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J Korean Acad Fundam Nurs > Volume 23(3); 2016 > Article
기본간호학 학습성과와 교육방법*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nursi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learning outcomes that apply to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aching methods used in clas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1 professors of fundamentals of nursing who responded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For learning outcom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the most frequent number of outcomes was two (35.2%), or three (32.4%). For learning outcom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the most frequent number of outcomes was two (32.4%), or three (31.6%). In fundamental nursing classes, teaching methods used most frequently were lectures (98.2%) and videos (60.4%), and in practice classes, demonstration (98.2) and open laboratory (90.9%).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that were utilized in fundamental nursing were team-based learning (19.8%) and case-based learning (19.8%), and for practice classes,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29.7%). In the cross analysis, 28.8% of the nursing professor used the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in fundamental nursing and in practice classes.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new nurse-educators and professors and to discuss learning outcomes of fundamental nursing.

서 론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의 목표는 간호학생이 교육을 통해 간호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기술을 습득하여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대처하는 능력과 역량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1].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 프로그램은 국내외 보건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역량을 갖춘 학생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성과 중심 교육체제로 운영하고 있다[2]. 기본간호학은 간호대상자를 간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이론과 실기를 익히는 과목으로, 전문적인 간호의 기초가 되는 과목이다[3].
학습성과를 중심으로 기본간호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명확한 기본간호학 학습성과와 학습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반영하는 실습교육 프로그램 확립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4]. 교수는 학습 성과와 학습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5]. 최근에 간호대학에서는 기존의 강의식 교육보다 간호학생의 역량 강화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6]. 교육 방법에 대한 관심은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꾸준하게 연구하고 있는데 간호교육기관에서 교육 기술의 진화를 요구하면서 시뮬레이션, 강의 중에 다양한 기자재 사용, 웹기반 교육 및 임상 실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온라인을 통하여 안내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7].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 대한 국내 학술지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교육방법과 효과 9편, 교과과정 1편, 교육평가 2편, 교육현황 3편, 인식 및 태도 2편이었고 이 중 1편이 교육현황과 교육평가에 관련된 주제로 중복되었다[8]. 2012년 3차 개정간호학 학습목표가 설정되었고 전반적인 간호교육이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최신 경향에 비해 학습성과나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고 기존의 연구들도 주로 기본간호학 실습에 적용하는 교육방법이며 이론에 적용하는 교육방법은 없어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로 간호학부 2학년 교과과정에 포함되는 기본간호학은 간호학생이 간호학 전공을 공부함을 처음으로 체감하게 하는 교과목이다. 많은 간호학생들이 이론이 어떻게 실습에 적용되는 지를 학습하는 것에 흥미를 가진다[7]. 기본간호학은 전통적으로 간호학의 근본적인 원리 및 지식을 넓고 깊게 학습하여 다음 단계의 간호 전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세우는 교과목으로 간호의 기본 개념과 기본적인 간호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다[9]. 현재 간호학과 교수들은 교육방법에 대해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강의 위주의 수업 보다 사례에 맞추어 기본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문제중심 학습법 등 구성주의 교육 방법에 입각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하고 있다[10]. 따라서 최근의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 교과목의 학습성과 운영 현황과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업에 적용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조사가 수행되어 기본간호학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정보 공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의 기초가 되는 기본간호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학습성과와 이를 도출하기 위해 수업에 사용하는 교육방법에 대해 조사해 봄으로써 기본간호학 교육의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수업에 적용하는 학습성과를 조사한다.
∙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수업에 적용하는 교육방법을 조사한다.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 차이를 분석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 간호교육기관에서 기본간호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학습성과와 수업에 사용하는 교육방법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 대상은 2015년 7월 15일부터 20일 동안 204개 간호대학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그 기간 동안 각 간호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기본간호학 교수 263명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설문에 회신한 122명 중 최종 선정한 11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회신율이 46.39%로 낮은 이유는 연구기간동안 각 간호교육기관의 기본간호학 교수가 퇴직하거나 다른 학교로 이전, 같은 학교 내에서도 다른 과목으로 전공 전환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연구 도구

