 인자로 나타난 기존의 연구들[16,24,24]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영양학적 요인에 따라 차이를 규명하지 못한 이유는 연구참여 대상자의 다수가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양호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다시말해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90% 이상에서 알부민 수치가 3.5 g/dL 이상 이었으며, 체질량지수에서도 비만에 해당되지 않는 대상자가 60% 이상이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영양 상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불량한 영양 상태는 면역 기능을 악화와 수술 후 합병증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4-27], Ohkura 등[27]의 연구에서 복강경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체질량 지수는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지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Joo와 Kim의 연구에서도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수술 후 폐합병증의 발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7]. 이처럼 영양학적 특성은 폐절제술 환자의 합병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이후 보다 다양한 영양학적 특성과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선행연구[8,12,23]에서 제시된 많은 수술적 위험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간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술 시간이 길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마취 지속시간이 길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높다는 선행연구와[12] 유사한 결과이다. 오랜 기간의 마취와 수술 시간은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한 호흡기계 합병증과 다양한 수술 후 합병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23]. 그러나 선행연구들[8,20]에서는 폐절제술 후 발생하는 호흡기계 합병증의 영향요인으로 수술 방법[26] 및 수술 범위[8], 수술시 수혈량[27,28] 등의 다양한 수술적 요인을 보고하고 있다. 이는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수술 전의 위험요인을 평가[29]할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수술 관련 정보를 통해 환자를 재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수술적 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수술 전 수술위험지수(ASA)를 확인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인구학적 특성, 영양학적 특성, 수술적 특성, 질병적 특성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위험요인 사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요인을 찾을 수 있는 예측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수술 후 폐 합병증 발생 위험군 선별을 통한 호흡간호중재를 적용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 환자의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FEV1/FVC 비율과 수술 후 병기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수술 후 병기 II기를 진단받은 대상자가 I기 대상자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선행연구[12]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수술 후 병기에 따른 암종의 크기 및 림프절 전이 유무, 폐절제 범위 및 림프절 절제술 시행여부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폐절제 범위가 넓은 수술을 받는 경우 수술 전 심호흡, 기침, 조기 이상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수술 후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하여 폐기능의 감소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수술 전 ․ 후에 폐기능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흡기근 훈련과 같은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수술 전 폐기능 검사 결과에 따른 합병증은 FEV1/FVC 비율이 70% 미만으로 낮았던 대상자에서 합병증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FEV1/FVC 비율이 70% 미만인 대상자는 70% 이상인 대상자보다 합병증 발생이 약 3.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V1/FVC 비율이 70% 미만인 경우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대상자의 만성 폐질환의 여부는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주요 예측인자로 보고되고 있다[16,30]. 이처럼 대상자의 다양한 개인적 특성들은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수술 전만성 폐질환의 동반 여부와 폐기능 상태는 주요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수술 전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대상자를 선별하고,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심호흡, 수술전 호흡운동 등의 적극적인 호흡재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편의 추출한 일 개 대학병원에서 진행되고,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혔기 때문에 연구대상자가 한정되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자료수집을 통해 시행되어 설문지 자료수집과 직접적 측정이 수행되지 못해 대상자의 상태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또한 수술 후 병기에 따른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타 장기원발암을 가진 전이암 환자가 포함된 병기 IV의 경우 병기 I에 비해 합병증 발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병기 IV 대상자의 경우 다른 병기와 달리 진단적 목적으로만 폐절제술을 시행하며, 폐 절제 범위가 작은 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호흡기계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발생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수술적 