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J Korean Acad Fundam Nurs > Volume 30(1); 2023 > Article
흡연 여자대학생을 위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o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smoking knowledge, smoking shame, urine cotinine levels, tobacco craving and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applied Cox'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d.

Methods

This was a before-and-after experimental design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smoking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assigned either to an experimental group (n=22) or a control group (n=24). The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was the theoretical basis. The core tactic of smart management and strategy for health was applied as a coaching technique.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11 sessions of an interactive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60 to 120 minutes per session) fo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after the program finish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3, 2019 to March 7, 2019.

Results

This study showed differences i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F=71.09, p<.001), smoking knowledge (F=20.77, p<.001), smoking shame (t=5.11, p<.001), urine cotinine levels (t=-9.58, p<.001) and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t=11.68, p<.001). However, no difference in tobacco cravings (t=-1.57, p=.127) was foun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interactive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smoking knowledge, smoking shame, urine cotinine levels and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becau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bacco craving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21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보고에 따르면, 2019년 대비 2020년의 여성 흡연율은 20대(19~29세) 0.7% 포인트, 30대(30~39세) 1.6% 포인트 증가하였으며, 20대 여성의 전자담배 사용률도 2.9%에서 3.6%로 증가하여 전체 성인의 흡연율이 2019년 21.5%에서 2020년 20.6%로 0.9% 포인트 감소한 결과와 상반되게 20대 30대 젊은 여성의 흡연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1]. 이는 흡연 사실을 타인에게 알리지 않으려는 한국적 사회 분위기와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맞춰 왜곡해서 표현하려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서[2], 실제 여성 흡연율은 자가 보고율보다 2.6배 더 높을 수 있다[3].
여성의 경우 스트레스나 우울 감정을 감소시키기 위해 흡연을 시작했으나 1년 이상 흡연이 지속될 경우 부정적 기분이나 감정, 외로움, 우울이 더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4]. 여성의 흡연은 만성질환의 위험요인[5]이 될 뿐만 아니라, 수정능력 저하, 조기 폐경, 자궁경부암 등 여성 고유 질환의 위험 증가로 향후 전체 인구의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로[3] 이어질 수 있어 남성 흡연과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금연에 관한 연구는 흡연량,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왔다[6]. 그러나 간간이 흡연하다가 지속적으로 흡연하게 되는 나이를 21.6세로 보고한 결과[7]는 20대에 올바른 건강행위와 관련된 실천 이행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여자대학생의 경우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 불임이나 기형아 출산 유발 등에 대한 높은 흡연 위험 지각도[8], 현재 흡연 중인 여성이 흡연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높은 우울증[9], 주관적 건강 상태가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과 건강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결과[10]를 볼 때, 금연 상태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연자의 내면적 성장과 변화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흡연자의 역동적 내면 성장 관점에서, 금연동기 강화는 유능감을 상승시키고 금연의 장점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양가감정을 해결하고 행위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11]. 또한, 흡연으로 인해 어떠한 결과를 기대하는 흡연신념은 흡연에 관한 지식과 관계있는 것으로 흡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재적, 인지적 접근 외에 흡연자는 자신과 타인을 향한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한다. 흡연이 주는 쾌락적 이득보다 신체적 피해를 더 지각할수록, 자신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강하게 경험하게 되고 이는 금연 의향을 높일 수 있다[12]. 이러한 내면적 성장은 자기관리를 통해 현실적으로 도달하는 것으로, 자기관리란 스스로 건강을 제어하고 개선해가는 과정을 통해 건강이 증진되며, 코칭은 대상자가 전략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도록 자기관리 및 문제해결능력을 강화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13]. Willard-Grace 등[14]은 효율적인 코칭이 이루어진다면 1차 진료에서 자가 관리 지원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관행적 의료체계에서 벗어나 재정적 문제의 해결을 가져와 만성질병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Lawson 등[15]의 연구에서는 6,940명의 만성질병(우울증, 울혈성 심부전증,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골다공증, 천식 및 요통) 참가자 중 약 89%에서 환자 활성화 측정 수치가 크게 향상되는 결과로 스트레스 수준, 건강한 식습관, 운동 수준 및 신체적, 정서적 건강뿐만 아니라 변화를 위한 준비 중 최소한 하나의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별적 코칭을 통해 일시적 금연관리가 아닌 개인의 내적 고유 역량의 긍정적 성장을 통한 자기관리로 이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은 건강을 보호 증진하려는 목적으로 대상자의 개별성을 확인하고, 대상자-전문가 간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결과를 도출하는 통합적인 과정이다[16]. 대상자 단독요소 중 배경 변인은 수정 불가능한 개인의 고유 영역이며, 역동적 변인은 내재적 동기, 인지적 평가, 감정적 반응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수들은 서로 간에 상호 의존적이며 동시다발적으로 영향을 주고받고, 대상자-전문가 상호작용 요소인 중재의 영향을 받게 된다. 대상자-전문가 상호 관계에서 전문가는 교육자, 상담자, 정보제공자의 역할이며 의사결정은 대상자 스스로 하게 된다. 대상자 건강결과 요소는 전문가와 상호작용을 통한 건강 행위에 따른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측정할 수 있다[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상자-전문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지지, 건강 정보 제공, 의사결정통제 및 전문가적/기술적 능력제공을 구성요소로 한 금연코칭 프로그램이 금연을 성공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흡연 여자대학생의 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죄책감 및 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인 긍정적 성장을 통해 금연을 지속하고자 하는 상호작용 금연 코칭 프로그램 적용이 역동적 변인(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죄책감)의 변화 및 성공적 금연요소(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이 흡연 여자대학생의 역동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이 흡연 여자대학생의 성공적 금연 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3. 연구가설