본 연구도구는 자가기입식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학습성과, 기본간호학 교과목 수업에 활용하는 교육방법 등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연령, 간호직 총 근무기간, 교육기간, 기본간호학 교육기간, 근무학교, 소속 학회로 구성한 총 6문항이었다. 기본간호학에 적용하는 학습성과 조사지는 2013년 간호교육평가원[2]에서 제시한 12항목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간호교육방법 조사지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연구에서 간호학 수업에 적용하고 있는 교육방법을 구조화하여 구성하였으며, 기본간호학 교수 10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2015년 7월 15일부터 20일 동안 204개 간호대학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그 기간 동안 각 간호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기본간호학 교수 명단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204개 간호교육기관에서 기본간호학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 263명에게 2015년 8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연구 취지문과 동의서를 동봉한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회신용 우편봉투와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에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하여 비밀이 보장되고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기본간호학 교육방법에 대한 결과가 정리된 후에는 폐기할 것임을 명기하였다. 또한 자발적인 참여의사에 따라 질문지가 작성될 것이며 작성에는 약 10 여분의 소요시간이 예상되고 참여 도중 원하지 않을 때에는 언제라도 참여를 중단하실 수 있음을 강조하여 연구윤리를 준수하였다.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식적인 학술대회를 통하여 설문지 발송을 홍보하였으며 우편발송 후 9월 1일부터 10월 15일 까지 회신 온 설문지를 자료분석하면서 동시에 보조연구원을 통하여 설문지 회신을 유도하는 유선 접촉을 시도하였다. 유선 접촉 과정에서 일부 간호교육기관의 기본간호학 교수가 퇴직하거나 다른 학교로 이전, 같은 학교 내에서도 다른 과목으로 전공 전환한 경우는 설문지 회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회신 온 122부 중에서 학습성과와 교육방법 중 한 부분을 기재하지 않았거나 모호하게 기재한 자료 11부는 분석 자료에서 제외하여 총 111부로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Win 20.0, IB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 교과목의 학습성과와 교육방법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 선택은 χ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기본간호학 교수의 연령은 최저 35세, 최대 62세였으며 평균 48.03세(±7.51)였다. 간호사로 근무한 총 기간은 평균 20.31년(±9.88)이었고 교수로 근무한 기간은 평균 11.72년(±10.73) 이었다. 그 중 기본간호학 교과목을 담당한 기간도 평균 11.51년(±10.89)이었다. 근무 학교는 전문대학이 22.5%, 대학이 77.5%이었고 소속된 학회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기본간호학회가 43.1%로 가장 많았다(Table 1).

기본간호학 이론 및 실습수업에 적용하는 학습성과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적용하는 학습 성과 개수는 2개가 35.2%, 3개가 32.4%였으며,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하는 학습 성과 개수도 2개가 32.4%, 3개가 31.6%이었다(Table 2).