위험요인과 질병적 위험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대상자의 수술 후 합병증과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발생률에 대한 분석에서 수술 시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반영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폐암으로 치료적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FEV1/FVC 비율이 70% 미만인 경우, 수술 후 병기-II기는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개인적 요인과 영양학적 요인, 수술적 요인, 질병적 요인 등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위험 요인 사정이 필요하며, 이를 근거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대상자에 맞는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폐암 환자의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고위험군 판별에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합병증 발생 예방 프로그램의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규명되지 못했던 폐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학적 위험요인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술 후 합병증 발생위험 예측도구 개발 연구가 필요하며, 수술 전 환자의 위험수준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과 비호흡기계 합병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술적 위험요인, 질병적 요인을 추가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수술 후 합병증 발생위험 예측도구를 통해 위험군을 분류하고, 합병증 발생 예방을 위한 호흡간호중재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Table 1.
Comparison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with and withou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N=191)
Variables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or M±SD Participants with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articipants withou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x2 or t (p)
n (%) or M±SD n (%) or M±SD
Complications Pulmonary complications 59 (30.8)
Non pulmonary complications 21 (11.1)
No complication 111 (58.1)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Male 112 (58.6) 59 (52.7) 53 (47.3) 12.96 (<.001)
Female 79 (41.4) 21 (26.6) 58 (73.4)
Age <65 62 (32.5) 19 (30.6) 43 (69.4) 4.86 (.029)
≥65 129 (67.5) 61 (47.3) 68 (52.7)
66.34±8.96 68.72±8.57 64.61±8.87 -3.32 (.002)
ASA ≤Class 2 146 (76.4) 55 (37.7) 91 (62.3) 4.47 (.034)
Class 3 45 (23.6) 25 (55.6) 20 (44.4)
Underlying disease Yes 135 (70.7) 53 (39.3) 82 (60.7) 1.79 (.180)
 RD 21 (15.6) 11 (52.4) 10 (47.6)
 Non RD 114 (84.4) 42 (36.8) 72 (63.2)
No 56 (29.3) 27 (48.2) 29 (51.8) 1.30 (.253)
History of smoking Yes 84 (44.0) 43 (51.2) 41 (48.8) 5.33 (.021)
No 107 (56.0) 37 (34.6) 70 (65.4)
Amount of smoking (packs/year) <40 51 (60.7) 26 (51.0) 25 (49.0) 0.00 (.962)
≥40 33 (39.3) 17 (51.5) 16 (48.5)
35.20±19.53 33.74±19.19 36.73±20.00 0.69 (.487)
PFT FEV1 predicted (%) 107.04±20.52 102.98±20.29 109.97±20.26 2.35 (.060)
FVC predicted (%) 104.21±16.84 103.08±15.79 105.04±17.59 0.79 (.429)
FEV1/FVC <70% 36 (18.8) 27 (75.0) 9 (25.0) 20.12 (<.001)
≥70% 155 (81.2) 53 (34.2) 102 (65.8)
71.73±2.44 70.91±2.50 72.32±2.24 4.06 (<.001)
Nutritional status Serum total cholesterol (mg/dL) <200 135 (70.7) 59 (43.7) 76 (56.3) 0.63 (.727)
200~239 45 (23.5) 17 (37.8) 28 (62.2)
>240 11 (5.8) 4 (36.4) 7 (63.6)
175.73±37.46 173.54±33.57 177.31±40.10 0.68 (.494)
Serum albumin (g/dL) <3.5 19 (9.9) 9 (47.4) 10 (52.6) 0.25 (.631)
≥3.5 172 (90.1) 71 (41.3) 101 (58.7)
3.95±0.37 3.95±0.37 3.95±0.36 -0.06 (.952)
BMI (kg/m2) ≤22.9 74 (38.7) 38 (51.4) 36 (48.6) 4.44 (.108)
23~24.9 44 (23.0) 16 (36.4) 28 (63.6)
≥25 73 (38.3) 26 (35.6) 47 (64.4)
24.08±3.11 23.32±3.42 24.63±3.42 2.91 (.054)
Operative characteristics Methods Thoracotomy 9 (4.7) 6 (66.7) 3 (33.3) 2.38 (.123)
VATS 182 (95.3) 74 (40.7) 108 (59.3)
Range of lung resection Lobectomy 153 (80.1) 65 (42.5) 88 (57.5) 1.39 (.498)
Segmentectomy 16 (8.4) 8 (50.0) 8 (50.0)
Wedge resection 22 (11.5) 7 (31.8) 15 (68.2)
Operation time (min) <150 148 (77.5) 63 (42.6) 85 (57.4) 0.12 (.722)
≥150 43 (22.5) 17 (39.5) 26 (60.5)
138.92±63.46 154.10±59.50 127.97±64.22 -2.86 (.005)
Disease characteristics Origin Primary lung cancer 162 (84.8) 72 (44.4) 90 (55.6) 2.87 (.090)
Metastatic lung cancer 29 (15.2) 8 (27.6) 21 (72.4)
Histological types Adenocarcinoma 124 (64.9) 49 (39.5) 75 (60.5) 0.81 (.367)
Others 67 (35.1) 31 (46.3) 36 (53.7)
Post OP stage I 130 (68.1) 53 (40.8) 77 (59.2) 9.06 (.028)
II 20 (10.5) 14 (70.0) 6 (30.0)
III 12 (6.3) 5 (41.7) 7 (58.3)
IV 29 (15.2) 8 (27.6) 21 (72.4)

