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COVID-19에 대한 지식이 COVID-19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Knowledge of COVID-19 on Nursing Intentions for COVID-19 Pati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23;30(1):35-4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7739/jkafn.2023.30.1.35
1)Professor, College of Nursing, Dongguk University, Gyeongju, Korea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Uiduk University, Gyeongju, Korea
3)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Uiduk University, Gyeongju, Korea
이미애1), 박현주2),orcid_icon, 김봉화3)
1)동국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2)위덕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3)위덕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Park, Hyun Ju https://orcid.org/0000-0002-8595-2793 Department of Nursing Uiduk University 261 Donghaedae-ro, Gyeongju 38004, Korea Tel: +82-54-760-1774, Fax: +82-54-760-1179, E-mail: phj7281@hanmail.net
Received 2022 September 1; Revised 2023 January 25; Accepted 2023 February 20.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knowledg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n nursing intentions for COVID-19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who had worked for at least 6 months at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loca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from July 15 to 31, 2021. In total, 20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for Windows version 25.0.

Results

Among the sub-factors constituting nursing professionalism,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r=.22, p=.001) and professionalism of nursing (r=.23, p=.001) were correlated with nursing intention for COVID-19 patients, whereas ther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knowledge of COVID-19 and nursing intention for COVID-19 patients.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the only factor influencing nursing intention for COVID-19 patients was professionalism of nursing, which could explain approximately 6.0% of variance in nursing intention for COVID-19 patients (β=.58, p=.049).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of nursing among various asp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 order to improve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rsing intention for COVID-19 patient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이 보고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전 세계로 급속히 전파되었고 그 결과, 2020년 3월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COVID-19 펜데믹을 공식적으로 선포하였다[1]. COVID -19는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 SARS-CoV-2)에 의해 발생되는 감염병으로 주로 감염성 호흡액에 노출되어 전염되기 때문에 환자를 직접 돌보는 의료인에게 매우 위협적이다[2].

우리나라에서 COVID-19 감염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콜센터와 종교단체, 중증 장애시설 등 집단생활을 하는 곳에서 빈번히 발생하였다[3]. 요양병원은 일상생활이 어려워 생활에 보조가 필요한 사람이 주로 입원하는 시설로 의학적 처치, 간호, 재활과 일상생활 등이 포함되는 통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을 돌본다[4]. 그리고 요양병원에는 기저질환이 있는 노인 환자가 많아 감염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COVID-19와 같이 감염력이 높은 질병의 발생률과 사망률도 높다[5]. 이것은 국내에서 COVID-19 발생률이 20세 이상 29세 미만인 자의 경우 27.4%로 가장 높지만 사망률은 80세 이상인 자에서 47.9%로 가장 높다는 보고[3]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COVID-19는 적극적인 격리와 치료가 요구되는 감염력 높은 질병[2]으로 COVID-19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인의 적극적인 대응과 역할 증대가 요구된다. 특히, 간호사는 환자와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밀접하고 빈번하게 접촉하는 의료인이기 때문에 간호전문직에 대한 가치와 신뢰,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면서도 COVID-19 감염환자를 간호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5]. 간호사의 감염위험에 대한 스트레스는 감염병 환자 간호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감염병 및 감염병 환자 관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COVID-19 펜데믹 상황이 끝나지 않은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COVID-19에 특히 취약한 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는 정확하게 파악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다.

인간의 행위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의도에 의해 결정되고, 의도는 그 행위에 대해 개인이 가지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 받는다[6]. 간호의도는 환자를 간호하고자 하는 간호사의 자발적인 의사이자 의지로 [7,8],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의도에 관한 선행연구[2,710]에 의하면 감염병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감염예방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실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감염병에 대한 지식은 간호사의 감염행위통제력을 높이고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를 높일 것이다[11].

COVID-19와 같은 고위험감염병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간호사에게는 간호전문직관이 요구된다[12].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가치이자 태도로[13,14], 간호전문직관이 높은 간호사는 대상자가 비록 메르스와 같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라 하더라도 간호에 대한 가치가 높고 태도가 긍정적이어서 이들에 대한 간호의도 역시, 높다[12,15]. 반면, 전염력이 강한 신종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탐색한 다른 연구[11]에서는 간호의도가 간호전문직관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도 있다. 그래서 선행연구들[11,12,15]에서 간호사의 간호의도와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는 일관적이지 않다. 따라서 COVID-19와 같은 신종고위험병원체 감염병의 출현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는 의료상황에서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의도와 간호전문직관간의 관계는 좀 더 명확히 규명될 필요가 있다.