기본간호학 및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방법

기본간호학 수업에 사용하는 교육방법은 이론 수업에서는 강의(98.2%)와 동영상(60.4%) 순으로, 실습수업에서는 시범(98.2%)과 실습실 개방(90.9%) 순으로 많이 활용하였다.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서 많이 활용하는 구성주의 교육 방법은 팀기반 학습(19.8%)과 사례기반 학습(19.8%)이었으며, 기본간호학 실습에서는 객관적 구조화된 임상수기 평가(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valuation; OSCE) 29.7%, 표준화 환자 활용이 27.0%로 많았다(Table 3).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사용하는 강의와 동영상,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사용하는 시범과 실습실 개방을 일반적인 교육방법으로 그 외 교육방법을 구성주의 교육방법으로 분류하여 교차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이론교육과 실습교육 수업에 구성주의 교육방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 교수는 28.8%이었고 이론교육과 실습 교육 모두 일반적인 교육방법으로 진행한 교수도 17.1%이었다. 기본간호학 교수 중 33.3%만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구성주의 교육방법을 적용한 반면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는 78.3%가 구성주의 교육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 선택 차이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사용하는 강의와 동영상,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사용하는 시범과 실습실 개방을 일반적인 교육방법으로 그 외 교육방법을 구성주의 교육방법으로 분류하여 기본간호학 교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 선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이론수업은 기본간호학 교육기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χ2=13.68, p=.018), 실습수업은 소속 학회지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χ2=11.99, p=.017).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의 기초가 되는 기본간호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학습성과와 수업에 사용하는 교육방법에 대해 조사해 봄으로써 기본간호학 교육의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며, 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학습성과란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획득해야 하는 능력으로[2], 교과목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이므로, 간호교육의 학습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체 교육과정이 끝난 후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간호계의 합의가 필요하며 이것이 현재 간호교육의 목표이다[1, 3]. 이러한 목표를 기준으로 각 교과목에서는 학생이 수업 결과로 어떠한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 측정한 후 전체 교육과정을 평가하여, 현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간호교육 목표를 모두 성취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한다[6]. 본 연구 결과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적용하는 학습 성과 개수는 2개가 35.2%, 3개가 32.4%로 비슷하였으며, ‘리더십을 발휘한다’ 외 11가지 영역에 걸쳐 모두 적용하고 있었다. 그 중 ‘다양한 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한다’가 93.7%로 가장 많았다. 기본간호학 실습 수업에 적용하는 학습 성과 개수는 2개가 32.4%, 3개가 31.6%였으며, 9가지 영역에 적용하였고 그 중 ‘대상자의 간호 상황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을 선택한다’가 100.0%였다. 각 간호교육기관 별 기본간호학 교과목 학습성과는 기관별 학습성과에 따라 교과목간 협의과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대학마다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한정적인 시간에 1, 2학년에 해당하는 학생과 함께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달성가능한 학습성과 설정과 단계별 수준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즉, 많은 학습성과를 적용할 경우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 적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기본간호학 이론 및 실습교과목에서 연구 능력 함양을 학습성과에 포함할 경우 어떠한 수업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며, 어떠한 측정 도구로 평가하는지 명확하게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훌륭한 간호사가 되고 다학재간의 협력이 되려면 임상현장에 투입되기 전에 출판된 연구물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11]. 따라서 근거기반 중심 실무를 위한 문헌고찰 등의 단계별 적용이 계획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성과 측정에는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근거인 교육목표와 수행준거가 있어야 하고 수행준거에 따른 개별적인 평가도구가 있어야한다[3-6, 12]. 본 연구에서 학습성과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문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다양한 학습성과가 평가방법까지 적용되는 것인지 확인할 수 없어 추후 조사에는 구체적인 적용 방법과 평가방법 등도 함께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학습성과를 적용한 사례를 공유하여 기본간호학 교수들이 함께 토의할 기회가 있다면 더욱 기본간호학의 교육 적용에 효과적일 것이다.
학습성과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도입하면서 기존의 교육 목표를 통합하여 학습성과로 도출하면서 교육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기본간호학 이론 및 실습이 대학에 따라 이론과 실습을 분리하거나 통합하여 진행하기로 하고, 이를 혼합하여 진행하며 이러한 수업 형태에 따라 적용하는 교육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이론과 실습수업에 구성주의 교육방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 교수는 28.8%이었다. 기본간호학 교수 중 33.3%만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구성주의 교육방법을 적용한 반면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는 78.3%가 구성주의 교육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 다양한 구성주의 교육방법이 적용된 것은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이 기초과학을 기반으로 하고 임상실습에 필요한 간호 지식의 바탕이 되며, 간호학생들의 간호가치관과 간호전문직 태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13]. 실제로 기본간호학 실습에 적용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비판적 사고와 간호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웹 기반 학습[14-15], 시뮬레이션 활용[16-18],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학습방법[19] 등이 있었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으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참여가 필요한 체크리스트 활용[20]과 최근에는 자가 동영상 평가[21] 등이 있었다. 현장감 있는 임상실습 상황과 비판적 사고 함양을 위해 임상실습 전에 OSCE [22]를 적용하기는 하나 기본간호학 실습에서 적용하는 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9.7%의 교수가 OSCE를 적용하고 있었다. 조사 과정 중 OSCE를 적용한다고 응답한 기본간호학 교수가 더 많았으나, 임상사례가 없는 경우를 연구자가 제외한 것을 고려해 본다면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기본간호학 교수가 실습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을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활성화하고 확대하기 위해 학년별 수준에 맞는 시뮬레이션과 OSCE 교육 등이 체계적으로 구성될 필요성이 있다[17]. 기본간호학 수업이 기본간호학 실습에 필요한 이론 위주로 진행되기는 하지만 이론부터 학습 성과를 올릴 수 있는 다양한 학습방법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동영상 사전교육은 기본간호학 실습학습동기와 자기주도성을 높였으며[23], e-learning 학습방법은 간호학생의 자신감을 증진시키므로[24], 이론 교과목에서도 온라인 등으로 수업에 활용되기를 권장한다. 미래의 교육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여 최대한 현실성을 고려한 다차원의 교육매체를 활용하고 이를 교육자에게 학습하고 있다[25]. 교육매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시간과 비용 그리고 교육의 역량을 높일 수 있다[7]. 따라서 이러한 교육 방향을 고려한 교육방법이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국내 학부과정 간호교육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론 46.3%, 실습 51.2%인데[24] 비해 기본간호학 이론수업에서 적용한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지 않았고, 본 연구결과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새로운 교육 방법을 발표하는 기회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
교수도 자기 자신 및 동료 평가 등으로 교육 역량을 개발하여 이를 수업시간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26]. 본 연구에서 기본간호학 교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 선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론수업은 연령이나 총 근무기간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기본간호학 교육기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론 수업에서는 3년부터 10년 이내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수가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을 많이 적용하였고, 10년 이상보다는 3년 이하의 교수가 가장 적게 적용하였다. 기본간호학 실습이 기본간호학 교육기간과 차이가 없었던 것은 많은 교수들이 다양한 수업을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교육기간 3년 이하의 교수에서 구성주의 학습방법 적용이 낮았다. 따라서 이는 교수법에 대한 경험이 적기 때문으로 생각되므로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꾸준한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될 필요성이 있다. 교수 효능성은 교육 부분과 개인적 부분이 있으므로 개인적 부분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간호교육자는 수업 전에 자신의 수업계획, 준비성, 학생들과의 관계 등 자신의 교수 효율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27]. 즉, 적절한 교육과 교육기술,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숙련성, 사정 기술, 간호를 사랑하는 정도, 의사소통 능력, 임상환경을 넘어선 기술 등이 필요하며, 교육기술 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사정 능력 등 학생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28]. 간호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개발되어지는 과정에서 학습자인 학생들의 참여가 이루어져 교수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개선 과정이 학생에게는 학습성과의 향상으로, 교수에게는 교육자로서의 역량 강화로 그 성과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8,12]. 이와 같이 학습성과의 달성뿐만 아니라 학생들 간의 갭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 방법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지만 간호교육자들은 변화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새로운 교육방법을 활용하지 않는다7,29]. 본 연구에서 교육기간 3년 이하의 교수들이 상대적으로 구성주의 학습방법 적용이 낮은 이유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과 함께 다양한 교육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적용에 대한 두려움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는 개인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교수의 개인적 성향과 교수 역량 등 교육방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연구가 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며 이를 연구의 제한점으로 제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성과 중심의 교과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기본간호학 이론 및 실습수업에 적용하는 각 교육기관별 학습성과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방법을 조사해 봄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고 향후 기본간호학 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할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결론과 제언