  • 가설 1.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금연동기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죄책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4.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변 코티닌 수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5.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갈망 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6.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이 흡연 여자대학생의 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죄책감 및 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교육환경, 교육과정, 재학생 규모가 유사한 대구시와 구미시 소재 두 대학에 재학중이며 현재 흡연 중인 2, 3, 4학년 여자대학생으로 대구시의 학생은 실험군, 구미시의 학생은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 중재의 오염을 방지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현재 흡연 중인 여자대학생으로 소변 니코틴 정성검사에서 양성인 여자대학생(소변 니코틴 정성검사 양성은 최근 일주일 동안 1개비 이상의 흡연을 한 경우를 의미), 금연을 성공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여자대학생,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를 동의한 여자대학생으로 정하였고, 현재 금연을 위해 약물요법 중이거나 금연을 위해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여자대학생은 제외했다. 표본크기는 G*Power 3.1.9 프로그램을 통해 독립표본 t-검증에 필요한 최소 표본크기를 구한 결과, 검증력(1-β)=.80, 유의수준(⍺)=.05로 설정하고, 효과크기(d)는 Cox의 상호작용모델을 적용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수행한 선행연구[17]를 근거로 .80을 기준으로 단측검증했을 때, 각 집단 별로 각 21명이 필요하나 약 10%의 탈락률을 고려하여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 총 48명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각 대학 상담실의 승인 후 2018년 11월 26일부터 2주간 게시한 각 학과 게시판의 공지를 보고 본 연구에 참여동의서를 Social Network Service로 보내온 학생 52명 중 현재 금연을 위해 약물요법 중인 여자대학생 1명, 금연을 위해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여자대학생 3명을 제외한 4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24명이 사전 조사와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나 프로그램 진행 중 해외여행과 잦은 연락 두절 등의 사유로 2명이 중도 탈락하여 최종 22명이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사후 조사에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24명 모두 사전검사, 사후 검사까지 참여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 총 46명이 본 연구의 최종 연구대상자가 되었다.

3. 연구도구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및 흡연 관련 특성을 포함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연령, 학년, 전공, 종교, 주거형태, 용돈 수준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흡연 및 금연 관련 특성은 흡연 가족 유무, 금연 시도 횟수, 금연교육 경험 여부, 금연교육 이수시간 등을 포함하였다.

1) 금연동기

금연동기는 Park 등[18]이 개발한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Scale로 측정하였으며, 도구사용에 대한 원저자의 허락을 받았다. 이 도구는 총 10문항이며, 사전 생각단계, 생각단계, 준비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 10점에서 최고 50점의 범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금연동기가 강함을 의미한다. 단 7, 8, 10번 문항은 역산하였다. Park 등[18]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는 .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73이었다.

2) 흡연 관련 지식

흡연 관련 지식은 보건복지부 국가 암정보 센터에서 ‘국민 암 예방 수칙’ 실천지침 중 금연 부분에서 발췌한 금연 관련 지식 평가 문항으로[19] 선정하고 전문가 집단(흡연에 대한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2인, 금연전문상담사 3인)의 자문을 받아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5문항으로 흡연과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 11문항, 정신적 건강과의 관계 7문항, 담배의 구성 성분과 중독과의 관계 4문항, 간접흡연과의 관계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문항 평가는 명목척도 방법에 따라 정답일 경우 1점, 오답은 0점으로 점수화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흡연 관련 지식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척도 수준에서의 내용타당도 지수(scale level contents validity index)는 .99였다.

3) 흡연죄책감

흡연죄책감은 Park 등[12]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도구사용에 대한 원저자의 허락을 받았다. 이 도구는 총 3문항으로, 흡연자의 자신에 대한 죄책감 정도 1문항, 흡연자의 타인에 대한 죄책감 정도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 3점에서 최고 15점의 범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흡연죄책감이 강함을 의미한다. Park 등[12]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는 .64였고, 본 연구에서는 .75였다.