감염관리에 관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은 메르스[9,15]나 COVID-19와 같이 전염력이 높은 신종감염병[7,8,12]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을 높이고[10], 감염예방관리에 대한 이행을 높이는 것[16]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신종감염병에 대한 교육이 간호사의 감염예방행위에 대한 행위통제력을 높이고 신종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 역시 높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를 보고한 선행연구[8,17]를 살펴보면 COVID-19에 대해 교육받은 간호사의 수가 적고, COVID-19에 대한 지식수준도 연구[16,18,19]마다 달라 COVID-19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간호의도 간의 관계가 아직은 확정적이지 않다.

COVID-19와 같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감염에 대한 스트레스, 불안, 사회적 고립 등을 경험하고[20], 이러한 경험은 간호사로 하여금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를 거부하거나 심지어 이직까지도 고려하게 만든다[12]. 이것은 COVID-19와 같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이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 감염병 환자 관리에 대한 간호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처럼 개인의 사고와 신념을 바탕으로 사회화 요인에 의하여 영향받는 간호전문직관[13]은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주관적 규범에 해당되고[14] 개인의 지각된 행위통제력을 높이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지식은[11] 사람의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COVID-19와 같은 신종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의도에 대한 연구들[2,7-10,12,16-21]의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아 이들 간의 관계는 확인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OVID-19에 취약한 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간호전문직관, COVID-19 지식, 그리고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를 측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 하에 수행된 본 연구결과는 COVID-19를 비롯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출현될 것이 예상되는 고위험병원체 감염병에 취약한 요양병원 환자를 위한 간호의 질과 요양병원의 감염병관리체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대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감염병에 취약한 노인 환자를 주로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 COVID-19 지식,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요양병원 간호의 질과 감염병 예방관리체계를 향상시키는 실무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정도를 확인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의 차이를 확인한다.

  •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 인한다.

  •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과 COVID-19에 대한 지식이 COVID-19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COVID-19에 대한 지식이 COVID-19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우리나라 경북간호사회에 의뢰하여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100병상 이상인 요양병원에 협조공문을 발송하고 그중에서 연구를 허락한 8개의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던 간호사들이다. 이들은 선행연구[4]에 근거하여 최소 6개월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들로, 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간호사를 1차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그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에 동의한 간호사이다.

대상자의 표본 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G*Power 3.1.9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유의수준(⍺) .05, 검정력(1-β) 90.0%, 효과크기는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측정한 일 선행연구[9]에 근거하여 중간크기인 0.15로 하였고 독립변수를 18개(일반적 특성 12개, 간호전문직관 5개, COVID-19에 대한 지식 1개)로 하였을 때, 183명이 산출되었다. 여기에 우리나라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탈락률이 대략 10~20%임을 고려하여 총 210명의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설문조사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12항목(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직위, 근무병원의 규모(병상수), 총임상경력(년), 근무부서, 자녀유무, COVID-19환자 간호경험, 보호장구착용 교육유무, COVID-19 교육유무)로 선정하였고 주요변수인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측정도구는 사전에 저자의 허락을 받고 사용하였다.

1) 간호전문직관

간호전문직관은 우리나라 간호사를 대상으로 Yoon, Kwon 과 Ahn [13]이 29개 문항으로 개발한 도구를 Han, Kim과 Yun [14]이 18개 문항으로 축소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전문직 자아개념 6문항, 사회적 인식 5문항, 간호의 전문성 3문항, 간호실무 역할 2문항, 간호의 독자성 2문항인 총 5개 하위요인의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인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고, 부정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총점의 평균평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 값은 개발 당시, Yoon 등[13]의 연구에서는 .92였고 이를 축소한 Han 등[14]의 연구에서는 .94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86이었다.

2) COVID-19 에 대한 지식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은 Yoon [16]이 질병관리본부가 제시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 제6판」을 기초로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답 1점, 오답이나 무응답은 0점으로 처리하여 최고 23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COVID-19에 대한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개발 당시 Yoon [16]의 연구에서 문항신뢰도인 Kuder-Richardson 20(KR20)은 .15였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34였다. 이는 문항의 분포와 난이도가 넓으며 감염병 관련 지식 측정에 대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있는 본 도구의 특성으로 인해 내적 일관성이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18].