본 연구는 국내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의 기초가 되는 기본간호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학습성과와 이를 도출하기 위해 수업에 사용하는 교육방법에 대해 조사해 봄으로써 기본간호학 교육의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교육기관에 따라 기본간호학 이론 및 실습에 다양한 학습성과를 2-3개씩 적용하고 있었다.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강의와 시범 위주의 교육보다는 기본의 지식을 활용하는 구성주의 교육 방법을 기본간호학 이론보다는 실습 교과목에 적극 활용하고 있었지만 교육기간 3년 이하의 교수에서 구성주의 학습방법 적용이 낮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먼저, 기본간호학 이론 및 수업에 적용하는 다양한 학습성과를 공유하고 논의과정을 거쳐 표준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신임교수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방법에 대한 워크숍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 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포괄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11)
Characteristics Categories Number (n) Percent (%)
Age (yr) 35-39 17 15.3
40-49 48 43.2
50-59 37 33.3
60-62 9 8.1
Mean±SD 48.03±7.51
Total work career (yr) 5-<10 10 9.0
10-<20 45 40.5
≥20 56 50.5
Mean±SD 20.31±9.88
Length of work as a professor (yr) <1 4 3.6
1-<3 21 18.9
3-<5 17 15.3
5-<10 31 27.9
10-.20 18 16.2
≥20 20 18.0
Mean±SD 11.72±10.73
Length of work as a fundamentals of <1 8 7.2
nursing professor (yr) 1-<3 31 27.9
3-<5 13 11.7
5-<10 27 24.3
10-<20 15 13.5
≥20 17 15.3
Mean±SD 11.51±10.89
Work place 3-year college 25 22.5
4-year university 86 77.5
Membership in academy* Fundamental 102 43.1
Adult 41 17.4
Women health 12 5.1
Child health 4 1.7
Community health 11 4.7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9 3.8
Adminstration 11 4.7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 6.4
Etc. 31 13.1
Subtotal 291 164.4