4) 소변 코티닌

소변 코티닌은 Smokescreen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Smokescreen을 사용한 소변 코티닌 측정 방법은 소변의 코티닌과 반응하여 색깔이 변하는 Reagent를 Reaction chamber 내에서 반응하게 하고 이로 인해 생기는 소변의 색깔 변화를 Smokescreen colorimeter (니코틴 비색 정량 측정기)가 판독하는 방법이다. 영국의 Surescreen Diagnostics Limited 사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소변 코티닌 치가 0.00~0.30 μ g/mL 인 경우에는 비흡연자, 0.40~0.90 μg/mL는 간접흡연자(외부영향, 매우소극적), 1.00 μ g/mL 이상은 흡연자로 판정하였다. 개인용 멸균 소변 검사통에 소변을 받도록 하였으며, 받은 소변을 연구자가 직접 Kit (syringe)에 2cc를 넣어 Reation chamber 에 끼워 측정하였다. 선행연구[20]에 따르면 소변 코티닌의 ‘ gold standard’ 측정법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법과 본 기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상관관계(r=.89, p<.001)가 있었고 이 검사 방법의 민감도는 89.9%, 특이도는 98.9%로 보고되었다.

5) 흡연갈망

흡연갈망은 Heishman 등이[21] 개발한 흡연갈망 설문지(Tobacco Craving Questionnaire, TCQ)를 Choi 등[22]이 번역하여 표준화한 한국어판 흡연갈망설문지(Korean version of Tobacco Craving Questionnaire, K-TCQ)를 한국어판 저자의 허락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47문항이며, 흡연에 대한 충동 및 욕구, 흡연에 대한 의도와 기대, 흡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 금단 증상 또는 부정적 정서 경감에 대한 기대, 담배 사용의 조절 능력 상실, 응답의 일관성 평가 범주 등 6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7점 Likert 척도로, ‘매우 동의하지 않음’ 1점, ‘매우 동의함’ 7점, 47점에서 최고 329점의 범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흡연갈망이 높음을 의미한다. Choi 등[22]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는 .94였고, 본 연구에서는 .89였다.

6)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은 Spek 등[23]이 개발한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설문지(The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Questionnaire)를 이중 번역 방법을 이용하여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원저자의 도구사용 허락을 받은 후 한국어, 영어가 가능한 간호학 교수와 보건학박사가 원 도구의 문항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 영어가 능통한 제3의 간호학 교수가 다시 영어로 역 번역하였으며, 원 도구와 역 번역한 도구를 원저자에게 대조하도록 하여 문항의 의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문항 간 의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한국어 문항을 확정하였고, 내용타당도 지수는 .97이었다. 이 도구는 총 6문항이며, 사회적 상황, 정서적 상황, 친구와 함께 있는 상황, 카페나 파티에 있는 상황에 흡연을 할 것인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확실히 피울 것이다’ 0점, ‘확실히 피우지 않을 것이다’ 4점, 0점에서 최고 24점의 범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Spek 등[23]이 개발한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89였고, 본 연구에서는 .85였다.