3) COVID-19 환자 간호의도

COVID-19 환자 간호의도는 Yoo [21]가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SARS환자 간호의도 예측도구를 바탕으로 Lee와 Kang [11]이 신종감염병 상황에 맞추어 수정 ․ 보완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3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7점인 7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총점의 평균평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값은 Lee 와 Kang [11]의 연구에서는 .88이고 본 연구에서는 .94였다.

4. 자료수집

자료는 IRB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7월 15일부터 31일까지 수집하였다. 먼저, 경북간호사회에 의뢰하여 협조공문을 발송한 뒤, 연구자들이 각 요양병원 간호과(부)장에게 전화를 걸어 연구를 허락한 8개의 요양병원을 직접 방문하였다. 그런데 자료수집 시기는 요양병원에서 외부자 출입을 제한하는 시기였으므로 해당 요양병원 간호부장이 연구자를 대신하여 연구에 참여하겠다는 간호사에 한하여 연구설명문을 읽고 서면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지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작성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성자가 직접 작성한 후, 별도의 봉투에 넣어 밀봉한 뒤, 해당 부서의 수거함에 넣는 방식으로 수집되었고 수집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회수하거나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모두, 210부를 배부하여 208부가 회수되었고 그중에서 응답이 불완전한 1부를 제외한 총 207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되었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연구승인(IRB No. DGU 20210023)을 받은 후, 자료수집을 시작하였다. 연구승인을 받은 후, 자료수집 단계에서 요양병원의 외부자 출입 제한으로 해당 요양병원 간호부장이 연구자를 대신하여 서면동의서를 받고 자료를 수집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자료수집 절차가 바뀜에 따라 해당 연구윤리심의위원회에 전화로 문의한 결과, 이에 관한 규정은 없으나 COVID-19 펜데믹 상황을 고려하여 IRB 서류를 재심사하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을 구두로 확인받았다. 연구대상자에게는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 연구참여 도중,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이익은 전혀 없음에 대하여 설명하고 모든 응답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도록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결과는 오직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내용은 서면동의서에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설문지는 반드시 서면동의서를 받은 뒤, 제공하도록 하였으며 또 연구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도록 연구설명문에는 연구자의 연락처와 이메일 주소도 기재하였다. 그리고 설문을 끝낸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었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COVID-19 지식정도, COVID-19 환자 간호의도 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로 확인하였고, Scheffé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을 구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이 COVID-19 환자 간호의도에 미 치는 영향은 입력 방식의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는 여성 93.7%(194명), 남성 6.3%(13명)으로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평균 연령은 42.1세로 40세 이상 50세 미만인 대상자가 34.3%(71명)으로 가장 많고, 30세 미만인 대상자가 15.0%(31명)으로 가장 적었다. 대상자의 대부분은 기혼(71.5%)으로 자녀가 있는 경우(66.7%)가 과반수 이상이고, 종교는 있는 경우(46.4%)와 없는 경우(53.6%)는 비슷하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84.1%)가 대부분으로 주로 일반병동(84.1%)에서 근무하였으며 55.6%(115명)는 201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 규모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임상경력은 평균 12.8년으로 5년 이상 15년 미만인 대상자가 43.5%(90명)으로 가장 많고, 25년 이상인 대상자가 5.8%(12명)이었다.

연구대상자 중, 89.9%(186명)에 해당하는 간호사는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없었고 확진(1.4%)과 의심환자(8.7%)를 포함하여 COVID-19 환자로 간주되는 사람을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10.1%(21명)이었다. 대상자 대부분은 감염병 관리와 관련하여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교육(60.4%)과 COVID-19에 대한 교육(66.7%)을 받았다(Table 1).