* Multiple choice.

Table 2.
Number of Learning Outcomes using for Fundamentals of Nursing (N=111)
Number of learning outcomes Fundamentals of nursing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n % n %
1 18 16.2 18 16.2
2 39 35.2 36 32.4
3 36 32.4 35 31.6
4 8 7.2 11 9.9
≥5 10 9.0 11 9.9
Table 3.
Teaching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N=111)
Characteristics Fundamentals of nursing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Categories n % Categories n %
Traditional methods Lecture 109 98.2 Demonstration 109 98.2
Videos 67 60.4 Open laboratory 101 90.9
Constructive methods Group discussion 6 5.4 Standardized patient 30 27.0
Team based learning 22 19.8 Simulation 25 22.5
Case based learning 22 19.8 Problem based learning 10 9.0
E-learning 9 8.1 OSCE* 33 29.7
Action learning 6 5.4 Action learning 2 1.8

*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valuation.

Table 4.
Crosstabulation of Teaching Methods (N=111)
Variables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Constructive methods Traditional methods χ2 P
n (%) n (%)
Fundamentals of nursing Constructive methods n (%) 32 (28.8) 5 (4.5) 2.15 .142

Traditional methods n (%) 55 (49.5) 19 (17.1)
Table 5.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N=111)
Characteristics Categories Fundamentals of nursing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Constructive methods (n=37) Traditional methods (n=74) χ2 p Constructive methods (n=87) Traditional methods (n=24) χ2 p
n (%) n (%) n (%) n (%)
Age (yr) 30-39 6 (5.4) 11 (9.9) 12 (10.8) 5 (4.5)
40-49 18 (16.2) 34 (30.6) 4.69 .196 35 (31.5) 13 (11.7) 3.48 .324
≥50 13 (11.7) 33 (29.7) 40 (36.0) 6 (5.4)
Total work career (yr) 5-<10 4 (3.6) 6 (5.4) 8 (7.2) 2 (4.5)
10-<20 14 (12.6) 31 (27.9) 0.31 .857 35 (31.5) 10 (9.0) 0.03 .987
≥20 19 (17.1) 37 (33.3) 44 (39.6) 12 (10.8)
Length of work as a <3 8 (7.2) 17 (15.3) 19 (17.1) 6 (5.4)
professor (yr) 3-<5 6 (5.4) 11 (9.9) 5.05 .410 12 (10.8) 5 (4.5) 8.31 .140
5-<10 14 (12.6) 17 (15.3) 22 (19.8) 9 (8.1)
±10 9 (8.1) 29 (26.1) 34 (30.6) 40 (36.0)
Length of work as a <3 10 (9.0) 29 (26.1) 26 (23.4) 13 (11.7)
fundamentals of 3-<10 20 (18.2) 20 (18.2) 13.68 .018 33 (29.7) 7 (6.3) 9.37 .077
nursing professor (yr) ≥10 7 (6.3) 25 (22.5) 28 (25.2) 4 (3.6)
Work place 3-year college 5 (4.5) 20 (18.2) 2.58 .108 21 (18.9) 4 (3.6) 0.59 .317
4-year university 32 (28.8) 54 (48.7) 66 (59.5) 20 (18.2)
Membership in 1 10 (9.0) 21 (18.9) 21 (18.9) 10 (9.0)
academy 2 19 (17.1) 35 (31.5) 3.13 .536 48 (43.2) 6 (5.4) 11.99 .017
≥3 8 (7.2) 18 (16.2) 18 (16.2) 8 (7.2)