4. 연구진행

1) 연구자 준비

본 연구자는 ㈜중앙교육 개발원 청소년 금연 금주 예방 교육 강사 자격을 소지하고 있고, 보건복지부와 코칭경영원이 후원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주관한 ‘자기주도적 암 위기 극복 및 긍정적 성장 전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건강코칭 교육과정을 수료한 후 전문 건강코치로써 암 환자(췌장암, 간암, 폐암) 및 만성질환자(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코칭 실전을 통해 자기 주도적 위기 극복 및 긍정적 성장의 효과 및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2)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자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을 근거로 금연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Table 1).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은 대상자 단독요소, 대상자-전문가 상호작용 요소, 대상자 산출요소로 구성되어 있다[16]. 본 연구에서 대상자 단독요소 중 배경 변인은 수정 불가능한 개인의 고유 영역으로 연령, 학년, 전공계열, 종교, 가족구성원 중 흡연유무, 금연시도, 금연교육이수, 주거형태, 용돈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역동적 변인 중 내재적 동기는 건강행위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 결정감을 경험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욕구로써 금연동기, 대상자의 인식 영역인 건강 문제에 대한 인지적 평가는 흡연 관련 지식,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감정적 반응은 흡연죄책감으로 구성하였다.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은 대상자-전문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지지, 의사결정통제, 전문가 기술적 역량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흡연에 대한 심각성과 금연의 필요성에 대한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매회기별로 코칭 전략 주제는 자가평가, 나의 상태 평가하기, 현실 수용하기, 변화준비와 목표설정 하기, 의사결정 하기, 환경조성 및 계획하기, 실행하기, 피드백 및 유지 등으로 선정하였다. 정서적 지지에서는 기분 좋은 경험 나누기, 경청, 인정, 칭찬, 소그룹 경험나누기, 격려의 메시지 등을 통해 대상자의 정서적 상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다룸으로써 건강행위 수행에 동기부여를 하였다. 의사결정 통제에서는 정서적 지지 후 작성된 개인 워크북을 바탕으로 스스로 수행한 과제에 대하여 소감을 나누고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여 변화의 필요성 인지 및 변화의 의지를 생성시키고, 실행계획 설정을 점검하고 자기표현을 격려하여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고 일상생활에서 불안과 스트레스 관리를 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가 기술적 역량은 여자대학생의 가장 많은 흡연 원인인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을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변화가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고 동기를 강화하며, 장애요소 발견 및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점검하였다. 대상자 건강결과 요소는 전문가와 상호작용을 통한 건강 행위에 따른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성공적 금연 요소인 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을 포함 하였다(Figure 1).
Table 1.
Interactive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Week Coaching core strategy Client professional interaction Contents Time
(min)
1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Reminding oneself of good things
Open mind
Orientation Introduction of coach, check schedule, task description, personal-workbook usage 20
Affective support Greetings,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sharing small group experiences 5
Decisional control Q&A for program operation, checking the workbook– write down my “no smoking” contract 5
Health information Origin, composition, form, influence of tobacco. check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preparation 50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Introduce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10
Web survey, urine cotinine levels check 30
2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Reminding of good things
Being with people Open mind
Personalized self-analysis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sharing small group experiences 5
Decisional control Check workbook – write down my contract of non-smoking 5
Health information Smoking and disease in women, menopause, skin 50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Introduce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s,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10
3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Reminding oneself of good things
Being with people Open mind
Personalized self-analysis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sharing small group experiences 5
Decisional control Check workbook – write down my health mission 5
Health information Types of withdrawal symptoms, method of preventing re-smoking 50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Write down a health mission, introducing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s,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10
4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Reminding oneself of good things
Being with people Open mind
Personalized self-analysis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smoking prevention”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ing required changes,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ing a workaround, check: find my strengths and weaknesses, my environmental assessment, introducing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plan setting,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30
5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Open thinking
Dreaming of the future
Remaining open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Tobacco-smoke substance”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 required change,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 a workaround, check: drawing a life curve, Depression management, change of mind, introduc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s,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30
6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Open thinking
Dreaming of the future
Remaining open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secondhand smoking”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 required changes,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ing a workaround, checking the value view, sharing life goals, re-examination of the health mission statement, introduce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s,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30
7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Open thinking
Dreaming of the future
Remaining open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a shocking anti-smoking ad”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 required changes,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ing a workaround, check: decision making (create scenarios: current, worst, best), health road map, emotional awakening introducing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s,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30
8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Counting blessings
To practice good deeds
Find who to concentrate on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a reason for quitting smoking”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ing required changes,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ing a workaround, check: internal capacity hardening, breaking the habit of procrastinating, introduc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30
9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Counting blessings
To practice good deeds
Find who to concentrate on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quitting smoking is easier than I thought, and of course better”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ing required changes,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ing a workaround, check: time management, writing a diary of success and praise, the power of positivity, create a positive sentence introducing the next session's objectives, action plan setting, setting the next coaching schedule 30
10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Reminding oneself of good things
Cultivating the habit of gratitude
Health information Watching a video - “before it's too late” 10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ctations for coaching, greeting, rapport building, sharing a pleasant experience,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Watching a video and talking about feelings, checking the workbook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onfirming required changes, motivation hardening, Obstacle detection, finding a workaround, check: recharging one's energy, coming out one's shell, maintaining a healthy relationship, full coaching check, encouraging continuous planning practice, overcoming the current crisis and achieving goals 30
11 Discover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Being with people
Reminding oneself of good things
Cultivating the habit of gratitude
Health information Health after quitting smoking 20
Affective support Greeting, sharing happy moments, listening, recognition, praise, encouraging message 5
Decisional control Sharing one's thoughts on coaching program. sharing small group experiences, report the status of non-smoking. 5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Sharing about the changed self 20
Web survey, urine cotinine check, awards 30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jkafn-30-1-102f1.jpg

3)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의 구성, 형식과 내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간호학 교수 2인, 코칭전문가 2인, 금연전문상담사 2인, 상담 심리 전문가 1인으로 구성된 7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CVI 값은 .92였다. 전문가 의견 중 워크북의 시각화 강조를 통한 친밀감 유도의 필요성, 문장 길이 조정 및 간단명료한 용어 사용을 통한 쉬운 접근 등을 참고하여 수정 ‧ 보완하였다.