Differences of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207

2.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정도

대상자들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은 3.57±0.39(5점 만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을 구성하는 하부영역별로는 간호의 독자성이 4.21±0.75로 가장 높고, 전문직에 대한 자아개념(3.79± 0.48), 간호의 전문성(3.72±0.50), 사회적 인식(2.92±0.59), 그리고 간호실무의 역할이 0.92±0.19로 가장 낮았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17.28±2.05 (23점 만점)으로 정답률이 75.1%였다.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 COVID-19 환자 관리를 위해 표준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를 준수해야 한다.’ (99.5%), ‘ COVID-19의 증상은 발열, 인후통, 호흡곤란 및 폐렴 등이나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다.’(99.1%), ‘최근 발생한 COVID-19는 현재 제1급감염병 신종감염병증후군을 적용하여 대응한다.’(98.1%) 순이었다. 반면,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능동감시란 자가격리 해제 시까지 매일 1회 유선 연락하여 발열 또는 호흡기증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20.3%), ‘확진 환자란 뚜렷한 임상 양상을 나타내고,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에 감염이 확인된 자를 말한다.’ (25.6%), ‘자가격리 대상자의 가족 또는 동거인을 불가피하게 접촉할 경우, 마스크를 쓰고 1.5 미터 이상의 거리를 둔다.’ (29.0%) 순이었다.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는 4.47±1.47 (7점 만점)이었다(Table 2).

Levels of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N=207)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COVID-19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전문직관은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교육 여부(t=8.00, p=.005)에서만 차이가 났는데 교육을 받은 자가 교육을 받지 못한 자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았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대상자의 성별(t=5.49, p=.020)과 종교(t=6.00, p=.015)에서 차이가 났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종교가 있는 자가 종교가 없는 자보다 COVID-19 지식수준이 높았다.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는 COVID-19에 관한 교육 여부(t=4.19, p=.042)에서만 차이가 났는데 COVID-19에 관해 교육을 받은 자가 교육을 받지 않은 자에 비해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가 높았다(Table 1).

4.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

간호전문직관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다섯 가지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간에는 일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간호전문직을 구성하는 요인 중, 전문직 자아개념(r=.22, p=.001)과 간호의 전문성(r=.23, p=.001)은 COVID-19 환자 간호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간호실무 역할(r= 15, p=.029)과 간호의 독자성(r=.19, p=.006)은 COVID-19에 대한 지식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인식은 COVID-19에 대한 지식이나 COVID-19 환자 간호의도 모두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COVID-19에 대한 지식과 COVID-19 환자 간호의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r=.06, p=.427)(Table 3).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N=207)

5.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의 영향 요인

COVID-19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가 나타난 간호전문직관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에서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의 전문성, 그리고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COVID-19에 관한 교육 여부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COVID-19에 관한 교육 여부(무=0, 유=1)는 더미변수로 전환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본 자료가 회귀분석의 가정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잔차의 정규성, 선형성, 등분산성,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회귀 표준화 잔차의 정규 P-P도표는 45도 직선에 근접하고 COVID-19 환자 간호의도는 정규분포를 나타내었고 부분산점도도 0을 중심으로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Cook's Distance도 3.0을 초과하는 것이 없었다. Durbin-Watson 값은 2.09로 2에 가까우며 검정통계량인 1.68보다 커서 자기상관의 위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차 한계지수는 0.18~0.95로 0.1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지수(variation inflation factor)도 1.00으로 10.0 이하이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4.48, p=.005) 전문직 자아개념(β=.33, p=.202)과 교육 여부(β=.19, p=.354)는 요양병원간호사의 COVID-19 환자 간호의도를 설명할 수 없고 오직 간호의 전문성(β=.58, p=.049)만이 요양병원간호사의 COVID-19 환자 간호의도를 약 6.0%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N=207)