References

1. Kim YH, Lee YM.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 13(1):147-155.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47
crossref
2.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Internet]. Seoul: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 [cited 2016 April 30]. Available from: http://kabon.or.kr/kabon02/140414_1.pdf

3. Chang SO, Won JS, Park JH, Lee HS, Park HS, Lim SY, et al.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 21(4):446-456.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4.446
crossref
4. Kim K, Chang SO, Kang HS, Kim KS, Kim JI, Kim H, et al.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 18(4):506-519.

5. Kim JI, Kim KH, Paik H, Sohng KY, Eom M, Oh SY, et al.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st for competency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 17(3):362-370.

6. Bae SH, Park JS.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 19(2):203-21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03
crossref
7. Talcott K, O'Donnell JM, Burns HK. Technology and the nurse educator: Are you elite? Nurse Educator 2013; 38(3):126-131. http://dx.doi.org/10.1097/NNE.0b013e31828dc2a8
crossref pmid
8. Kim H, Kim YH. A action research to improv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 22(2):169-179. http://dx.doi.org/10.7739/jkafn.2015.22.2.169
crossref
9. Chang SO, Kim KH, Won JS, Kim JI, Park HS, Jo BH, et al. The strategies for basic nursing theory construction and clinical scenarios. Seoul: hyunmoonsa; 2013. p. 1-36.

10. You SO. A study on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heory: With the community elderly adult.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2.

11. Liou SR, Cheng CY, Tsai HM, Chang CH. Innovative strategies for teaching nursing research in Taiwan. Nursing Research 2013; 62(5):335-343.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29fd827
crossref pmid
12. Chang SF.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nursing core curriculum teaching effectivenes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2; 20(3):228-236. http://dx.doi.org/10.1097/jnr.0b013e3182656166
crossref pmid
13. Kim YH. Changes in nursing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s after practical education bas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 14(4):420-428.

14. Lee SH. Effectiveness of web based learning program on self efficacy, knowledge, and competence in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 19(1):66-73.
crossref
15. Cho BH, Ko MH, Kim SY. Effectiveness of web based learning on competenc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foley-catheter management in bas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4; 11(3):248-255.

16. Hwang J, Kim H. Comparison of training effectiveness for IV injections: Intravenous (IV) arm model versus computer simul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 21(3):302-310.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3.302
crossref
17. Yang JJ.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 18(1):14-24.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14
crossref
18. Kim SM, Park MJ, Yang YK. Effects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f receiving a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 22(4):406-415. http://dx.doi.org/10.7739/jkafn.2015.22.4.406
crossref
19. Eom MR, Kim HS, Kim EK, Seong K.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 40(2):151-16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51
crossref pmid
20. Kim YH. Evaluation of practice education using checklis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Focused on measuring blood pressure on the upper arm and sterilized gloving (open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5; 12(3):298-306.

21. Song SR, Kim YJ. Effect of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 22(4):416-423. http://dx.doi.org/10.7739/jkafn.2015.22.4.416
crossref
22. Yoon J, Kim KJ, Choi MS. The effects of OSCE application before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 19(2):273-28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73
crossref
23. Kim YH.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 17(2):240-248.

24. Kim YM, Park H. Current trend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 16(3):945-966.

25. Tiffany J, Hoglund BA. Teaching/learning in second life: Perspectives of future nurse-educator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4; 10(1):e19-e24. http://dx.doi.org/10.1016/j.ecns.2013.06.006
crossref
26. Johnson S. Development of educator competencies and the professional review process.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02; 18(2):92-102.
crossref pmid
27. Nurgent KE, Bradshaw MJ, Kito N. Teacher self-efficacy in new nurse educato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999; 15(4):229-237.
crossref pmid
28. Parsh BK. Eight traits make great nursing instructors: Now's the perfect time to move nursing education to teach the next generation of nursing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10; 110(1):16-17.
crossref
29. Lee HY. The development of a inventory for teaching competency in colleges engineering and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competency,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urse evaluatio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1. 26-41.