4) 프로그램 진행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2019년 1월 23일부터 3월 7일까지 5주간은 매주 2회(월요일과 목요일 오전 9시에서 11시, 오후 3시에서 5시, 저녁 9시에서 11시 중 본인이 희망하는 시간을 정하여), 마지막 주는 1회로 총 6주간 11회기 시행되었다. 연구자가 직접 Google 드라이브 1회 응답 가능으로 만든 웹 설문조사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 사전 조사를, 프로그램 마무리 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웹 설문조사지는 연구대상자들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였으며 대상자의 응답은 연구자의 이메일로 바로 전송되도록 설정하였다. 소변 정량검사는 1회 기와 11회기 집단교육 후 개인용 멸균 소변 검사통에 소변을 받도록 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소변 2cc 를 채취하여 분주기(syringe)에 주입하고 분주기 아래쪽 체임버로 구성된 시료(reagent)가 들어있는 테스트기(smokescreen tester)를 측정 계기(colorimeter)에 끼운 뒤 작동시켜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겨울방학 동안 여행 및 어학학원 수업 시간, 아르바이트 시간을 피하여 실시하였다.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코칭 후 다음 회기를 위해 시청할 금연 관련 동영상을 연구대상자들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였으며, 일요일 저녁과 수요일 저녁에 문자메시지를 통해 프로그램의 활용 및 개인 워크북 점검을 격려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 중 배경 변인의 동질성 검증은 교차검증, 역동적 변인과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은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단측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중재의 효과 검증을 위한 사전 ․ 사후 변화 검증은 공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단측검증으로 분석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경북대학교 기관생명윤리 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을 받았다(IRB No. 2019-0011).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였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 의사를 밝힌 경우 동의서에 서명을 받고 자료수집하였다. 연구 과정 중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된 개인정보는 보호될 것이며, 응답 결과 및 소변 검사 결과는 연구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설명하였다. 사전검사 후와 프로그램 종료 후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실험군과 대조군은 일반적 특성 중 학년, 전공, 종교, 가족 중 흡연자 유무, 주거형태, 월 용돈 수준, 금연시도 경험, 금연교육 경험 등의 특성에서 차이가 없는 동질한 집단이었다. 흡연죄책감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금연동기와 흡연 관련 지식은 실험 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공분산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Table 2).
Table 2.
Homogeneity of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N=46)
Characteristics Categories Exp. (n=22) Cont. (n=24) x2 or t p
n (%) or M± SD n (%) or M± SD
Year in college 2nd 6 (27.3) 11 (45.8) 1.69 .428
3rd 11 (50.0) 9 (37.5)
4th 5 (22.7) 4 (16.7)
Major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8 (36.4) 8 (33.3) 0.11 .990
Natural science 8 (36.4) 9 (37.5)
Technical 3 (13.6) 4 (16.7)
Art/Physics 3 (13.6) 3 (12.5)
Religion Yes 8 (36.4) 5 (20.8) 1.36 .243
No 14 (63.6) 19 (79.2)
Smoker(s) among family Yes 16 (72.7) 15 (62.5) 0.54 .460
No 6 (27.3) 9 (37.5)
Residence type Living with family 5 (22.7) 9 (37.5) 1.18 .277
Boarding oneself 17 (77.3) 15 (62.5)
Monthly income (10,000 won) <20 3 (13.6) 8 (33.4) 4.76 .092
20~<30 2 (9.1) 5 (20.8)
≥30 17 (77.3) 11 (45.8)
Experiences of smoking cessation attempts Yes 7 (31.8) 7 (29.2) 0.03 .845
No 15 (68.2) 17 (70.8)
Experience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Yes 6 (27.3) 9 (37.5) 0.54 .460
No 16 (72.7) 15 (62.5)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39.86±4.95 34.70±5.90 3.19 .003
Smoking knowledge 23.05±2.12 21.38±3.24 2.08 .044
Smoking shame 11.09±1.65 10.33±3.19 1.02 .315
Urine cotinine (㎍/mL) 1.67±0.32 1.68±0.29 -0.07 .937
Tobacco craving 168.86±25.34 172.08±31.80 -0.37 .708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5.45±3.91 7.33±3.23 -1.78 .081

Exp.=experimental group; Cont.=contro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2.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1) 금연동기

중재 전 ․ 후 실험군의 금연동기는 6.10점이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2.50점이 감소하여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금연동기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71.09, p<.001). 따라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금연동기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Variables in the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N=46)
Variables Group Pretest Posttest Adjusted t or F p
M± SD M± SD M± SE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Exp. 39.86±4.96 45.96±2.51 45.96±1.12 71.09 <.001
Cont. 34.71±5.90 32.21±6.37 32.20±1.07
Smoking knowledge Exp. 23.05±2.12 24.27±0.70 24.22±0.71 20.77 <.001
Cont. 21.38±3.24 19.58±4.40 19.64±0.68
Variables Group Pretest Posttest t p Differences t or F p
M±SD M±SD M±SD
Smoking shame Exp. 11.09±1.66 13.73±1.12 -6.22 <.001 2.64±1.98 5.11 <.001
Cont. 10.33±3.20 10.13±3.25 0.21 .836 -0.21±4.88
Urine cotinine level (㎍/mL) Exp. 1.67±0.32 0.51±0.39 17.30 <.001 -1.16±0.31 -9.58 <.001
Cont. 1.68±0.30 1.57±0.37 1.24 .227 -0.11±0.40
Tobacco craving Exp. 168.86±25.34 150.50±13.07 3.97 <.01 -18.36±21.67 7-1.57 .127
Cont. 172.08±31.80 164.88±42.64 0.67 .512 -7.21±53.08 8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Exp. 5.45±3.91 20.23±1.66 -18.34 <.001 14.77±3.78 11.68 <.001
Cont. 7.33±3.23 9.04±4.36 -1.43 .167 1.71±5.87

Exp.=experimental group; Con.=control group; M=mean; SD=standard deviation; SE=standard error.