논 의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정도와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감염병 환자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은 3.57점(5점 만점)으로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을 측정한 연구결과[22]인 3.26점과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측정한 연구결과[23]인 3.48점보다 높았다. 이는 COVID-19 펜데믹 상황이 다른 시기보다 더욱 간호사로서의 책임감과 간호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이 요구되며 본 연구의 대상자 중 10.1%가 COVID-19 확진을 포함한 의심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세 편의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의 하위영역 중에서 간호의 전문성,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의 독자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는 반면, 간호실무의 역할과 사회적 인식은 낮게 측정되어 간호사의 근무지역이나 기관의 특성 등과 관계없이 간호사들이 간호의 전문성은 높게 인식하지만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낮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며[15] 간호학생 시절부터 시작해서 간호사로 활동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한다[13,14,22,23]. 그러므로 간호교육기관이나 간호전문직 단체는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뿐만 아니라 현재 간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간호전문직관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간호전문직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는 간호실무 역할이나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내용을 명확히 정의내리고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보상과 함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더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의 COVID-19에 대한 지식은 평균 17.28 (23점 만점), 정답률은 75.1%로 이는 동일한 도구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지식수준을 측정한 결과인 약 72%[16], 약 62%[18], 그리고 약 69%[19]보다는 높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가 COVID 19 펜데믹 이후 선행연구들[16,18,19]에 비해 다소 늦거나 유사한 시기에 수행되었고 신종감염병에 대한 교육이수자의 비율이 본 연구에 비해 높은[19] 반면, COVID-19에 대한 교육이수자의 비율이 본 연구보다 낮은[16] 선행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간호사들이 COVID-19에 대한 정확하고 확립된 지식을 습득하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급종합병원, 중소병원,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COVID-19에 대한 지식 정도도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차이가 있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COVID-19 지식 수준을 주기적으로 정확히 파악함과 동시에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여 시의적절하게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의 문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COVID-19의 증상, 전파경로 및 표준주의, 보호장구 사용과 같이 감염관리에 관한 일반적 지식을 묻는 문항의 정답률은 98.1% 이상으로 높은 반면, 확진 환자, 능동감시, 자가격리 대상자의 가족 접촉 시 지침 등과 같이 COVID-19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묻는 문항의 정답률은 30.0% 미만이었다. 이는 종합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6,18,19]와 유사한 결과로, 간호사는 COVID-19에 관한 정보를 주로 인터넷, 텔레비전, 신문, SNS, WHO의 권고사항 등과 같이 대중매체를 통해 얻기 때문에[24,25]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COVID-19에 대한 전문적 지식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COVID-19에 대한 교육이 간호사에게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는 Choi와 Lee [10]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COVID-19에 대한 병태 ․ 생리적 지식과 함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지침이 의료 및 교육 기관, 그리고 단체 등을 통해 간호사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원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대상자의 COVID-19 환자 간호의도는 4.47점(7점 만점)로 이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국 ․ 공립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를 측정한 선행연구[17] 결과인 3.17 (7점 만점으로 환산)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COVID-19 환자 간호의도를 측정한 연구[8] 결과인 3.54 (7점 만점으로 환산)보다 약간 높은 결과이다. 이들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간호사의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는 중간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상자의 근무환경이나 여건이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정도가 비슷하게 나타난 결과는 환경적 요인이 COVID-19와 같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COVID-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가 근무부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30], 금전적 보상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26]와는 다른 결과이므로 근무 환경이나 여건이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향후, 초점집단을 대상으로 간호사의 근무 환경적 영향요인의 다양한 의미에 대한 탐색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교육 여부에서만 차이를 보여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직위, 근무동기, 근무만족도에서 차이를 보고한 선행연구[22]와는 차이가 있었다. 간호의도는 COVID-19에 대해 교육을 받은 자가 교육을 받지 않은 자에 비해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개 선행연구[8]와는 일치하지만 COVID-19에 대한 교육이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된 선행연구[11]도 있었다. 간호전문직관 중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의 전문성이 COVID-19 환자 간호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본 연구결과는 간호전문직관과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 및 COVID-19 환자 간호의도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선행연구[17, 29,30]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간호사로서의 가치와 보람을 추구하며 간호의도 또한 증가함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전문직관 중 사회적 인식은 COVID-19에 대한 지식이나 COVID-19 환자 간호의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없으며 또한 간호전문직관 중 사회적 인식이 가장 낮게 인지되고 있기 때문에 COVID-19 지식 및 COVID-19 환자 간호의도와 상관없이 지니고 있는 태도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 COVID-19에 대한 지식과 간호의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개 선행연구[18] 결과와는 일치하지만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한 지식[10] 및 COVID-19 지식[27]과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고한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 또한 본 연구에 비해 오히려 COVID-19에 대한 교육을 받은 간호사의 비율이 낮은 종합병원 간호사 대상의 선행연구[10,27]에서 지식과 간호의도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나 다양한 지역의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반복연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계획된 행위이론(planned behavior theory)[7,16,21]에 의하면 지식수준이 높을 때 이에 대한 행위통제력이 높아지고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지식수준이 높으면 해당 질환에 대한 간호사의 행위통제와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간호의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COVID-19에 대한 지식과 간호의도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들[27,28]에서는 질병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간호의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COVID-19와 같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의 간호의도를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해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간호사의 간호의도는 간호대상자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인지 일반질환자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간호사의 지식수준과 간호의도 간의 관계는 간호대상자의 질환 감염력이나 치명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추측을 확인하기 위해 간호대상자의 질환 감염력과 치명률을 분류하여 간호지식과 간호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COVID-19 환자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의도 영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 중 간호의 전문성’만이며 설명력은 약 6.0%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임상간호사의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및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에서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선행연구[12,29]의 결과들을 일부 지지한다. 따라서 간호사가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전문직 간호사로서 자존감을 가질 수 있도록 간호에 대한 가치관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 함께 간호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필요도 있다. 아울러 감염병에 취약한 노인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간호의도에 대해서도 반복적인 연구를 통하여 감염관리 교육 및 자신감 향상을 위한 조직분위기 향상 등 요양병원의 특성과 문화에 적합한 간호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요양병원 간호사 전체로 확대하여 해석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COVID-19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는 도구의 신뢰도가 낮고, COVID-19 환자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의도 영향요인에 대한 설명력도 매우 낮아 변수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해석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COVID-19와 같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에 취약한 대상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높이기 위해 간호의 전문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어 간호교육 기관이나 전문직 단체들이 간호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간호교육 과정을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간호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질병의 위험성과 감염력의 정도에 따라 간호사의 지식과 간호의도 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여 간호의도를 향상시키는 전략이 대상자가 가진 질병의 위험성과 감염력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간호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호실무에 기여하고, 향후,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좀 더 정교하게 설계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COVID-19에 대한 지식, COVID-19 환자 간호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병 환자 간호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COVID-19 환자 간호의도는 COVID-19에 관한 교육이 중요하게 작용하였고 간호전문직관 중 간호의 전문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좀 더 전문적이고 심화된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간호의 전문성을 포함한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계의 정책과 문화, 업무 등 다방면에서의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연구로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Lee, MA, Park, HJ and Kim, B; Data collection - Lee, MA, Park, HJ and Kim, B;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 Lee, MA, Park, HJ and Kim, B; Drafting & Revision of the manuscript - Lee, MA, Park, HJ and Kim, B.