Former smoker included;

Carcinoid, malignant solitary fibrous, large cell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mixed type (multiple organ metastatic cancer);

ASA=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BMI=body mass index; FEV1 predicted=the percentage of result divided by the average FEV1 in the population for any person of similar age, sex, and body composition; FVC predicted=the percentage of result divided by the average FVC in the population for any person of similar age, sex, and body composition; OP=operation; PFT=pulmonary function test; RD=respiratory disease; VATS=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Table 2.
Comparison of Pulmonary Complications and Non Pulmonary Complications (N=80)
Variables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or M±SD Participants with pulmonary
Participants with non pulmonary
x2 or t (p)
n (%) or M±SD n (%) or M±S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Male 59 (73.8) 44 (74.6) 15 (25.4) 0.77 (.778)
Female 21 (26.2) 15 (71.4) 6 (28.6)
Age <65 19 (23.8) 12 (63.2) 7 (36.8) 0.24 (.241)
≥65 61 (76.2) 47 (77.0) 14 (23.0)
68.68±9.00 68.86±7.44 0.82 (.935)
ASA ≤Class 2 55 (68.8) 39 (70.9) 16 (29.1) 0.75 (.384)
Class 3 25 (31.2) 20 (80.0) 5 (20.0)
Underlying disease Yes 53 (66.2) 36 (67.9) 17 (32.1) 1.23 (.267)
 RD 9 (81.8) 2 (18.2)
 Non RD 27 (64.3) 15 (35.7)
No 27 (33.8) 23 (85.2) 4 (14.8) 2.75 (.097)
History of smoking Yes 43 (53.8) 33 (76.7) 10 (23.3) 0.43 (.512)
No 37 (46.2) 26 (70.3) 11 (29.7)
Amount of smoking (packs/year) <40 26 (60.5) 20 (76.9) 6 (23.1) 0.00 (.973)
≥40 17 (39.5) 13 (76.5) 4 (23.5)
PFT FEV1 predicted (%) 103.54±21.80 101.38±15.64 -0.41 (.678)
FVC predicted (%) 104.47±15.31 99.14±16.82 -1.33 (.186)
FEV1/FVC <70% 27 (33.8) 20 (74.1) 7 (25.9) 0.00 (.962)
≥70% 53 (66.2) 39 (73.6) 14 (26.4) 1.20 (.232)
70.71±2.24 71.48±3.10 1.20 (.232)
Nutritional status Serum total cholesterol (mg/dL) <200 59 (73.8) 44 (74.6) 15 (25.4) 0.11 (.947)
200~239 17 (21.2) 12 (70.6) 5 (29.4)
>240 4 (5.0) 3 (75.0) 1 (25.0)
Serum albumin (g/dL) <3.5 9 (11.2) 8 (88.9) 1 (11.1) 1.40 (.237)
≥3.5 71 (88.8) 51 (71.8) 20 (28.2)
BMI (kg/m2) ≤22.9 38 (47.5) 30 (78.9) 8 (21.1) 2.90 (.234)
23~24.9 16 (20.0) 13 (81.2) 3 (18.8)
≥25 26 (32.5) 16 (61.5) 10 (38.5)
Operative characteristics Methods Thoracotomy 6 (7.5) 3 (50.0) 3 (50.0) 1.89 (.169)
VATS 74 (92.5) 56 (75.7) 18 (24.3)
Range of lung resection Lobectomy 65 (81.2) 48 (73.8) 17 (26.2) 0.02 (.987)
Segmentectomy 8 (10.0) 6 (75.0) 2 (25.0)
Wedge resection 7 (8.8) 5 (71.4) 2 (28.6)
Operation time (min) <150 63 (78.8) 43 (68.3) 20 (31.7) 5.75 (.016)
≥150 17 (21.2) 16 (94.1) 1 (5.9)
152.83±58.82 157.67±62.72 0.31 (.751)
Disease characteristics Origin Primary lung caner 72 (90.0) 52 (72.2) 20 (27.8) 0.86 (.351)
Metastatic lung cancer 8 (10.0) 7 (87.5) 1 (12.5)
Histological types Adenocarcinoma 49 (61.3) 35 (71.4) 14 (28.6) 0.35 (.553)
Others 31 (38.8) 24 (77.4) 7 (22.6)
Post OP stage I 53 (66.3) 38 (71.7) 15 (28.3) 4.71 (.194)
II 14 (17.5) 12 (85.7) 2 (14.3)
III 5 (6.3) 2 (40.0) 3 (60.0)
IV 8 (10.0) 7 (87.5) 1 (12.5)