2) 흡연 관련 지식

중재 전 ․ 후 실험군의 흡연 관련 지식은 1.22점이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1.80점이 감소하여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흡연 관련 지식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0.77, p<.001). 따라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 3).

3) 흡연죄책감

중재 전 ․ 후 실험군의 흡연죄책감은 2.64점이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0.20점이 감소하여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흡연죄책감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5.11, p<.001). 따라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죄책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 3).

4) 소변 코티닌

중재 전 ․ 후 실험군의 소변 코티닌 수치는 1.16점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0.11점이 감소하여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소변 코티닌 수치 감소 정도가 더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9.58, p<.001). 따라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변 코티닌 수치가 낮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 3).

5) 흡연갈망

중재 전 ․ 후 실험군의 흡연갈망은 18.36점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7.21점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57, p=.127). 따라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갈망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Table 3).

6)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중재 전 ․ 후 실험군의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은 14.77점이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1.71점이 증가하여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정도가 더 많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11.68, p<.001). 따라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 3).

논 의

본 연구는 흡연 여자대학생을 위한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자 단독요소이면서 역동적 변인인 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죄책감과, 건강결과 요소 중 성공적 금연요소인 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다수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그 대상이 대부분 흡연 청소년이었으며, 금연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흡연량,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 금연상담, 니코틴 대체요법 등의 방법을 시행하여 금연을 시도하고 있다[6,24]. 그러나 간헐적인 흡연자가 지속적인 흡연자로 변화하는 나이가 20대 초반이라는 결과[6]는 올바른 건강행위에 따른 실천 이행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남성 흡연자와 다르게 여성 흡연자의 경우, 흡연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사회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결과[8,9]와 여자대학생의 경우 여러 인간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이 부족하게 되면, 무리로부터 소외감이나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공포감으로 이어져 극도의 스트레스가 발생되며, 결국 대처 방식으로 흡연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25]는 결과는 흡연 여자대학생에 대한 또 다른 금연 프로그램의 필요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연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코칭이라는 기법을 적용하여 내면적 요소의 긍정적 성장을 가져와 흡연 유혹 상황에서 충동을 극복하고 금연이라는 건강행위로 이어지게 하는 금연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금연동기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강해졌다. 이는 프로그램 적용 효과로 코칭을 통한 직접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내적 요인이 방향을 전환하고 강도가 조절되는 즉 긍정적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금연시도 동기에 따라 금연 임파워먼트가 달라지며, 특히 20대 흡연 여성에서 금연 임파워먼트가 가장 낮게 나타나, 금연 성공을 위해 금연 임파워먼트를 높여야 한다는[26]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성인 초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금연에 성공한 군과 실패한 군의 금연성공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한 결과, 자기결정성 동기와 유능감으로 나타난 선행연구[27]의 결과와 같은 맥락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흡연 관련 지식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선행연구에서도 흡연에 대한 지식과 흡연 태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28]. 그러나 흡연 관련 지식이 증가한 것에 반해 흡연태도에는 차이가 없었다는 연구결과[29]도 있어 단순한 정보 전달만이 궁극적인 금연이라고 하는 행동교정을 이루어내기란 힘들기에, 교육 전달 방법이나 내용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흡연죄책감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이는 프로그램 적용으로 인하여 높아진 흡연죄책감이 궁극적으로 금연이라고 하는 행동으로 이어졌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흡연죄책감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미비한 상태로, 자신의 흡연과 관련된 죄책감은 자기 또는 타인 지향적인 관점에 관계없이 흡연자가 경험하게 되는 부정적인 정서[12]로, 그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하게 된다. 흡연으로 발생되는 자신과 타인의 신체에 대한 피해와 심리적 피해를 막으면서 보상적 행동을 찾으려고 애쓰게 되는데[30], 사회가 권장함에 따라 선택하는 보상 행동이 금연이므로, 흡연행위로 발생되는 죄책감을 경험한 사람은 금연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흡연자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 높을수록 금연 의향이 높다는 결과[12]와 같은 맥락이다.
이상과 같이 대상자 단독요소 중 역동적 변인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배경 변인보다 대상자 ․ 전문가 상호작용 요소 즉 금연코칭 프로그램 중재에 의해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고, 동시에 영향을 주게 되는 쌍방향의 관계에 있다[16]. 또한 흡연 관련 지식으로 평가한 인지적 평가 영역과 동기부여의 금연동기와 정서적 반응인 흡연죄책감은 결과적으로 건강결과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의 역동적 변인 즉 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죄책감이 긍정적 방향으로 성장한 것은 대상자 전문가 간 상호작용의 효과이면서 성장된 역동적 변인이 프로그램 중재의 효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첫 번째 성공적 금연 요소인 소변 코티닌 수치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소변 코티닌은 니코틴의 대사물질 중의 하나로 간에서 생성된 코티닌이 소변에서 측정되는 것으로, 반감기가 18~20시간으로 길고 흡연자 소변의 안정적인 코티닌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객관적 지표로 인정되고 있다[20]. 그러나 흡연 유무를 소변 코티닌으로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성이나 음성으로 판독되는 정성검사를 시행함으로써[11] 금연으로 이행되는 변화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소변 코티닌 양을 수치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정량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변화량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와 동일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자기효능 증진 금연 프로그램 중재 후 청소년의 소변 코티닌을 정량 측정한 연구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가 낮아졌다[24]. 성공적 금연 요소로 두 번째 측정한 흡연갈망은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갈망이란 강박적 사고, 공복감, 불쾌한 증상과 같이 지극히 주관적인 부분으로 자기보고식 측정은 자기 착각 또는 측정도구의 다양한 어의적 해석 등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현재 시점 이상으로 과거 시간 동안의 모든 경험을 합산해서 생각할 수 있다는 약점을 가질 수 있다[22]. 선행연구[26]에서의 흡연갈망 측정도 자기보고식 설문지 형식이었으며, 재 흡연 유발원인이 흡연갈망이며 이를 유발하는 상황을 제한시켜야 함을 보고하였다. 금연을 위한 치료에서 흡연갈망을 줄이는 것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향후 흡연갈망에 대한 쉽고, 객관적인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성공적 금연 요소로 세 번째 측정한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건강한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결정 요인 중의 하나로,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은 흡연 상황에서 금연을 수행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며, 금연을 성공하고 흡연 재발률을 감소시킨다[23].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24] 금연 프로그램 중재 후 자기효능감이 증가한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인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과 각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이 불확실함에 따라 일반적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적용한 사례가 많았고, 도구 개발 당시 대상자 연령대와 연구 적용 대상자 연령대가 다른 도구를 사용한 연구도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으로 개발된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여 결과의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코칭 프로그램의 적용은 기존의 전통적 보건 의학에서 고혈압 환자에게 체중 감량이나 소금 섭취량 감소, 특정 약물 복용 등 개인별 특정 지시를 통해 결과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에 반해, 대상자 스스로가 특정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한 목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코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 자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잠재적인 해결책을 발견해 내고자 시도하는 것이다[31]. 코칭은 대상자 중심으로 대상자별 행동 변화 및 수정의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며 대화를 통해 자신의 요구를 전달받게 되고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의사 결정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게 된다[11,31].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에서도 코칭이라는 대상자 전문가 상호작용으로 인한 건강 결과요소의 변화를 보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자 전문가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된 역동적 변인이 건강 결과 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 론