DATA AVAILABILITY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References

1. . Cucinotta D, Vanelli M. WHO declares COVID-19 a pandemic. Acta Bio Medica: Atenei Parmensis. 2020;91(1):157. https://doi.org/10.23750/abm.v91i1.9397.
2. . Aljohani KA, Aljohani MS, Natividad MJB, Gracia PRB, Qa-zanli II. Understanding factors contributing to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COVID-19 patient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ud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21;16(4):546–557. https://doi.org/10.18502/sjms.v16i4.9952.
3. . Kim D, Lee MH. Improvement of infection control system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outbrea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0;29(3):202–207. https://doi.org/10.5807/kjohn.2020.29.3.202.
4. . Kang HS, Sung KW.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geriatric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2015;17(1):29–37. https://doi.org/10.17079/jkgn.2015.17.1.29.
5. . McMichael TM, Currie DW, Clark S, Clark TA, Pogosjans S, Kay M, et al. Epidemiology of Covid-19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 King County, Washingt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0;382:2005–2011. https://doi.org/10.1056/NEJMoa2005412.
6. .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1991;50(2):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7. . Jeong SY, Park HS, Wang HJ, Kim M. Intentions to care for new influenza A (H1N1) patients and influencing factors: an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5;22(1):78–87.
8. . Kyung DE, Shin YS.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nursing intention toward COVID-19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1;33(4):376–386. https://doi.org/10.7475/kjan.2021.33.4.376.
9. . Chang SJ, Park J.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regarding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for MERS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6):334–344. https://doi.org/10.5762/KAIS.2018.19.6.334.
10. . Choi YE, Lee ES.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infection management intention & educational needs of new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among nurses who unexperienced NRID (SARS & M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9;20(2):721–731. https://doi.org/10.5762/KAIS.2019.20.2.721.
11. . Lee J, Kang SJ.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Nursing & Health Sciences. 2020;22(1):82–90. https://doi.org/10.1111/nhs.12652.
12. . Kim HJ, Choi YH.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nurses' nursing intention for high - risk pathogen infected pati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3):327–335.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3.327.
13. . Yeun EJ, Kwon YM, Ahn OH.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14. . Han SS, Kim MH, Yun EK.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8;14(1):73–79.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73.
15. . Oh NH. Stress of nurses in local medical centers who experi-enced the MERS situation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new infectious diseases [master's thesis] Daegu: G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p. 1–49.
16. . Yoon SR. Correlations between nurses' knowledge of COVID-19 and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resilience, and psychoso-cial well-being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20. p. 1–72.
17. . Moon HJ, Park JY.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to care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patients among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21;28(1):11–22. https://doi.org/10.7739/jkafn.2021.28.1.11.
18. . Park HJ, Park MH.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nursing for patients with Corona Virus disease 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ursing Ethics. 2021;1(2):19–30. https://doi.org/10.51462/jksne.2021.1.2.19.
19. . Kwon SB, Lee EH. Knowledge, attitude and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of Corona19 by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21;16(4):145–151. https://doi.org/10.21097/ksw.2021.11.16.4.145.
20. . Jin D, Lee G. Experiences of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which is temporarily closed due to COVID-19.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0;26(4):412–422.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4.412.
21. . Yoo HR, Kwon BE, Jang YS, Youn H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instrument for predictive nursing interaction for SARS patient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063–1071.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63.