Former smoker included;

Carcinoid, malignant solitary fibrous, large cell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mixed type (multiple organ metastatic cancer);

ASA=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BMI=body mass index; FEV1 predicted=the percentage of result divided by the average FEV1 in the population for any person of similar age, sex, and body composition; FVC predicted=the percentage of result divided by the average FVC in the population for any person of similar age, sex, and body composition; OP=operation; PFT=pulmonary function test; RD=respiratory disease; VATS=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Table 3.
Factors Influencing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Therapeutic Lung Resection
Variation OR 95% CI p
Sex (ref. Female) Male 0.98 0.30~3.18 .982
Age (ref. <65) ≥65 1.17 0.48~2.84 .724
ASA (ref. ≤Class 2) Class 3 1.17 0.48~2.88 .718
History of smoking (ref. No) Yes 1.58 0.59~4.22 .359
FEV1/FVC (ref. ≥70%) <70% 3.86 1.31~11.34 .014
Operation time 1.00 0.99~1.00 .453
Stage (ref. ≥I) II 3.03 1.07~8.53 .013
III 1.00 0.29~3.39 .994
IV 0.30 0.10~0.88 .029

Former smoker included; ASA=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BMI=body mass index; SE=standard error; OR=odd ratio.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2016 Cancer incidence and death.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7 September 22].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2. Jeon YJ, Choi YS, Lee KJ, Lee SH, Pyo H, Choi JY. Outcomes of pulmonary resection and mediastinal node dissection by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llowing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for stage II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2018; 51(1):29-34. https://doi.org/10.5090/kjtcs.2018.51.1.29
crossref pmid pmc
3. de Groot PM, Truong MT, Godoy MC. Postoperative imaging and complications in resection of lung cancer. Seminars in Ultrasound, CT and MRI 2018; 39(3):289-296. https://doi.org/10.1053/j.sult.2018.02.008
crossref
4. Thanavaro JL, Foner BJ.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Reducing risks for noncardiac surgery. The Nurse Practitioner 2013; 38(7):38-47. https://doi.org/10.1097/01.npr.0000431179.49311.0b
crossref pmid
5. Lee W, Yang YL, Oh EG. Effectiveness of deep breathing exercise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preven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 21(4):423-432.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423
crossref
6. Reimer-Kent J. Creating a postoperative wellness model to optimize and enhance rapid surgical recovery. Canadi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2; 22(2):7-23.

7. Fernandez-Bustamante A, Frendl G, Sprung J, Kor DJ, Subramaniam B, Martinez Ruiz R, et al.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early mortality, and hospital stay following non-cardiothoracic surgery: a multicenter study by the perioperative research network investigators.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Surgery 2017; 152(2):157-166. https://doi.org/10.1001/jamasurg.2016.4065

8. Laursen LØ, Petersen RH, Hansen HJ, Jensen TK, Ravn J, Konge L.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lobectomy for lung cancer is associated with a lower 30-day morbidity compared with lobectomy by thoracotomy.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2016; 49(3):870-875. https://doi.org/10.1093/ejcts/ezv205
crossref pmid
9. LoCasale RJ, Datto C, Wilson H, Yeomans K, Coyne KS. The burden of opioid-induced constipation: discordance between patient and health care provider reports. Journal of Managed Care & Specialty Pharmacy 2016; 22(3):236-245. https://doi.org/10.18553/jmcp.2016.22.3.236
crossref pmid
10. Hayashi K, Motoishi M, Sawai S, Horimoto K, Hanaoka J.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lung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risk factors, risk scoring system, and prognosis. Journal of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2019; 14(11):1-1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23917
crossref
11. Lugg ST, Agostini PJ, Tikka T, Kerr A, Adams K, Bishay E, et al. Long-term impact of developing a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 after lung surgery. Thorax 2016; 71: 171-176. https://doi.org/10.1136/thoraxjnl-2015-207697
crossref pmid
12. Chun IH. Prediction model on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in lung resection patients with lung cancer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5. 8-12, 32.