본 연구는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을 흡연 여자대학생에게 6주 11회기 적용한 후 역동적 변인(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 죄책감)이 성공적 금연 요소(소변 코티닌, 흡연갈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 금연동기, 흡연 관련 지식, 흡연 죄책감, 소변 코티닌,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흡연갈망 정도는 차이가 없어 흡연갈망 감소를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첫째, 상호작용 금연코칭 프로그램을 활용한 청소년 및 남자대학생의 프로그램 적용, 둘째, 흡연 대상자의 흡연갈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복적 연구 및 흡연 갈망의 객관적 평가방법 개발, 셋째,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지속성 측정을 위한 추후 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효과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 넷째, 흡연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 진행 시 총 흡연 기간에 따른 대상자 구분 및 흡연 특성에 따른 코칭 전략 적용 등을 제언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Kwon, Y-S and Choi, E-S; Data collection - Kwon, Y-S;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Kwon, Y-S;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Kwon, Y-S and Choi, E-S.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References

1. Kim S, Kim G. The prevalence of smoking and its implications for tobacco control polices in South Korea.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22; 5(307):6-22. https://doi.org/10.23062/2022.05.2
crossref
2. Kwon HK, Lee HJ. The effect of social desirability bias on the measurement of self-reported response. Studies on Korean Youth. 2020; 31(4):251-282. https://doi.org/10.14816/sky.2020.31.4.251
crossref
3. Park MB, Kim CB, Nam EW, Hong KS. Does South Korea have hidden female smokers: discrepancies in smoking rates between self-reports and urinary cotinine level. BMC Womens Health. 2014; 14: 156. https://doi.org/10.1186/s12905-014-0156-z
crossref pmid pmc
4. Cho HJ, Khang YH, Choi KJ. Smoking prevalence among Korean female cosmetics sales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2014; 5(1):19-25. https://doi.org/10.25055/JKSRNT.2014.5.1.19
crossref
5. Park EJ, Cha MR. Korean women's health behaviors indicators: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16; 5(235):25-33. https://doi.org/10.23062/2016.05.4
crossref
6. Park JH, Kim KH, Kim HY, Moon JH, Kim SS, Jo CH. Quality assessment of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ice. 2013; 3(2):184-193.