22. . Kim BJ, Lee MA.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intent to stay in geriatr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5):455–465.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5.455.
23. . Kim S, Park H. Effects of ego-resili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athy on clinic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0;26(2):101–110.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2.101.
24. . Nemati M, Ebrahimi B, Nemati F. Assessment of Iranian nurses' knowledge and anxiety toward COVID-19 during the current outbreak in Iran. Archives of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20;15(COVID-19):e102848. https://doi.org/10.5812/archcid.102848.
25. . Shi Y, Wang J, Yang Y, Wang Z, Wang G, Hashimoto K, et 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medical staff in Chinese psychi-atric hospitals regarding COVID-19. Brain, Behavior, & Im-munity Health. 2020;4:100064. https://doi.org/10.1016/j.bbih.2020.100064.
26. . Nashwan AJ, Abujaber AA, Mohamed AS, Villar RC, Al-Jabry MM. Nurses' willingness to work with COVID-19 patients: The role of knowledge and attitude. Nursing Open. 2021;8(2):695–701. https://doi.org/10.1002/nop2.674.
27. . Baik JH. A Study on nursing intension and knowledge, attitudes about COVID-19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aster's thesis] Gunpo: Hansei University; 2020. p. 1–80.
28. . Han JS, Cho H, Kim Y, Kim OH.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intention toward AIDS and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01–208.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201.
29. . Ryu JL, Chae YJ, Kim SH.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haracter and nursing intention caring for high risk pathogen infected patients in the tertiary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21;27(2):143–152. https://doi.org/10.14370/jewnr.2021.27.2.143.
30. . Jeong SA, Kim J.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COVID-19: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professionalism. PloS One. 2022;17(1):e026278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6278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ifferences of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207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or M±SD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M± SD t or F (p) Scheffé M± SD t or F (p) Scheffé M± SD t or F (p Scheffé
Gender Men 13 (6.3) 3.62±0.37 0.23 16.00±2.04 5.49 5.18±1.89 3.31
Women 194 (93.7) 3.57±0.39 (.632) 17.36±2.02 (.020) 4.42±1.43 (.071)
Age (year) <30 31 (15.0) 3.57±0.37 1.43 17.32±2.04 0.01 4.44±1.59 1.59
30~39 46 (22.2) 3.51±0.41 (.236) 17.26±1.82 (.999) 4.32±1.36 (.194)
40~49 71 (34.3) 3.65±0.42 17.26±2.12 4.76±1.53
≥50 59 (28.5) 3.54±0.34 17.28±2.18 4.24±1.39
42.1±9.88
Marital status Unmarried 59 (28.5) 3.63±0.37 1.67 17.65±2.09 0.34 4.76±1.53 3.39
Married 148 (71.5) 3.55±0.40 (.198) 16.96±1.97 (.562) 4.35±1.43 (.067)
Religion Have 96 (46.4) 3.59±0.38 0.48 17.65±2.09 6.00 4.52±1.41 0.24
No 111 (53.6) 3.56±0.40 (.490) 16.96±1.97 (.015) 4.42±1.52 (.625)
Position Staff nurse 174 (84.1) 3.55±0.39 2.77 17.34±2.03 1.06 4.48±1.43 0.19
More than charge nurse 33 (15.9) 3.68±0.36 (.098) 16.94±2.16 (.306) 4.36±1.65 (.660)
Hospital size (bed) ≤100 13 (6.2) 3.40±0.44 1.02 16.85±1.57 0.28 4.77±1.48 1.66
101~200 55 (26.6) 3.57±0.40 (.385) 17.36±1.84 (.842) 4.79±1.61 (.177)
201~300 115 (55.6) 3.58±0.39 17.31±2.17 4.32±1.43
≥301 24 (11.6) 3.62±0.32 17.12±2.23 4.25±1.19
Total work experience (year) ≤5 47 (22.7) 3.56±0.40 0.48 17.38±1.96 0.27 4.73±1.59 0.74
6~15 90 (43.5) 3.56±0.37 (.696) 17.34±2.12 (.844) 4.41±1.36 (.531)
16~25 58 (28.0) 3.58±0.42 17.07±1.96 4.33±1.49
≥26 12 (5.8) 3.70±0.40 17.33±2.46 4.44±1.65
12.8±8.06
Working department (nursing unit) General ward 174 (84.1) 3.60±0.39 0.41 17.19±2.07 1.10 4.38±1.47 1.80
ICU 11 (5.3) 3.47±0.26 (.665) 18.00±1.48 (.334) 4.94±1.34 (.168)
Etc 22 (10.6) 3.58±0.43 17.59±2.06 4.89±1.42
Child Have 138 (66.7) 3.57±0.40 0.14 17.20±2.09 0.63 4.36±1.48 2.22
No 69 (33.3) 3.59±0.36 (.712) 17.43±1.99 (.430) 4.68±1.42 (.138)
Nursing experience of patients with No 186 (89.9) 3.58±0.40 0.14 17.19±2.08 1.66 4.43±1.46 0.74
Confirmed patients 3 (1.4) 3.67±0.29 (.870) 18.67±1.53 (.193) 5.33±0.58 (.481)
  COVID-19 Suspected patients 18 (8.7) 3.54±0.32 17.88±1.64 4.67±1.66
Education on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Yes 125 (60.4) 3.63±0.38 8.00 17.34±1.99 0.35 4.23±1.48 3.53
No 82 (39.6) 3.48±0.39 (.005) 17.17±2.14 (.553) 4.62±1.44 (.062)
Education on Yes 138 (66.7) 3.60±0.39 1.95 17.41±2.04 1.68 4.61±1.45 4.19
COVID-19 No 69 (33.3) 3.52±0.40 (.165) 17.01±2.05 (.396) 4.17±1.45 (.042)