13. Lee JH. Perioperative management of lung resection patients.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012; 29(1):9-13. https://doi.org/10.12701/yujm.2012.29.1.9
crossref
14. Kawase A, Yoshida J, Ishii G, Nakao M, Aokage K, Hishida T, et al. Differences between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of the lung: are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prognostically equal?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2; 42(3):189-195. https://doi.org/10.1093/jjco/hyr188
crossref pmid
15. Härter J, Orlandi SP, Gonzalez MC. Nutritional and functional factors as prognostic of surgical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in Cancer 2017; 25(8):2525-2530. https://doi.org/10.1007/s00520-017-3661-4
crossref
16. Thomas PA, Berbis J, Baste JM, Le Pimpec-Barthes F, Tronc F, Falcoz PE, et al. Pneumonectomy for lung cancer: contemporary national early morbidity and mortality outcomes. The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2015; 149(1):73-83. https://doi.org/10.1016/j.jtcvs.2014.09.063
crossref pmid
17. Miskovic A, Lumb AB.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17; 118(3):317-334. https://doi.org/10.1093/bja/aex002
crossref pmid
18. Rotman JA, Plodkowski AJ, Hayes SA, de Groot PM, Shepard JA, Munden RF, et a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thoracic surgery for lung cancer. Clinical Imaging 2015; 39(5):735-749. https://doi.org/10.1016/j.clinimag.2015.05.013
crossref pmid
19. Lee JL, Lee EK. Factors associated with pneumococcal vaccinations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8; 20(1):1-9. https://doi.org/10.17079/jkgn.2018.20.1.1
crossref
20. Medical Care Commission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Obesity treatment guidelines. 1st ed.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p. 26-27.

21. Traibi A, Grigoroiu M, Boulitrop C, Urena A, Masuet-Aumatell C, Brian E, et al. Predictive factors for complications of anatomical pulmonary segmentectomies. Interactive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2013; 17(5):838-844. https://doi.org/10.1093/icvts/ivt292
crossref pmid pmc
22. Agostini PJ, Lugg ST, Adams K, Smith T, Kalkat MS, Rajesh PB, et al. Risk factors and short-term outcomes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VATS lobectomy.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2018; 13(1):28-35. https://doi.org/10.1186/s13019-018-0717-6
pmid pmc
23. Sekine Y, Suzuki H, Nakajima T, Yasufuku K, Yoshida S. Risk quantification for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lung cancer surgery. Surgery Today 2010; 40(11):1027-1033. https://doi.org/10.1007/s00595-009-4182-7
crossref pmid
24. Choi SM, Lee J, Park YS, Cho YJ, Lee CH, Lee SM, et al.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Respiration 2014; 87(4):287-293. https://doi.org/10.1159/000357046
crossref pmid
25. Yom YH. Risk factors for surgical site infections according to electronic medical records dat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 21(2):151-161.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51

26. Ohkura Y, Shinohara H, Shindoh J, Haruta S, Ueno M, Sakai Y, et al. A new scoring system using preoperative factors and contour mapping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laparoscopic gastrectomy. Digestive Surgery 2016; 33(1):74-81. https://doi.org/10.1159/000442028
crossref pmid
27. Joo SY, Kim HS.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abdominal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9; 26(1):32-41. https://doi.org/10.7739/jkafn.2019.26.1.32
crossref
28. Lee CZ, Kao LT, Lin HC, Wei PL.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 between laparoscopic and open right hemicolectomy: a nationwide study. World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2015; 13: 250. https://doi.org/10.1186/s12957-015-0666-7
crossref pmid pmc
29. O'Neill F, Carter E, Pink N, Smith I. Routine preoperative tests for elective surgery: summary of updated NICE guidance. The British Medical Journal 2016; 354: i3292. https://doi.org/10.1136/bmj.i3292
crossref pmid
30. Kim ES, Kim YT, Kang CH, Park IK, Bae W, Choi SM, et al.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lung cancer surgery in patients with early-stage COPD.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16; 16(11):1317-1326. https://doi.org/10.2147/copd.s105206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