7. Cho KS. Prevalence of hardcore smoking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 33(1):603-628.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603
crossref
8. Kang HS. The degree of female undergraduates' perceived risk of smok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9; 9(9):259-267. https://doi.org/10.5392/JKCA.2009.9.9.259
crossref
9. Jeon M, Lee KS, Park H, Park YJ. The association of smoking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7; 34(5):41-49. https://doi.org/10.14367/kjhep.2017.34.5.41
crossref
10. Jeon J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 5(4):333-342.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8.73
crossref
11. Kwak MY, Hwang EJ.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based on motivation stage to stop smoking of patients at a publ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 17(4):188-198. https://doi.org/10.5762/KAIS.2016.17.4.188
crossref
12. Park HY, Kang JS.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related physi-cal risk and negative social image of smokers on smokers' feelings of guilt related to smok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15; 18(4):99-108. https://doi.org/10.14695/KJSOS.2015.18.4.99
crossref
13. Lanese B, Dey A, Srivastava P, Figlera R. Introducing the health coach at a primary care practice: impact on quality and cost (Part1). Hospital Topics. 2011; 89(1):16-22. https://doi.org/10.1080/00185868.2011.550207
crossref pmid
14. Willard-Grace R, Chen EH, Hessler D, DeVore D, Prado C, Bodenheimer T, et al. Health coaching by medical assistants to improve control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in low-incom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Family Medicine. 2015; 13(2):130-138. https://doi.org/10.1370/afm.1768
crossref pmid pmc
15. Lawson KL, Jonk Y, O'Connor H, Riise KS, Eisenberg DM, Kreitzer MJ. The impact of telephonic health coaching on health outcomes in a high-risk population.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2013; 2(3):40-46. https://doi.org/10.7453/gahmj.2013.039
crossref pmid pmc
16. Cox CL. An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theoretical prescription for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2; 5(1):41-56. https://doi.org/10.1097/00012272-198210000-00007
crossref pmid
17. Kang HS. The effects of a health coaching program, focusing on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based on the theory of Cox's Interaction Model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Catholic University; 2017. p. 18-20.

18. Park JW, Chai S, Lee JY, Joe KH, Jung JE, Kim DJ. Validation study of kim's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scale and its pre-dictive implications for smoking cessation. Psychiatry Inves-tigation. 2009; 6: 272-277. https://doi.org/10.4306/pi.2009.6.4.272
crossref pmid pmc
19.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8 cancer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Seoul: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main2.do

20. Kim MJ, Kim CH, Kim YH, Kang JH.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moke and urinary cotinine leve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 28(5):379-382.

21. Heishman SJ, Singleton EG, Moolchan ET. Tobacco craving questionnai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multifactorial instrument. Nicotine & Tobacco Research. 2003; 5(5):645-654. https://doi.org/10.1080/1462220031000158681
crossref pmid
22. Choi KS, Lee CH, Yu JC, Kim SJ, Choi HJ, Jeong B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obacco craving questionnair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8; 47(2):161-167.

23. Spek V, Lemmens F, Chatrou M, van Kempen S, Pouwer F, Pop V. Development of a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13; 20: 444-449. https://doi.org/10.1007/s12529-012-9229-2
crossref pmid pmc
24. Choe EY, Jeong SH.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o, urine cotinine level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 14(2):103-111. https://doi.org/10.7586/jkbns.2012.14.2.103
crossref
25. Caffney KF, Wichaikbum OA, Dawson EM. Smok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 time for chang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2; 31(5):502-507.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2.tb00073.x
crossref pmid
26. Yoon JE. Factors affecting trying to quit smoking empower-ment of women smokers. [master's thesis].. Daegu: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16. p. 10-47.

27. Hwang H. The impacts of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on smoking cessation among college smokers: A preliminary study. Crisisonomy. 2017; 13(9):53-65.
crossref
28. Choi KW. The knowledge, attitude on smoking and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in male smoker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8; 14(1):24-35.

29. Moon JS. Compare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bout smoking in the elementary students according to anti-smoking edu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4; 10(1):59-65.

30. Nelissen RMA, Zeelenberg M. When guilt evokes self-punish-ment: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a dobby effect. Emotion. 2009; 9(1):118-122. https://doi.org/10.1037/a0014540
crossref pmid
31. Caldwell KL, Gray J, Wolever RQ. The process of patient em-powerment in integrative health coaching: how does it hap-pen?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2013; 2(3):48-57. https://doi.org/10.7453/gahmj.2013.026
crossref pmid p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