COVID-19=coronavirus disease-2019; ICU=intensive care unit; M=mean; SD=standrad deviation.

Table 2.

Levels of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N=207)

Variables M± SD Min. Max.
Nursing professionalism 3.57±0.39 1 5
  Self concept of the profession 3.79±0.48 1 5
  Social awareness 2.92±0.59 1 5
  Professionalism of nursing 3.72±0.50 1 5
  The role of nursing service 0.92±0.19 1 5
  Originality of nursing 4.21±0.75 1 5
Knowledge of COVID-19 17.28±2.05 0 23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4.47±1.47 1 7

COVID-19=coronavirus disease-2019; M=mean; Min.=minimum; Max.=maximum; SD=standard deviation.

Table 3.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N=207)

Variables Nurs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COVID-19
1 2 3 4 5
r (p) r (p) r (p) r (p) r (p) r (p)
Nursing professionalism 1. Self concept of the profession 1
2. Social awareness .40 (.001) 1
3. Professionalism of nursing .56 (.001) .41 (<.001) 1
4. The role of nursing service .13 (.060) .07 (.350) .03 (.662) 1
5. Originality of nursing .14 (.039) -.08 (.238) .23 (.001) -.06 (.433) 1
Knowledge of COVID-19 .05 (.521) .08 (.280) .05 (.457) .15 (.029) .19 (.006) 1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22 (.001) .02 (.740) .23 (.001) -.01 (.930) .04 (.526) .06 (.427)

COVID-19=coronavirus disease-2019.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N=207)

Variables B SE β t p
(Constant) 1.41 0.88 1.61 .109
Education on COVID-19 (yes) 0.19 0.21 .06 0.93 .354
Self concept of the profession 0.33 0.26 .11 1.28 .202
Professionalism of nursing 0.58 0.24 .20 3.08 .049
R2=.25, Adj. R2=.06, F=4.48, p=.005; Durbin-Watson=2.09

B=unstandardized estimate; COVID-19=coronavirus disease-2019; SE=standard error; β=standardized estimate; The reference was education on COVID-19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